View : 8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효정-
dc.contributor.author방윤이-
dc.creator방윤이-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0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080-
dc.description.abstractA person may be afflicted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hrough the inhalation of hazardous particles or gas and among these, smoking was shown to be the main risk factor. COPD is a chronic progressive disease that is best handled through disease management rather than direct treatment.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hat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OPD patients by determining the COPD patients’ knowledge about the disease,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qual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 2015 to October 31, 2015. A total of 145 subjects (inpatients and out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agnosed with COPD for more than six months by a specialist in pulmonology or thoracic surgery in K General Hospital located in Seoul. The data were measured using various instruments: Bristol COPD Knowledge Questionnaire (BCKQ) to assess knowledge on disease; Illness Attitudes Scale (IAS) for illness attitude; and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GRQ) for quality of life.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2.0 software.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described and tested using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To assess knowledge on disease, illness attitude, and life qualit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majority were male (74.5%) and the elderly (in their seventies) at 57.3%. About 85.5% of the subjects obtained lower than high school education; 55.9% were unemployed; and 62.1% has a religion. Approximately 74.5% of the subjects were married and 80.0% earned less than 1 million KRW. On the other hand, 69.7% of the subjects were exposed to smoking at least once, and 50% of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smoked for more than 40 years. 2.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ospitalization experience was reported from 53.8% of the subjects and those who did not rely on oxygen inhalation were 76.6%. Majority of the patients experienced hypertension. Regarding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Dyspnea Scale (mMRC), 68.3% was more than Stage 3. Regarding GOLD Stage, GOLD II was the highest at 51.6%, followed by GOLD III at 39.3%. Majority of the subjects used orally-inhaled bronchodilators with 46.8% of the total number. 3. Knowledge about the disease,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The average score on knowledge was 25.75 points±10.06, whereas the average score on attitude was 83.09 points±19.10. Meanwhile, the average score of QOL was 49.99 points±23.34. 4. Knowledge about the disease,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depending on subjects’ characteristics Knowledge about the disea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educational (t=-2.562, p<.05), monthly income (t=-3.873, p<.01), and mMRS (t=2.925, p<.0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llness attitude depending on monthly income (t=2.085, p<.05) and mMRC (F=-2.453, p<.05). For quality of lif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F=6.861, p<.01), marital status (t=-2.809, p<.05), and monthly income (t=4.213, p<.01). Furthermore, hospitalization (t=3.905, p<.001), oxygen use (t=3.299, p<.001), comorbidity (t=2.013, p<.05), and mMRC (F=-8.698, p<.001)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5. Correlation among knowledge about the disease,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Knowledge about the disease and quality of life (r=-.438, p<.001) as well as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r=.279, p=.001) were shown to statistically correlated. In conclusion, it was reported that knowledge about the disease and illness attitude of COPD patients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motivate the patients and provide professional and targeted nursing strategies on the disease for positive attitude change among the COPD patients.;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유해입자나 유해가스의 흡입을 통해 발병하며 그 중 흡연이 가장 주된 위험요인으로 나타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유병율과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진행성 질환으로 질병의 완치보다는 관리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는 질병이다. 본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3월 2일부터 10월 31일까지였고,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K상급종합병원에서 호흡기내과 또는 흉부외과 전문의에게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진단 받은 지 6개월 이상인자로 외래통원치료 또는 입원 치료 중인 환자 1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병관련 지식도구는 Bristol COPD Knowledge Questionnaire(BCKQ)로, 질병태도 도구는 IAS(Illness Attitudes Scale)로, 삶의 질 도구는 SGRQ(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로 측정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수에 대해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후분석은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74.5세였고, 남자가 74.5%, 70대가 57.3%로 가장 많았다. 교육수준은 고졸이하가 85.5%, 무직이 55.9%, 종교가 있는 경우는 62.1%였다. 기혼자가 74.5%,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80.0%였다. 대상자의 69.7%가 흡연에 노출된 적이 있으며, 40년 이상 흡연한 경우가 전체 연구대상자의 48.9%를 차지했다. 2.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대상자의 입원경험은 53.8%, 산소흡입을 하지 않는 비율이 76.6%였다. 동반질환은 고혈압이 26.2%로 제일 많았으며, 주관적 호흡곤란 정도(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dyspnea scale, mMRC)는 3단계 이상이 68.3%이었다. GOLD기준은 GOLD2 51.6%, GOLD3 39.3%이 가장 많았고, 약물사용은 흡입형 기관지 확장제가 46.8%로 사용비율이 가장 높았다. 3. 대상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 질병관련 지식은 평균 25.75점±10.06, 질병태도는 평균 83.09점±19.1, 삶의 질은 평균 49.99점±23.34이었다. 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 질병관련 지식은 대상자의 교육(t=-2.562, p<.05)과 월수입(t=-3.873, p<.01), 주관적 호흡곤란 정도(mMRC)(t=2.925, p<.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태도는 월수입(t=2.085, p<.05), 주관적 호흡곤란 정도(mMRC)(F=-2.453, p<.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은 연령(F=6.861, p<.01), 결혼상태(t=-2.809, p<.05), 월수입(t=4.213, p<.01), 입원경험(t=3.905, p<.001), 산소사용(t=3.299, p<.001), 동반질환(t=2.013, p<.05), 주관적 호흡곤란 정도(mMRC)(F=-8.69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의 관계 질병관련 지식과 삶의 질(r=-.438, p<.001), 질병태도와 삶의 질(r=.279,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과 질병태도는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간호전략과 질병에 대한 교육적 중재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주관적인 호흡곤란 정도(mMRC)의 사정과, 저소득계층을 중심으로 질병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 고찰 8 A.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8 B.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태도 11 C.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삶의 질 13 Ⅲ. 연구방법 16 A. 연구설계 16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7 D. 자료 수집 방법 18 E. 자료 분석 방법 19 F. 연구의 윤리적 고려 20 G. 연구의 제한점 2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2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임상적 특성 21 B. 대상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및 삶의 질 정도 26 C.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질병관련 지식 29 D.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질병태도 33 E.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삶의 질 37 F.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의 관계 44 Ⅴ.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51 부록. 설문지 65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65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질병태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ship of Knowledge about Disease, Illness Attitude, an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COPD)-
dc.creator.othernameBang, Yun Yi-
dc.format.pagev, 87 p.-
dc.contributor.examiner김미영-
dc.contributor.examiner신주현-
dc.contributor.examiner박효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