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0 Download: 0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교육이 자궁절제술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Title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교육이 자궁절제술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preoperative video assisted education on hysterectomy patients
Authors
전수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효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교육을 자궁절제술환자에게 적용하여 수술 후 통증과 교육 전, 후 대상자의 불확실성 및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2015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경기도 소재 C 종합병원 산부인과 병동에 양성자궁질환으로 자궁절제술을 위해 입원한 환자 중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처치의 오염을 막고 연구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대조군이 모두 퇴원하고 난 후에 실험군의 조사 및 실험 처치를 시행하였다. 실험처치로 실험군에게는 핸드폰 문자를 통해 동영상을 보내주고 시청하도록 하였고 시청이 끝난 후 질의응답 및 수술 후 통증자가조절기 사용법 및 호흡기 합병증 예방법, 순환기 합병증 예방법에 대하여 직접 시범을 보이고 실습하였다. 대조군에게는 기존의 병원 교육자료가 배부 되었다. 통증은 수술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에 측정하였고 불확실성 및 불안과 우울의 사전조사는 입원일에 실시하였으며, 1차 사후조사는 수술일 아침 7AM에, 2차 사후조사는 수술 후 2일째에 실시하였다. 통증은 VAS(Visual analogue scal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불확실성 및 불안과 우울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불확실성은 Mishel(1988)이 개발한 불확실성척도(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를 정재원 등(2005)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 하였고 불안과 우울은 Zigmond 와 Snaith(1983)가 개발한 병원 불안-우울척도(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HADS)를 오세만 등(1999)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PC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로 분석하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실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으로 분석하였으며 통증 및 불확실성척도, 병원 불안-우울척도의 효과 분석은 Paired t-test, repeated ANOVA로 하였다. 실험 처치 전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및 종속변수에 관한 동질성 검증을 시행한 결과,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자궁절제술 전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동영상 교육을 받지 않은 대상자보다 통증이 낮을 것이다.’의 검증결과 수술 후 48시간(t=-.91, p=0.368) 을 제외한 수술 후 1시간(t=-5.08, p<.001), 24시간(t=-5.20, p<.001)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통증 점수가 낮았다. 따라서 제1가설은 지지되었다. 2. 제2가설: ‘자궁절제술 전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동영상 교육을 받지 않은 대상자보다 불확실성이 낮을 것이다’ 의 검증결과, 조사시점 별 그룹 간 불확실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조사시점에 따른 불확실성의 감소는 유의하였고(F=6.341, p=.002) 그룹과 조사시점간의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F=4.159, p=.018). 따라서 제2가설은 지지되었다. 3. 제3가설: '자궁절제술 전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동영상 교육을 받지 않은 대상자보다 불안과 우울이 낮을 것이다.' 의 검증결과 그룹과 조사시점간의 상호작용과 조사시점 별 그룹 간 불안과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조사시점에 따른 불안과 우울의 감소는 유의하였다(F=7.060, p=.001). 따라서 제3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동영상을 이용한 수술 전 교육이 자궁절제술 환자의 수술 후 통증 및 수술 전, 후 불확실성, 불안,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므로 자궁절제술 전 동영상 교육을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effect of preoperative video assisted education on hysterectomy patient’s uncertainty, anxiety and depression, level of pain.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in 2015 to of July in 2015.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e hysterectomy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in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There were 30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30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preoperative video assisted education was provided through text message. For the control group, they were only given usual care by sheet of paper which was made by hospital. Pre-test was done when the patient admitted. The education was provided before the patients receive any kind of pre-operation treatment after Pre-test. The first round of Post-test was set at a 7 o’clock in the morning of their operation day. The second-round of Post-test was done on the 2nd day of each patient’s surgery. The level of pain that patients had was measured three times -1 hour, 24 hours and 48 hours after the surgery-.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MUIS((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HADS(Hospital Anxiety-Depression Scale). The instrument used for ‘pain level’ and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was a 10 cm visual analogu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repeated ANOVA with the SPSS/PC version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irst hypothesis: Hysterectomy patients who received video education before their surgery would be less pain than those who did not. It turned out that the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lower level of pain in their first two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1 hour (t=-5.08, p<.001) and 24 hours(t=-5.20, p<.001) after their surgery except the one which was given 48 hours after the surgery(t=-.91, p=0.368). In short, on the first two survey on the patients’ pain level, the patie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 level of pain. Therefore, the third hypothesis was proven by the data. 2. The second hypothesis: Hysterectomy patients who received video education before their surgery would be less uncertainty than those who did no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ut Time(F=6.341, p=.002) and Group*Time(F=4.159, p=.018) was significant difference. (F=6.341, p=.002). After the study, as time goes by it has been proven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video education and patients uncertainty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lower uncertainty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first hypothesis was proven right. 3. The third hypothesis: Hysterectomy patients who received video education before their surgery would be less anxiety and depression than those who did not. The study finding showed that although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the two groups patients felt went down with Time(F=9.235, p=.00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Group*Time. This study result shows that preoperative video education which was given to hysterectomy patients is correlated with the patients’ low level of pain, uncertainty, anxiety and depression. This suggest that preoperative video education can be used as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