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소리나-
dc.creator소리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2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29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paternal o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relational aggression and cyberbullying behavior. The study participants(626 students, 306 males, 320 females) drawn from 5 middle school in Seoul, Gyeonggi, Jeonbuk and Gyeongnam regions. They completed the Chinese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Scale(CPPCS), the Chines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Scale(CMPCS), Peer Conflict Scale(PCS) and Bullying/Victimization Questionaaire(BVQ). The data wa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1.0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except the path from perceived paternal o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to cyberbullying behavior. Secon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al aggression among parental o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cyberbullying behavior was significant. Third, the multi-group analysis has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ns and daughters. The result showed that perceive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model was not difference. In perceived martetnal psychological control model, Path Coefficients of sons and daughter groups were compared, sons group has powerful effects than the daughters group from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to relational aggres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relational aggress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trouble in cyberbullying behavior caused by paternal o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Findings in this study also exhibi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f paternal o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relational aggression and cyberbullying of adolescents.;본 연구는 남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각된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먼저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다음으로 구조 방정식 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한 뒤, 지각된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간의 관계에서 자녀의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간의 관계를 관계적 공격성이 매개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여 연구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변인들 간의 경로는 지각된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을 통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단순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따른 연구모형이 자녀의 성별에 따라 경로계수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각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에 따른 모형은 자녀의 성별에 따라 경로계수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따른 모형은 자녀의 성별에 따라 경로계수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아들이 딸에 비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서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계수가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지각된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높을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증가하고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을 하는 성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 아버지의 심리적 통제에 따른 모형과는 달리,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따른 모형은 자녀의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서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를 높은 수준으로 지각한 자녀가 아들이라면, 딸인 경우보다 관계적 공격성을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낼 것을 예상해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을 통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경로를 부모의 성별에 따라 나누어서 살펴보고, 각각의 모형에서 자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대한 가족변인과 개인변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 다르게 개입할뿐만 아니라, 특히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에서 자녀의 성별에 따라 다른 개입이 필요하다는 유용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해볼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사이버불링 5 1. 사이버불링의 정의 5 2. 사이버불링의 연구 8 B. 부모의 심리적 통제 10 1.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개념 10 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사이버불링 12 C. 관계적 공격성 13 1. 관계적 공격성의 개념 13 2.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관계적 공격성 14 3. 관계적 공격성과 사이버불링 16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 대상 17 B. 측정 도구 19 1. 부모의 심리적 통제 19 2. 관계적 공격성 20 3.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20 C. 연구 절차 21 D. 자료 분석 22 Ⅳ. 연구 결과 23 A.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23 1. 주요 변인들의 기술 통계 23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25 B. 지각된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관계적 공격성,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관계 27 1. 측정 모형의 검정 27 2. 구조모형의 검정 31 3. 구조모형의 분석 32 4.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정 35 5. 자너 성별의 조절효과 검정 36 Ⅴ. 결론 및 제언 42 A. 결과요약 및 논의 42 1. 주요 변인들의 상관 분석 42 2. 지각된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관계적 공격성,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구조적 관계 43 3. 자녀 성별 집단 간 비교 44 4. 개입을 위한 시사점 45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7 참고문헌 50 부록 59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03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중학생 자녀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의 관계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성별 다집단 분석-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Paternal o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Relational Aggression and Cyberbullying Behavior-
dc.creator.othernameSo, Leenah-
dc.format.pagevi, 65 p.-
dc.contributor.examiner김성호-
dc.contributor.examiner김수영-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