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호-
dc.contributor.author김지선-
dc.creator김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4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1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107-
dc.description.abstractStill now, there has been two main streams in the studies on whether understanding linguistic expressions makes the physical behavior activate or not. One is about emotional value of a word, which studies whether emotional meaning regardless of being positive or negative have access or evasion motive activated with response for relative behavior promoted. The other one is about behavioral direction a sentence connotes, which studies when a behavior that a sentence means matches up with the response a reader should take, whether it would be promoted or not. This study mixes those two studies’ paradigm about physical representation for linguistic meaning and use the sentences which connote specific emotional meaning and moving direction of the subject as an experiment stimulus by combining an object and a predicate.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seek to find how the emotion a sentence contains or the subject’s moving direction a predicate represents affect the behavioral response of pulling and pushing a joystick respectively. Further, this study also seek to observe how the interaction between emotion and moving direction represents in behavioral response time.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determine whether given sentences have positive emotional value or negative one (Experiment 1), or whether the sentences have meaning of acquisition or loss (Experiment 2).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ke response of pulling or pushing the joystick with speed and accuracy according to their own judgement. The stimuli used in Experiment 1 and 2 are the same sentences of four conditions: acquisition-positive, acquisition-negative, loss-positive, loss-negativ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in the following. In judging emotional value (Experiment 1), there comes action compatibility effect between behavioral direction and that of the joystick response. When the emotion of the sentence is positive, the speed of pulling joystick is faster than that of pushing, while the emotion is negative, the speed of pushing joystick is faster than that of pulling. In judging direction (Experiment 2), there was found action compatibility effect between moving direction of the object in the sentence and the direction of joystick response. In the case of acquisition sentences that mean the object comes closer to the subject, the speed of pulling joystick is faster than that of pushing while in the case of loss sentences that the object grows away from the subject, the speed of pushing joystick is faster than that of pul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theoretical implications. (1)This study expand the preceding studies’ discovery that by using the word stimuli they observed action compatibility effect between emotional value and access and evasion responses up to the sentence level. (2)This study newly finds action compatibility effect between object’s moving direction and behavioral response time which has not been reported by existing research. Meanwhile, there was not found action compatibility effect between the attributes (Experiment 1- emotional value, Experiment 2- moving direction) which do not require the participants to exert explicit judgement and joystick response, while it was observed between the attributes (Experiment 1- moving direction, Experiment 2- emotional value) and response, which slightly supports the argument that only explicit meaning related to participants’ urgent problem has physical representation, rather than the argument that every meaning representation the sentences have causes the physical activation automatically.;언어 표현의 이해가 신체 행동의 활성화를 수반하는지에 대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단어가 가진 감정가에 대한 연구로, 단어의 정서적 (긍정적/부정적) 의미에 의해 접근/회피 동기가 자동적으로 활성화되어 관련 행동에 대한 반응이 촉진되는 지에 대한 것이다. 다른 하나는 문장에 내포된 행동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로서, 문장이 의미하는 행위자의 행동이 독자가 취해야 하는 반응의 방향과 일치할 때 그 반응이 촉진되는 지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는 언어 의미의 신체적 표상에 대한 두 연구 패러다임을 혼합하여, 목적어와 서술어의 결합을 통해 특정한 정서적 의미와 대상의 이동 방향성을 내포하는 문장을 실험 자극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문장이 담고 있는 정서가, 또는 서술어가 시사하는 목적어 대상의 이동 방향이 조이스틱을 밀고 당기는 행동 반응에 각각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살펴보고, 정서와 이동 방향성의 상호작용이 행동 반응시간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제시된 문장이 긍정 혹은 부정적 정서가를 담은 문장인지 (실험 1), 또는 목적어의 대상을 획득 혹은 상실하는 의미를 담은 문장인지 (실험 2)를 판단하였다. 참가자는 이 판단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이스틱을 당기거나 미는 반응을 해야 했다. 실험 1과 실험 2에 사용된 자극은 4가지 조건(획득-긍정, 획득-부정, 상실-긍정, 상실-부정)의 동일한 문장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가 판단 (실험 1)에서 정서가와 연합된 행동 방향과 조이스틱 반응 방향 간의 합치성 효과가 발견되었다. 문장의 정서가 긍정적일 때 조이스틱을 당기는 행동이 미는 행동보다 빨랐고, 문장의 정서가 부정적일 때는 조이스틱을 미는 행동이 당기는 행동보다 빨랐다. 방향성 판단 (실험 2)에서는 문장 속 대상의 이동 방향과 조이스틱 반응 방향 간의 합치성 효과가 발견되었다. 대상이 주체에게 다가오는 획득 문장일 때 조이스틱을 당기는 것이 미는 것보다 빨랐고, 대상이 주체에게서 멀어지는 상실 문장에서는 조이스틱을 미는 행동이 당기는 행동보다 빨랐다. 본 연구의 결과는 (1) 단어 자극을 사용하여 정서가와 접근/회피 반응과의 합치성 효과를 관찰했던 선행 연구의 발견을 문장 자극에까지 확장한 점과 (2) 기존 연구에서 보고되지 않았던 대상의 이동 방향과 행동 반응 사이의 합치성 효과를 새롭게 발견했다는 이론적 함의를 갖는다. 한편, 실험1, 2모두에서 명시적으로 판단해야 했던 문장 속성 (실험 1-정서가, 실험 2-이동방향)과 조이스틱 반응 간의 합치성 효과는 관찰되었으나, 명시적 판단이 요구되지 않았던 속성 (실험 1-이동방향, 실험 2-정서가)과 반응 간 합치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문장이 담고 있는 모든 의미 표상이 자동적으로 신체적 활성화를 유발한다는, 언어의 신체표상에 대한 강한 주장 대신, 행위자의 당면 과제와 관련된 명시적 의미만이 신체적 표상을 갖는다는 약한 주장을 지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문제 4 III. 이론적 배경 5 A. 지각적 상징 체계 (perceptual symbol system) 가설 5 B. 접근/회피 동기와 행동 간 관계 7 C. 언어의 의미적 방향성과 행동 간 연합에 대한 다른 연구들 9 D. 강화와 처벌 이론 10 Ⅳ. 연구의 목적과 가설 13 V. 방법론 일반 15 A. 기구 15 B. 자극 및 설계 15 C. 절차 18 Ⅵ. 실험 1 20 A. 방법 20 B. 결과 21 C. 논의 24 VII. 실험 2 26 A. 방법 26 B. 결과 27 C. 논의 30 Ⅷ. 종합 논의 32 참고문헌 34 부록 38 ABSTRACT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86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문장의 의미는 인지적으로 어떻게 표상되는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정서적 의미와 내포된 방향성의 행동 합치성 효과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How the Meaning of a Sentence is Cognitively Represented : Action Compatibility Effect of Emotional Connotation and Implicit Direction-
dc.creator.othernameKim, Ji Seon-
dc.format.pagevi, 41 p.-
dc.contributor.examiner이혜원-
dc.contributor.examiner김수영-
dc.contributor.examiner김성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