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7 Download: 0

관계 상실 경험 중년기 성인의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

Title
관계 상실 경험 중년기 성인의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of middle-aged adults with a relational loss : The Mediating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itive Reframing
Authors
김아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among Gratitude Disposition, Deliberate Rumination, Positive Reframing and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a relational loss. The study participants(335 middle-aged adults) were drawn from Seoul, Gyeonggi, Chungcheong, Gyeongnam region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gratitude disposition, deliberate rumination, positive reframing and posttraumatic growth. Second, the examination of structural relation among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the paths were significant.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also positive reframing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respectively significant, as well as the dual-mediated effect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itive reframing between gratitude disposi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ddle-aged adults’ high gratitude disposition is more likely to ruminate deliberately and reframe positively a relational loss, and finally it leads to posttraumatic growth. Therefore, based on these findings,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osttraumatic growth would be more effective if it’s focused on gratitude disposition, deliberate rumination, positive reframing for middle-aged adults who have experienced a relational loss.;본 연구는 감사성향이 역경후 성장을 경험하는 데 있어 중요한 개인적 특성이라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감사성향이 어떠한 인지적 처리과정을 거쳐 역경후 성장에 이르는지 그 기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충청, 경남 지역에 거주하며 관계 상실 경험이 있는 만 40세에서 60세의 중년기 성인 335명을 대상으로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성별과 종교 유무에 따라 감사성향, 의도적 반추, 긍정적 재해석, 역경후 성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본 뒤,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성향, 의도적 반추, 긍정적 재해석, 역경후 성장에 있어 남녀 집단 간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종교의 유무에 따라 감사성향, 긍정적 재해석, 역경후 성장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종교가 있는 집단은 종교가 없는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감사성향과 긍정적 재해석, 역경후 성장 수준을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감사성향, 의도적 반추, 긍정적 재해석, 역경후 성장 모든 변인들 간 상관이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관계 상실 경험 중년기 성인들의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 간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이 매개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경로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 사이에서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의 단순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도적 반추와 긍정적 재해석을 순차적으로 거쳐 역경후 성장에 미치는 이중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감사성향이 높을수록 관계 상실이라는 역경 경험에 대해 의도적 반추를 많이 하게 되고, 이는 역경 사건에 대한 긍정적 재해석을 더 많이 하게 함으로써 더 높은 수준의 역경후 성장을 이루게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실의 경험은 살아가면서 누구나 한 번쯤은 겪는 문제이다. 특히나 발달 시기 상 중년기의 관계 상실 경험은 매우 흔하고 다양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이들이 이러한 역경을 경험한 후 잘 기능하고 더 나아가 성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감사성향과 역경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 긍정적 재해석의 매개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관계 상실을 경험한 사람들이 역경후의 성장을 이루기 위한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계획하는 데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