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6 Download: 0

한국 웹소설의 애정서사 연구

Title
한국 웹소설의 애정서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omance Narrative in Korean Web-Novel
Authors
정은혜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한국 웹소설은 웹에서 창작, 유통, 소비되는 서사체로, 대표적인 웹 콘텐츠이며 해외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한국 웹소설의 주류를 차지하는 이인(異人)형 인물의 애정서사를 중심으로, 소재와 서사 구조에서 전기소설과 몽유록, 몽자류계 소설의 환몽 구조와 연계되는 점에 주목하려 한다. 2000년대 초반의 인터넷 소설, 팬픽(fanfic)으로 이어진 연구를 바탕으로, 웹소설에 대한 논의는 다매체 활용 양상, 로맨스 관습의 반복에 집중하여 진행됐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논의와 달리 판타지와 로맨스의 혼합적 서사 양상과 한국 고전소설과의 연계점에 주목하여 한국 웹소설의 연구사적 의의를 찾고자 한다. 따라서 웹소설 작품의 구체적 텍스트 분석을 통해 인간이 가진 기본적 욕망인 사랑, 애정이 작품에 표상되는 방식을 증명한다. 이를 조르주 바타이유의‘에로티즘’개념과 연관하여 한국 웹소설의 애정서사가 대중의 욕망을 표상하는 양상을 밝힌다. 2장에서는 웹소설의 애정서사 유형을 남녀 인물의 신체적 능력을 기준으로 범인(凡人)형과 이인(異人)형 애정서사로 구분한다. 범인형 애정서사는 남녀 주인공이 평범한 인간이며, 기존 로맨스 장르의 관습을 그대로 반복해서 제공한다. 이인형 애정서사는 남녀 주인공 중 한명, 혹은 둘 모두가 인간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세계의 암울한 상황에 직면한다. 이인형 인물에게 부여된 능력은 서사가 진행되는 공간을 전기적 세계로 전환시킨다. 전환된 공간에서 비인간과의 애정 관계를 통해 인물이 가진 결핍이 해소된다. 이는 전기소설의 양상이 그대로 웹소설에서 재생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3장에서는 웹소설의 서사 구조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에로티즘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웹소설에서는 몽유록, 몽자류계 소설의 환몽 구조가 차원이동, 환생, 빙의, 제물 등의 모티프로 변형되어 발생한다. 웹소설에서 환몽 구조는 인물을 현실에서 이계(異界)로 이동시키고 죽음의 경험을 창출한다. 이로써 인물은 새로운 모습으로 변모하고 상대 인물과 관계 맺기가 발생한다. 인물의 변모는 결핍 요소를 전면화하고 애정 관계를 필연적인 것으로 엮어낸다. 웹소설에서 남녀 인물은 서로를 욕망하고 애정을 성취함으로써 각각의 결핍을 충족시킨다. 남자 주인공의 결함으로 여자 주인공과의 애정 관계가 형성된다. 애정의 성취는 남자 주인공에겐 결핍의 충족을 여자 주인공에겐 지위의 상승을 가져온다. 이들의 결합은 결핍을 충족시켜 총체성을 이룬 에로티즘의 성취이지만, 에로티즘의 부정적 요소가 부재하다. 따라서 웹소설의 애정서사는 진정한 의미의 에로티즘이 아닌 미화된 에로티즘에 지나지 않는다. 4장에서는 위의 텍스트 분석을 바탕으로 웹소설의 애정서사의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웹소설은 독자에게 현실-웹-판타지 세계로의 공간 이동을 경험하게 한다. 이는 일종의 몽중몽 구조로 독자에게 현실에서 완전히 분리된 백일몽의 세계를 제시한다. 현실과 분리된 시공간에서 독자는 완벽히 이상화된 환상을 유희한다. 웹소설은 완벽히 정리된,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환상을 제공하며 이는 일종의 현실화된 유토피아인 헤테로토피아를 지향한다. 웹소설은 위반성이 높은 모티프를 통해 에피소드 간의 긴장도를 유지하면서 일종의 다중분절서사를 구현한다. 웹소설의 개별 회차는 완결된 서사를 구성함과 동시에 새로운 사건의 단초를 제시함으로써 긴장도를 유지한다. 이로써 독자는 몰입을 유지한다. 한국 웹소설은 웹이라는 일탈적 공간에서 분절적인 서사 구성을 통해 이상화된 애정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소비사회의 대중들이 부정성을 제거하고 긍정성만을 유희하고자 하는 욕망을 반영한다.;Korean web-novel is a descriptive genre which is created, distributed and consumed throughout the Web as well as a representative web content currently taking the center stage outside Korea. This study especially intends to focus on the point where the structure of materials and description connects with the structure of returning from dreaming in fictional biography in Mongryurok and Mongja novel groups, based on romance narrative of strangers which is the major kind of Korean web-novels. Based on the preceded studies in early 2000’s on internet novels and fan-fictions, discussions on web-novels have been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aspect of utilizing various media and repetition of romance convention. In this study, unlike the preceded ones, it focuses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aspect of fantasy-romance combination in narratives and Korean traditional novels with intention of finding significance of Korean web-novels in the history of studies. Therefore, throughout an analysis on how the most basic desire among humans, love and affection are embodied in the literary works, are verified. And by relating this with ‘eroticism’ the concept suggested by Georges Bataille, the aspect of how the romance narrative in Korean web-novels represents the public desire is verified. In chapter 2, the romance narrative in web-novels is divided based on the physical capacity of both male and female characters, into two categories: ordinary person type and strange person type. An ordinary person type of romance narrative deals with ordinary female and male main characters and repeatedly provides the preceded convention in the romance genre. In a strange person type of romance narrative, one of male and female characters, or both of them have ability superior to that of ordinary people and confront with a gloomy situation of the world. Abilities given to strange-type characters convert the space where the narrative takes place into a biography. In the converted space, the deficiency in the characters are resolved throughout romantic relationship with the non-human. This suggests that the aspect in fictional biographies is being reproduced among the web-novels. Chapter 3 examines the aspect of eroticism throughout a detailed analysis on the narrative structure in web-novels. In web-novels, the structure of returning from dreaming among novels in Mongyurok and Mongja group appears in a form changed into motives of dimension shifting, reincarnation, possession, sacrifice and etc. The structure of returning from dreaming among web-novels relocate the characters from reality to a strange world and create experience of death. Thus the characters change into a new person by which making of relationship with opposing characters occurs. Changes in characters emphasize the deficient elements and necessarily connects with romantic relationship. In web-novels, the male character and the female character fulfill their deficiency throughout desiring each other and accomplishing their affection. The romance relationship with the female character is formed by the deficiency of the male character. Accomplishment of affection brings fulfillment of deficiency to the male character and elevated status to the female character. Though the combination of those is an accomplishment of eroticism that realized totality by fulfilling the deficiency, the negative elements in eroticism are missing. Therefore the romance narrative in web-novels is barely eroticism in the true sense, but merely embellished eroticism. Chapter 4 intends to draw a significance of romance narrative in web-novels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text above. Web-novels provide experience of spatial migration into the world of the reality, the Web, and the fantasy to readers. This is a kind of the dream-in-dream structure which suggests to readers, the world of day-dreams completely detached from the reality. In the time and space detached from the reality, readers enjoy a completely idealized fantasy. Web-novels provide a well-organized fantasy that does not exist in the reality which pursues heterotopia, a kind of actualized utopia. Web-novels maintain the tension between episodes throughout motives with high transgression, and actualize a kind of multi-divided narrative. Each individual episode of web-novels constitutes complete narrative and at the same time, maintains the tension by suggesting a clue of new events. Thus readers maintain being absorbed. Throughout the Web, a space detached from daily life, Korean web-novels reflect the public’s desire to eliminate negativity and enjoy only positivity in the consumer society by suggesting an idealized romance relationship throughout the composition of multi-divided narrativ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지털미디어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