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양옥경-
dc.contributor.author허세미-
dc.creator허세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0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0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응, 자기효능감, 지각된 스트레스 그리고 문화 심리적 장벽,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각 변수들과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주로 건강실태를 중심으로 다뤄진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이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과 남한 사회의 성공적인 정착과 남한사회에서의 건강한 시민, 삶의 주체자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건강수준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복지적 접근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유형과 자기효능감, 지각된 스트레스 그리고 문화 심리적 장벽이 건강증진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근간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유형을 이해하고, 포용하고자 하는 사회적 배려와 북한이탈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강점들을 지지하는 측면의 중요성을 논하고자 하였으며, 이것들이 건강증진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고찰함으로서 남한사회에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는 19세 이상의 성인,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북한이탈주민으로 총1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지만 설문지 검토와 데이터 스크리닝을 통해 7명의 설문지가 제외, 총103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문화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Barry(2001)가 개발한 척도를 양옥경 외(2007)가 수정·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이영민 외(1994)가 개발한 척도를 유시연(2001)이 인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Cohen 외(1988)가 개발한 척도를 박준호·서영석(2010) 번역한 척도로 김나연(2012)이 인용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문화심리적 장벽을 측정하기 위하여 문정순(1990)이 개발한 척도를 서인주(2014)가 인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건강증진행위를 측정하기 위해서 Walker 외(1996)가 개발한 척도를 송라윤 외(2004)가 번역·수정한 척도를 전정희(2010)가 인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일반적 특성과 변수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신뢰도 측정을 위한 Cronbach’s α를,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와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One-way ANOVA를, 종속변수와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문화적응유형 중 통합은 3.50, 동화는 2.99, 분리는 2.76, 주변화는 2.13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의 문화를 수용하면서 남한 문화에 적응하는 통합 유형을 보이고 있었다. 자기효능감은 4점 만점에 3.06, 지각된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75, 문화 심리적 장벽은 4점 만점에 2.16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3.23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으로는 건강책임성이 3.21, 운동이 2.82, 식습관 3.03, 스트레스관리 3.23, 금연 3,61, 절주 3.48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금연의 수준이 가장 높고 식습관의 수준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일반적 특성 따른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분석한 결과, 결혼유무가 건강증진행위와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합(r=.26, p<.01)과 자기효능감(r=.27, p<.01) 정적 상관관계를, 지각된 스트레스(r=-.34, p<.001), 문화 심리적 장벽(r=-.29, p<.01)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각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의 회귀분석을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 중통합(R2. = 19%)과 자기효능감(R2. = 18%), 지각된 스트레스(R2. = 23%), 문화 심리적 장벽(R2. = 18%)이 건강증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가 갖는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에게 남한의 문화를 받아 들이라는 동화적 실천방향이 아닌 남한과 북한의 두 문화를 존중하고 받아들이면서 상호작용 할 수 있는 통합의 실천방향이 필요할 것이다. 즉, 모국문화와 주류 문화 사이에서 문화적으로 배려 받을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 지원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실천 현장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을 임파워먼트하는 실천 현장의 지속과 스트레스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는데 건강증진과 관련하여 신체활동을 장려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례화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문화 심리적 장벽을 줄이기 위해 지역사회 의료관련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경험하는 불편감과 건강관리를 하지 못하는 이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를 통해 이를 해소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고,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본 연구는 주로 이주여성, 재한 유학생 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변수를 추출하였으므로 단순히 북한이탈주민들의 건강 실태조사 수준에서 벗어난 다양한 논점을 가진 후속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북한이탈주민의 다양한 연령대를 구분하여 생애주기별로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므로 면접조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 정착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의 특수성을 심층적으로 고려하여 건강증진행위를 살펴 볼 수 있는 연구들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Prior research related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have been studied mainly health status. However, North Korean Refugees are growing. To improve the level of health and sustainable health care is needed to help the North Korean Refugees who live in South Korea and settled successfully. Therefore, we need think of social welfare approach that can help to promote healthy behavio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icacy and types of acculturation North Korean Refugees, perceived stress, and cultural psychological barrier to health promotion behaviors. These are how the impac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nsidered to be to suggest a direction for a successful settl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by 110 North Korean adult Refugees and analyzed 103 people who replied honestl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which was developed by Walker, Sechrist & Pender and translated by Seo was uesd. Acculturation which was developed by Barry and translated by Yang was uesd. Self-efficacy which was developed by Lee and used by Yoo. Perceived stress which was developed by Cohen and translated by Park and Seo and used by Kim. Cultural psychological barrier which was developed by Moon and used by Se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for Windows to verify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tegration of acculturation of the recipient of North Korean Refugees was 3.50, assimilation was 2.99, separation was 2.76, marginalization was 2.13. North Korean Refugees was showing an integrated to adapt to Korean culture while receiving a North Korean culture. Self-efficacy was 3.06, Perceived stress was 2.75, cultural psychological barrier was 2.16. 2. Health promotion actions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was 3.23. health of accountability was 3.21, Exercise was 2.82, Eating habits was 3.03, Stress management was 3.23, Non smoking was 3,61, Non drinking was 3.48. As a result, the level of non smoking was the highest, level of eating habits was the lowest. 3. North Korea Refugees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action of health promotion by the, it was foun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rriage has the act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s. 4.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integration (r=.26, p<.01) and self-efficacy (r=.27, p<.01) were found positive correlation. perceived stress (r=-.34, p<.001), cultural psychological barriers (r=- .29, p<.01) were found negative correlation. 5. The analyzes of the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of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tegration of cultural adaptation (R2=19%) and self-efficacy (R2=18%), perceived stress (R2= 23%), cultural psychological barriers (R2=18%) was found that affect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Social Welfare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proposal with the results of research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1. We will respect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f both culture to North Korean Refugees, would require the direction of the practice of integration that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2.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it must be empowerment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For exampl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exercise program to encourage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promoting. 3. In order to reduce the cultural psychological barrier, it must be the cooper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of the local community. North Korean Refugees inhabitants there is a need for specific research, such as reasons that are not the discomfort feeling of health care to experience while using the medical service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ducate the importance of regular health dia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1. In this study examined at the study of migrant women, the lived international students. Future, study needs the way many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promo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2.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age groups of the North Korean Refugees will need to learn ab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ealth promotion actions by life cycles. 3.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Experience in a variety of cases that settle course South Koreans defectors are required to interview. And taking into account the peculiarities in-depth study can be seen at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e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와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5 Ⅱ. 이론적 배경 6 A. 북한이탈주민 6 B. 건강증진행위 14 1. 건강증진행위의 정의 14 2.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16 Ⅲ. 연구방법 23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3 1. 연구대상 23 2. 자료수집 방법과 윤리적 고려 23 B. 연구모형 24 1. 연구모형 24 C. 변수의 설정 및 측정도구 25 1. 독립변수 26 2. 종속변수 29 D. 자료분석 방법 31 E. 연구의 제한점 32 Ⅳ. 연구결과 32 A. 기술적 분석 32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2. 문화적응유형에 대한 기술적 분석 38 3. 자기효능감에 대한 기술적 분석 39 4. 지각된 스트레스에 대한 기술적 분석 40 5. 문화 심리적 장벽에 대한 기술적 분석 40 B. 건강증진행위의 정도 분석 41 1.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기술적 분석 41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 42 3. 탈북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 45 4.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 46 C. 문화적응, 자기효능감, 지각된 스트레스, 문화 심리적 장벽간의 관계분석 47 1. 문화적응. 자기효능감, 지각된 스트레스, 문화 심리적 장벽과 건강증진 행위의 상관관계 47 2.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 48 D.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9 1. 문화적응의 각 유형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50 2.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52 3. 지각된 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53 4. 문화 심리적 장벽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54 Ⅴ. 결론 및 제언 56 A. 연구의 결론 56 B. 실천적 함의 59 C. 제언 62 참고문헌 64 부록1. 설문지 71 ABSTRACT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23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북한이탈주민의 건강증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Factors on North Korean Refugees’ Health Promoting Behavior.-
dc.creator.othernameHeo, semi-
dc.format.pagevii, 85 p.-
dc.contributor.examiner양옥경-
dc.contributor.examiner정익중-
dc.contributor.examiner전종설-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