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3 Download: 0

체험 모듈과 무드 매니지먼트를 적용한 리지엄(Reseum) 전략 연구

Title
체험 모듈과 무드 매니지먼트를 적용한 리지엄(Reseum) 전략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seum Strategy based on Experiential Modules and Mood Management
Authors
홍명숙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식
Abstract
19세기, 집의 미학적 가치가 그 곳에 사는 사람의 가치로 이해되고 라이프스타일이라는 말이 유행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주거공간으로서 제1의 공간(The First Place)이 된다. 사람이 머무는 공간에 대한 인식 변화는 1960년대 미국인들이 아름다운 근로 환경이 의욕을 고취시킨다고 깨닫게 되면서, 일터로서의 제2의 공간(The Second Place)을 연출하게 된다. 이러한 ‘연출된 공간’은 사람들에게 행복감을 주기 때문에 1980년대에는 상점, 식당, 미술관, 호텔 등을 연출하는 제3의 공간(The Third Place) 개념이 등장하였다. 크리스티안 미쿤다는 연출된 공간은 사람들에게 영예, 환희, 통쾌감, 탁월함, 열망, 황홀감, 여유라는 일곱 가지 행복감을 준다고 했다. 소유의 시대를 넘어 접속의 시대에 사람이 가정과 직장이 아닌 제3의 공간을 찾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사람의 소비 메커니즘은 사물이 아닌 체험으로 전환되었다. 첨단과 도시화의 팽창으로 건조함을 느끼는 사람은 자연과 예술, 건축이 공존하는 공간을 찾고자 한다. 연전, 리조트(Resort)와 뮤지엄(Museum)의 무드를 결합한 리지엄(Reseum)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생겨났다. Resort의 사전적 의미는 자연 풍광이 좋은 곳을 뜻하고 Museum은 박물관과 미술관을 말함으로, 즉 자연 안에서 휴양하며 유물과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공간이다. 본 논문은 제3의 공간인 리지엄에 관한 전략적 연구다. 그 배경과 이론을 고찰하고, 크리스티안 미쿤다가 정의한 무드 매니지먼트(Mood Management)와 번 슈미트가 개발한 총제적 체험 모듈(SEMs)을 분석하였다. 체험을 기반으로 한 이론에 대한 방법론으로 아에이오우(AEIOU)와 단어 구름(Tag Clouds)를 적용하여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방법론은 질적 연구로 문화 연구 방법이며, 리지엄의 형성 배경을 연구자는 문화에 두고 있다. 오늘날 학문이 세분화, 전문화되면서 문화는 다학제적(多學際的) 접근(multi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을 하고 있으나, 레이먼드 윌리엄즈(1983)가 정의한 지적·정신적·심미적인 계발의 일반적 과정, 한 인간이나 시대 또는 집단의 특정 생활방식, 지적인 작품이나 실천행위·예술적인 활동의 세 가지를 근저로 삼았다. 첫 번째, 세 번째 정의는 뮤지엄의 의의와 동일시된다. 문화 공간은 물리적인 장소이기보다는 인간의 정신적인 안식처이자 소통과 문화적 장(champ)이 되어, 심리적 거리가 가깝도록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인간은 사회 발전과 더불어 점차 인지적, 심미적, 자아실현의 높은 수준의 욕구가 강화되어 이를 실현한 공간이 필요한데 이는 제3의 공간이고 자연과 문화, 예술이 머무는 장소이다. 제3의 공간 무드 매니지먼트의 구성 요소로 Landmark(랜드마크), Malling(몰링), Concept Line(컨셉 라인), Core Attraction(코어 어트랙션)은 연출 전략 Brain Scripts(브레인 스크립트), Inferential Beliefs(추론적 확신), Cognitive Maps(인지 지도), Time Line(타임 라인), Antizipation(예측), Sentence frames(문장 구조), Media Literacy(매체 해독력)를 통하여 개념화한다. 또한, 번 슈미트가 개발한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리지엄(Reseum)의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를 측정하고 분석한다. 리지엄의 구체적인 체험 제공 수단(커뮤니케이션, 아이덴티티, 건축, 브랜딩, 공간적 환경, 웹사이트, 인적 요소)을 통해 전략적으로 기획되었다. 이러한 체험 마케팅 방법론은 브랜드 가치와 자산의 측정 수단으로 브랜드 포지셔닝 설정과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무드 매니지먼트의 근간이 되는 제3의 공간에서의 체험 모듈을 분석하여 리지엄(Reseum)에 적용해 보고, 연출 경영을 연구해 현재와 향후를 아울러 전략적 방안을 제언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19th century, the aesthetic value of the house understood as the value of the people who live there. There grew up the trend towards lifestyle. This is ‘The First Place’ as a living space. In the 1960s, Americans realized that inspire a beautiful working environment to people and this is ‘The Second Place’. This ‘directed space’ gives happiness to the human. Since the 1980s, The concept which is ‘The Third Place’ such as a shop, restaurant, art gallery, hotel was introduced. Christian Mikunda was said that direction space gives to the people to glory, joy, power, bravour, desire, intensity, chill. It is time to connect people beyond the owned age not a home and work but to find a third of the space. Consumption mechanism of the human has been converted into experience not thing. People feel the dryness reason to high-tech expansion of the urbanization. They are looking for nature and art, architecture coexisting space. A few years, new word ‘Reseum’ was born that Resort was combined with the Museum. Dictionary meaning of the Resort is a good place for natural scenery and Museum is meaning to art gallery and museums, recreation in nature, and that is a space where you can appreciate the artifacts and artwork. This thesis is a strategic study on the Reseum. Study the background and theory of ‘The Third Place’ and approach Mood Management is defined by Christian Mikunda (2005) and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 (SEMs) are developed by Bernd Schmitt (2011) have analyzed. By methodology based on experience, through methodology AEIOU and the Tag Clouds, it was for validate the hypothesis. The design methodology is cultural stud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background of Reseum is focused on culture. Today, study is being specialization and subdivision, culture is multi and interdisciplinary approach. However, A study in which (ⅰ) a general process of intellectual, spiritual and aesthetic development, (ⅱ) a particular way of life, whether of a people, a period, a group, or humanity, (ⅲ) the works and practices of intellectual and especially artistic activity, defined by Raymond Willians (1983). The first, third definition is identified with the meaning of the museum. Cultural Space is a spiritual place and communication and cultural champ rather than physical place, the psychological distance is need to made to be close interaction. By building up needs of human (cognitive needs, aesthetic needs, self-actualization are a desire of high level to the human) along with Industrial development, people need the feasible place. Here is a ‘The Third Place’, and coexist with nature, culture, art. The third place ‘Mood Management’ components (Landmark, Malling, Concept Line, Core Attraction) are conceptualized through directed Strategy (Brain Scripts, Inferential Beliefs, Cognitive Maps, Time Line, Antizipation, Sentence frames, Media Literacy). In addition, Reseum can be measured and analyzed the SEMs (sense, feel, think, act, relate) through evaluation tools developed by Bernd Schmitt. This thesis strategically planned to the specific experience providers (communication, identity, architecture, branding, spatial environment, website, human factors) of Reseum. These experiential marketing methodology can be established a brand positioning and brand image settings to measure of the brand value and assets. This thesis was proved that the experience module in ‘The Third Place’ of the basis of mood management about Reseum, as well as the purpose in order to suggest a strategic plan the present and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디자인매니지먼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