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선옥-
dc.contributor.author오지현-
dc.creator오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7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8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82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선율악기인 소금과 리듬적인 역할의 거문고와 장구로 구성된 조원행 작곡의 중주곡 <소금과 거문고를 위한 역동>을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작곡가 조원행의 음악적 배경과 작품세계를 살펴보고 이 곡의 구조를 박자, 장단, 조성에 따라 다섯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의 선율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소금과 거문고를 위한 역동>은 원래 관현악 협주곡인 <거문고와 Flute을 위한 ?重協奏曲 역동(力動)>을 재구성한 곡이다. 원곡인 <거문고와 Flute을 위한 ?重協奏曲 역동(力動)>은 성남시립국악단 제7회 정기연주회 ‘신춘음악회’에서 초연되었다. 그 후에 플루트 대신 대금으로 편곡되었고 2009년 권용미독주회에서 소금으로 재구성되어 <소금과 거문고를 위한 역동>으로 초연되었다. 이 곡은 총 212마디로 악장의 구분이 없는 단악장이며 작곡가와의 대담을 통해 악곡 구분을 A - B - C - D - D′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부분의 구조는 제1마디~제28마디로 소금의 카덴차(cadenzaⅠ)로 시작하고 거문고 카덴차(cadenzaⅡ)가 순차적으로 연주됐다. 소금 카덴차(cadenzaⅠ)의 빠르기는 ♩=50 박자는 4/4+5/4+4/4, 거문고 카덴차(cadenzaⅡ)의 빠르기는 ♩=60박자는 6/4박자로 표기되어 있고 tempo rubato로 자유롭게 연주되며 조성은 f minor로 나타났다. 소금선율의 동기(motive)를 제시하고 곡 전체의 복선적인 역할을 하며 악센트와 스타카토, 32분음표, 16분음표 그리고 6잇단음표의 반복출현이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소금의 화려함이 돋보였다. 또한 유사한 리듬형태로 구성된 세부분의 연결구를 통해 음악흐름의 전환을 돕고 있었다. cadenzaⅡ의 거문고는 개방현을 활용하여 화음을 만들고 동시에 베이스 역할과 함께 선율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둘째, B부분은 제29마디~제64마디로 구성되고 이는 다시 a와 b의 형태로 나뉘며 b부분은 싱코페이션(syncopation)이 주요리듬으로 나타났다. 조성은 f minor, 빠르기는 ♩.=48 박자는 6/8박자이다. 거문고가 베이스 파트 부분을 16분음표로 된 오스티나토 기법으로 연주하는 동안 소금이 16분음표와 32분음표로 화려함이 돋보이는 주선율과 syncopation 효과로 긴장감을 증가시켰다. 이 부분은 소금과 거문고 선율의 메기고 받는 형식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셋째, C부분은 제65마디~제143마디이고 구조는 a, b, a′, cadenzaⅢ, c로 나뉘었다. 곡의 주제선율이 나타나는 a, b, a′의 빠르기는 ♩.=46이고, cadenzaⅢ는 빠르기가♩.=32로 느려지고 c에서 다시 주제선율보다 조금 빠른 ♩.=48로 구성되었다. 이 부분은 6/8과 8/8의 변박이 출현한다. 앞부분의 A, B의 긴장감과는 다른 한층 여유로운 전형적 굿거리장단이 나타났다. 주제선율의 주요 구성음은 e♭, f, a♭, b♭, c 로 형성되어 토속적인 민요의 성향이 나타났다. 제84마디, 제91마디는 박자 6/8에서 8/8로 변화하고 이는 긴장감을 완화하고, 반음계적 스케일이 출현하는 새로운 시작의 연결구로 나타났다. 소금의 연주에 연결하여 거문고의 카덴차가 연주되고 거문고의 개방현의 활용이 활발히 이용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 중주곡은 관현악의 장엄함은 미약하나 카덴차를 통해 각 악기의 특징인 소금의 화려함과 섬세함을, 거문고는 술대로 개방현을 유용하게 사용하고 대점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효과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원곡은 플루트로 연주되어 주법이 트리플텅깅(triple tonguing), 플러터텅깅(flutter tonguing) 등 서양주법이 나타났다. 넷째, D부분은 제144마디~제172마디로 구조는 a, b. c(연결구), d의 형태로 나누었다. 조성은 E♭ Major로 변화하고 빠르기는 ♩.=124 박자는 12/8박자이다. 거문고와 소금의 메기고 받는 형식이 출현하고 unison으로 연주하여 클라이맥스 느낌을 나타냈다. 거문고는 ♩♪♩♪♩♩♩ 리듬을 기본으로 장구는 ♩♪♪♩♩♩♩ 의 리듬을 기본으로 조금씩 변화하고, 거문고와 소금이 리듬형태를 다르게 나타낸 폴리리듬(polyrhythm)이 출현하여 거문고는 6beat로 소금선율은 2beat로 연주되는 연결구를 통해 주제선율이 나타났다. 다섯째, D′부분은 제173마디~제212마디로 D의 주제선율이 발전된 형태로 재현되므로 ?′로 표시하였다. 이 부분의 구조는 주제선율이 나타나는 a와 클라이맥스를 유도하는 b로 나뉘었다. 빠르기는♩.=124, 박자는 12/8박자이며 조성은 다시 f minor로 변화하였다. 거문고의 ♩♪?♩♪? /♩♪?♩♩♩형태의 반복되는 리듬 위에 소금의 도약진행과 유사진행의 반복출현, 상행진행과 하행진행의 반복으로 클라이맥스에 도달했다. 조원행 작곡 <소금과 거문고를 위한 역동>의 분석을 통해 소금이 화려한 기교적인 부분을 연주하는 독주악기라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앞으로의 창작음악에서 소금의 발전을 위한 계기가 되길 바라며 이 곡을 연주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This thesis analyzes the piece <The Dynamics for Sogeum and Geomungo> composed by Cho Won-haeng and played with the Korean wind instrument sogeum, the zither geomungo, and the drum janggu. It examines musical backgrounds and works of the composer Cho Won-haeng and then looks into the structure of the piece-divided into the five sections depending on rhythmic and modal components-focusing on melodies of each section. <The Dynamics for Sogeum and Geomungo> is the rearrangement of the orchestral concerto <Dynamics: the Duet Concerto for Geomungo and Flute.> <Dynamics: the Duet Concerto for Geomungo and Flute> was premiered at the 7th Annual Spring Concert (called Sinchun eumakhoi) by Seongnam Municipal Gugak Orchestra. Afterwards, it was rearranged for daegeum instead of flute, and then for sogeum at the Kwon Yong-mi’s Recital in 2009. <The Dynamics for Sogeum and Geomungo> is composed of 212 bars without the division of movements. With the agreement of the composer, its structure has been divided into five sections: A - B - C - D - D′. Each section i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 of the section A, including the bars 1 - 28, begins with sogeum cadenza (cadenza I), followed by geomungo cadenza (cadenza II). Sogeum cadenza is played in the combined meter 4/4+5/4+4/4 (♩=50), while geomungo cadenza in f minor is supposed to be played in 6/4 (♩=60), but can be played freely as "tempo rubato." Sogeum cadenza presents the motive of sogeum's melody and plays a role of foreshadowing for an entire song. The repetitive appearance of accent and staccato, 32-note, 16-note, and sextuplet heightens the atmosphere and shines the colorfulness of sogeum. The connector of the three-part consisting of a similar rhythm helps with the conversion of the music flow. Geomungo in cadenza II creates melodies and a harmony as well as playing the role of bass by utilizing open strings. Second, the section B, including the bars 29 - 64, is divided into the part a and the part b; the syncopation appears in the main rhythm in the part b. Its scale is f minor and its meter is 6/8 (♩.=48). While geomungo plays 16-notes in ostinato like the bass, while sogeum plays the main melody with the colorfulness of 16-notes and 32-notes and increases the tension with the syncopation. This section is characterized by the call and response between sogeum and geomungo. Third, the section C, including the bars 65 - 143, is composed of a, b, a ', cadenza III, and c. The tempo of the parts a, b, and a ' in which the theme melody appears is ♩.=46, and the tempo of cadenza III decreased as ♩.=32. Then, the tempo of the part c gets slightly faster as ♩.=48 and the irregular meters like 6/8 and 8/8 emerge in this part. The rhythmic pattern of section C is gutgeori jangdan, typically more relaxed compared to the previous sections. The primary notes of the theme melody are e♭, f, a♭, b♭, and c, which represents folk songs. The bars 84 and 91 show the change of the meter from 6/8 to 8/8, which relieves the tension and becomes a connector for the emergence of the chromatic scale. It is characterized by the performance of geomungo cadenza in connection with sogeum's performance and the proactive utilization of geomungo's opening strings. This duet has less grandeur compared to orchestral pieces but expresses colorfulness and sophistication of sogeum and maximized effects of geomungo's techniques playing opening strings with suldae (sticks), through cadenza. The original song played with the flute features western techniques such as triple tonguing and flutter tonguing. Fourth, the Section D, including the bars 144 - 172, is composed of a, b, c (connector), and d. Its scale is E♭Major and its meter is 12/8 (♩.=124). Geomungo and sogeum in the call and response form play in unison and give the climax feeling. The basic rhythm of geomungo is ♩♪♩♪♩♩♩ and the janggu's rhythm based on ♩♪♪♩♩♩♩ changes little by little, while the polyrhythm that geogumgo and sogeum play respectively in 6 beats and 2 beats appears in the connector, through which the theme melody appears. Fifth, the Section D', including the bars 173 - 212, shows the development of the theme melody of the Section ?. The structure of this section is divided into the part a and the part b, respectively in which the theme melody appears and which leads to the climax. Its scale returns as f minor and its meter is 12/8 (♩.=124). Sogeum, based on the repeated rhythm of geomungo (♩♪?♩♪? /♩♪?♩♩♩), reaches the climax through the repetition of conjunction and disjunction progressions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progressions. This analysis of the Cho Won-haeng composition <The Dynamics for Sogeum and Geomungo>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sogeum is a solo instrument that can play the virtuosity. I hope that this study could help to perform this piece and further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geum in new compositions of Korean musi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2 Ⅱ. 본론 3 A. 작곡자 조원행의 음악적 배경 및 작품세계 3 B. <역동> 작품개관 4 1. 작품 해설 4 2. 악곡 구조 6 C. <역동> 악곡 분석 7 1. A 부분(제1마디~제28마디) 8 2. B 부분(제29마디~제64마디) 16 3. C 부분(제65마디~제143마디) 24 4. D부분(제144마디~제172마디) 39 5. D'부분(제173마디~제212마디) 46 Ⅲ. 결론 55 참고문헌 58 부록 악보 60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688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조원행 작곡 <소금과 거문고를 위한 역동>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tical Study of "The Dymanics for Sogeum and Geomungo” Composed by CHO Won-haeng-
dc.creator.othernameOh, Ji Hyeon-
dc.format.pagevii, 76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291-
dc.contributor.examiner강영근-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김묘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