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2 Download: 0

유제원의 작품 연구

Title
유제원의 작품 연구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ree compositions by Jae-won You. : Talking for Bb clarinet, violin and cello (2014) ;Reminiscence for piano duo (2014) ;Chaos for Bb clarinet, two violins, viola, cello and piano (2014)
Authors
유제원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승현
Abstract
본 논문은 유제원의 세 개의 작품 Bb클라리넷, 바이올린, 피아노를 위한 <말하다>(2014),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회상>(2014), Bb클라리넷, 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피아노를 위한 <혼돈>(2014)에 대한 연구이다. 이 세 작품은 석사학위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회에서 연주된 작품으로 2014년 5월 29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국악연주홀에서 초연되었다. 이 논문은 각 작품의 작곡 배경과 형식, 음악적 특징에 대해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세 작품 전체의 작곡 배경과 의도, 음악적 아이디어와 함께 작품의 형식과 주요 음소재를 살펴볼 것이다. 이후 음소재의 활용방법과 함께 각 곡마다 집중적으로 사용된 전개 기법상의 특징에 대해 세부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Bb클라리넷, 바이올린, 피아노를 위한 <말하다>은 세 부분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음열의 모티브를 활용하여 만든 세 개의 음계를 사용하고 있다. 중심음인 각 음계의 첫 음은 여러 형태로 변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중심음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지 않으며 사용되는 음들을 그 주변의 음으로 파생되어가는 형태로 조직하였다. 이때 중심음을 포함한 곡의 주요 음정을 음색 변주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말의 모호성과 파생성을 나타내었다.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회상>은 A-B-C-D-E-F의 여섯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로버트 슈만 (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작품 중 가곡 「시인의 사랑」(Dichterliebe Op.48, 1840) 중 제 5곡 ‘나의 마음 적시리’(Ich will meine seele tauchen)의 첫 마디에 제시된 음들을 모티브로 사용하였다. 두 대의 피아노에서는 열두 개의 음으로 구성된 서로 다른 음구조가 제시되는데 이 구조는 네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곡 전체에서 활용되었다. 곡의 마지막 부분은 슈만에 대한 회상부분이며 곡의 모티브로 사용된 슈만 가곡의 첫 마디 성악선율에 나타나는 세 개의 음의 진행으로만 이루어졌다. 곡의 전반에서 피아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음향적 효과를 시도하여 음색의 다양화를 시도하였다. Bb클라리넷, 두 대의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피아노를 위한 <혼돈>은 크게 두 부분 형식인 A-A’, 세부적으로는 A-B-C-A’-B’-C’의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전체 곡에서 두 개의 주요 음구조를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두 개의 구조로부터 확대되거나 변형된 다양한 형태의 음구조를 수평적, 수직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질서와 무질서의 경계가 불분명함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세 곡의 주요 음소재 및 음소재의 전개방법과 아이디어를 알아봄으로써 각 곡의 제목과 이를 곡에서 사용되는 음악 언어 간의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This thesis is an analytic study of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configurations and pitch materials of Jae-won You’s works. These were performed on her graduate recital, May 29, 2014 at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usic Recital Hall, and include the following: Talking for Bb clarinet, cello and piano, Reminiscence for piano duo; Chaos for Bb clarinet, two violins, viola, cello and pia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the background of composition and musical development of the principal pitch structure. Talking for Bb clarinet, cello and piano, is a single movement piece in the ternary form (A-B-A’). Three transpositions of a derived well-tempered overtone-series scale are used, based on the lowest pitch of each instrument. The principal pitch structure, Set-Type [01234] (consisting of five tones of the each transpositions such as B-C-C#-D-D#, D-D#-E-F-F# and E-F-F#-G-G#) is developed and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In this process, the transpositions are overlapped and reduced within their common pitches of each transposition, and presented through klangfarbenmelodie in the development as a representation of the idea of “Talking.” Reminiscence for piano duo is a six-part through-composed, single movement work. The two primary pitch constructions are aggregates derived from the tones B and A#: these pitches allude to the first measure of Robert Schumann’s Dichterliebe, op. 48, No.5 “Ich will meine seele tauchen”, and are presented on the two pianos respectively. This material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presented in order, and changed to various forms. The last part of this work also expresses the remembrance of Schumann by using only three tones A#, B, C# from the first measure of the same work. Also significant, the piano is used as a timbral instrument through out the piece. The final work, Chaos for Bb clarinet, two violins, viola, cello and piano, is in a single movement that utilizes a binary form (A-A’). Its two primary pitch constructions are Set-Types [026] and [012], which are expanded into various new Set-Types through the concept of “Net-structure.” These patterns imply vertical clusters, forming a new referential color. In this way, this harmonic motive works up to a climax that expresses chaos. In conclusion, this analysis discusses the various types of compositional ideas and techniques used in three works of Jae-won You. Through structural, harmonic and timbral analysis, this thesis demonstrates how the musical ideas, the composer’s viewpoint correlate to each work’s titles, and how the musical material is developed. These processes show the unity from the smallest details to the larger structures of each pie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