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최유미-
dc.creator최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6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611-
dc.description.abstract표형병瓢形甁은 두 개의 동체가 상하로 연결된 박 모양의 병을 말한다. 박을 본떠 만든 기물은 이미 중국에서 신석기시대부터 등장하였고, 한국에서도 고려시대에 청자와 도기로 제작되어 조선시대로 계승된다. 그러나 조선 백자 표형병은 병의 구연을 부풀게 하여 제작된 이전시기와 달리, 다른 두 개의 기물을 상하로 연결하는 특성으로 보다 장식적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제작 전통에도 불구하고 표형병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 백자 표형병을 분석하여 개념과 연원, 중일과의 영향관계, 조형 및 편년과 용도에 이르는 종합적인 연구를 처음 시도한 논문이다. 이를 통해 조선 백자 조형의 한 측면으로서 백자 표형병의 전반적인 제작 양상과 용도와 관련한 문화사적 함의를 밝히고자 한다. 표형병이라는 명칭은 박을 지칭하는 다양한 용어에서 유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자료를 통해 조선시대에 표형병의 조형을 ‘호로葫蘆’라고 하였음을 밝혔다. 이처럼 현재의 명칭과 차이를 보이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나타난 것으로, 호로의 조형을 ‘표·표단瓢簞’이라 하였던 일본의 용어가 반영되어 현재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나 학계에서 거의 100년간 ‘표형병’이라는 명칭이 통용되어 왔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표형병’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표형병은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제작되었던 기물이다. 고려시대에는 표형병에 시문된 시명과 문헌자료, 요대遼代 벽화를 통해 표형병이 주기나 다기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청자 표형병을 모본으로 한 도기 표형병도 제작되었는데, 간혹 동체에 구멍이 있어 정병과 같은 용도나 부장 등의 의례용도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고려시대 표형병 제작전통은 조선 분청사기 표형병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조선 초기 백자 표형병 제작에도 영향을 주었다. 조선시대 백자 표형병이 제작된 시기, 이미 중국과 일본에서도 도자 표형병이 양산되었다. 이에 각국 표형병 제작의 기원과 변천을 살펴보고, 중국 명·청시기와 일본의 모모야마시기 이래 제작된 도자 표형병과 조선 백자 표형병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두 개의 다른 동체를 결합하는 제작방식과 더불어 백자 각형 표형병과 삼단·사단 표형병 조형에서 중국과의 영향관계를 찾아볼 수 있었다. 19-20세기 일부 백자 표형병에서는 조형적인 측면에서 일본의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방적인 수용이 아니라 당시 조선의 제작기법과 미감을 반영해, 주체적으로 변형하여 독자적인 조형을 구축해 나갔다. 이에 백자 표형병의 조형에 따라 유형을 나누고, 장식기법과 각 동체에 시문된 문양을 분석하였다. 두 개의 기물이 상하로 연결된 표형병을 Ⅰ유형, 동체 3개가 위로 쌓인 삼단 표형병을 Ⅱ유형, 네 개의 동체를 쌓은 사단 표형병을 Ⅲ 유형으로 대별하고, 표형병이 부수적으로 부착된 상형연적을 Ⅳ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Ⅰ유형에서 Ⅳ 유형으로 갈수록 장식적이고 시기도 늦어진다. 특히 Ⅳ 유형은 주로 조선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서수瑞獸에 표형병이 부착되어 길상성과 장식성이 극대화된 조형이다. 이는 조선 후기 관요의 장식적인 백자 생산 경향에 의한 것이다. 장식기법에는 청화, 철화, 음각, 양각, 동화기법 등이 확인되었다. 백자 표형병은 18-19세기 광주 금사리와 분원리 관요시기 청화기법으로 장식된 것이 가장 많고, 여러 장식기법이 혼합되어 시문되는 경우도 있었다. 문양으로는 식물문이 주를 이루고, 간략화 된 문양이 자주 확인된다. 간략화 된 문양을 통해 분원리 시기의 빠른 시문공정을 유추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 동체에 시문된 문양 간 대략적인 조합 경향을 파악하였다. 표형병은 물이나 술을 담는 용기로 사용되었다. 여기에 덩굴식물로 뻗어나가고 씨가 많다는 박의 특징으로 표형병은 장수와 풍요를 비는 길상의 의미로 애호되었다. 아울러 백자 표형병 제작은 유교와 관련된 예제와 도교 및 신선과 관련한 상징의미를 배경으로 한다. 조선시대 왕실주도의 유교질서가 확립되는 분위기 속에서 백자 명기 표형병이 사용되고, 왕실에서는 의례용 주기로 표형병을 사용하였다. 한편 표형병은 중국에서 은자와 신선의 지물로 술병이나 세속과 구분되는 선경의 입구로서 오래도록 애호된 조형이었다. 조선 중기 표형병은 전란과 정치적 혼란을 겪은 문인들에게 탈속의 상징으로 애호되었다. 이는 표형병에 시문된 술과 관련된 시명, 문인들이 표형병을 수장하거나 애호하였던 기록 그리고 표형병(호리병)을 지닌 신선이 그려진 회화자료를 통해 밝혀 낼 수 있었다. 또한 청대 <다보격미인도多寶格美人圖>와『장물지長物志』그리고 조선 시대 책거리 그림에서 표형병이 꽃병이나 방안을 장식하는 기물로 활용된 정황도 포착하였다. 특히 조선 후기로 갈수록 표형병은 장생불사하는 신선의 지물로, 장수를 상징하는 길상의미가 강조되어 도자를 비롯한 각종 공예에 활용되었다. 이처럼 백자 표형병은 조선시대 백자 생산의 한 측면을 보여주는 사례이자, 유교와 도교관련 상징물로서 조선시대 도자사·문화사적 일면을 엿볼 수 있는 기물이다.;Pyohyungbyung(瓢形甁) means a gourd-shaped bottle, upper and lower bodies are connected. The object made from the shape of gourd already appeared since New Stone Age in China, also in Korea, it was transmitted to Goryeo period by being manufactured as celadon and pottery. However, Joseon's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Pyohyungbyung) could be transformed to more decorative and various shapes with the characteristic of connecting two bodies up and down,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period when the bottle was produced by swollen mouth. Nevertheless such production tradition, there's almost no independent research on gourd-shaped bottle. This research tried synthetic research for the first time on the concept and origin, influencing relationship with China and Japan, form, chronicle and use by analyzing Joseon's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 Through this, this research intended to determine literary historical implication related to the overall production aspect and use of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 as an aspect of Joseon's white porcelain formation. The name, gourd-shaped bottle, came from various terms that call gourd.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the formation of gourd-shaped bottle of Joseon was 'Horo(葫蘆)’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This way, difference from present name began to appea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 20th century, Japanese term, 'Pyo·Pyodan(瓢簞)’, formation of Horo, was reflected and has existed so far. However, this research used the name 'Pyohyungbyung', since the name has been generally used almost for 100 years in the academic world. Gourd-shaped bottle is an object that has been produced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Goryeo period. This research assumed that gourd-shaped bottle was utilized as the drinking vessel or tea cup during Goryeo period, through the prose engraved in gourd-shaped bottle, literature data, and Liao Dynasty mural. Also, pottery gourd-shaped bottle was produced based on celadon gourd-shaped bottle, that sometimes has holes in the body, which shows a possibility of the ritual use as Jeongbyung(淨甁) or Bujang(副葬品, burial goods), etc. Such gourd-shaped bottle production tradition of Goryeo period not only influenced Joseon Buncheongsagi gourd-shaped bottle, but also early Joseon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 production. During the period of producing Joseon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 was produced, pottery gourd-shaped bottle was mass-produced already in China and Japan. He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origin and change of gourd-shaped bottle production of each country, and determined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pottery gourd-shaped bottle and Joseon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 which had been produced since Chinese Ming· Qing dynasty and Japanese Momoyama period. In China, influencing relationship with Joseon could be determined, in respect of gourd-shaped bottle of each country, three-stage· four-stage gourd-shaped bottle formation along with production method that combines two different objects. In some of gourd-shaped bottle during the 19th - 20th centuries, it was determined that they were influlenced by Japan a lot in respect of formative aspect. However, it was not an one-sided acceptance, but they established independent formation independently changing by reflecting production technique or sense of beauty of Joseon during that time. Here, this research divided types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 and analyzed decorative technique and patterns engraved in each object.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gourd-shaped bottle connected with two bodies up and down as typeⅠ, three-stage gourd-shaped bottle, piled up with 3 bodies upwards as type Ⅱ, four-stage gourd-shaped bottle, piled up with 4 bodies as type Ⅲ, and the formative Yeonjeok(硯滴)additionally attached with gourd-shaped bottle as type Ⅳ. As the type Ⅰ developed to type Ⅳ, it became decorative and delayed. Particularly, type Ⅳ was confirmed mainly in Joseon, which is a formation that was maximized with Gilsangseong(吉祥) and decorativeness by attaching gourd-shaped bottle to Seosu(瑞獸). This was based on production tendency of decorative white porcelain of late Joseon Bunwonri Gwanyo(官窯). In respect of decorative technique, Cheonghwa(cobalt blue drawings), Cheolhwa(underglaze iron), Eumgak(intaglio), Yanggak(embossed carving), and Donghwa(underglaze copper) technique, etc. were determined.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 was mostly decorated with Gwangju Geumsari and Bunwonri Gwanyo period Cheonghwa technique of the 18th - 19th centuries, some of them were engraved by being mixed with various decorative techniques. In respect of the patterns, plant pattern frequently appeared, and simplified pattern frequently appeared. Through the simplified pattern, this research could analogize the rapid engraving process during Bunwonri period. Also, investigated rough formation tendency among the patterns engraved in each body. Gourd-shaped bottle was utilized as a vessel that contained water or alcohol. Here, as the characteristic of gourd, which spreads as a vine plant and has lots of seeds, gourd-shaped bottle was preferred as the symbol of Gilsang, to wish long life and richness. Also,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 production was based on the symbolic meaning of gourd-shaped bottle related to the ceremony, Taoism, and Taoist hermit related to Confucianism. In the atmosphere that Confucian order with the lead of Joseon royal family was established, white porcelain famous vessel gourd-shaped bottle was utilized, and the royal family utilized gourd-shaped bottle as the ceremonial alcohol vessel. On the other hand, gourd-shaped bottle was a vessel that was preferred long time as the entrance of Seongyung(仙境), divided from the alcohol bottle or the world, as the object of the hermit or Taoist hermit in China. In mid-Joseon period, gourd-shaped bottle was preferred as the symbol of unworldliness for the literary people who underwent war and political confusion. This could be determined through the prose engraved in gourd-shaped bottle, related to alcohol, the record that the literary people possessed or liked gourd-shaped bottle, and the paintings painted with the Taoist hermits who had gourd-shaped bottle(Pyohyungbyung). Also, it was confirmed that gourd-shaped bottle was utilized as an object that decorated the vase or the room, in Qing dynasty <Dabogyukmiyindo(多寶格美人圖)>, 『Jangmulji(長物志)』, and Joseon book drawings. Particularly, during the late Joseon, Gourd-shaped bottle was utilized in various crafts including pottery, by emphasizing the meaning of Gilsang, which symbolized long life, as the object of Taoist hermit. This way,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 was an example that showed an aspect of Joseon white porcelain production, also, an object that showed an aspect of Joseon pottery history· cultural history, as a symbol of Confucianism and Taois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표형병의 개념과 연원 4 A. 표형병의 개념과 조형에 대한 인식 4 B. 표형병 조형의 연원과 제작양상 15 1. 조선시대 이전의 표형병 제작양상 15 2. 조선시대 분청사기 표형병의 제작 22 C. 중국·일본 표형병 제작 양상과 영향 25 1. 중국 표형병 제작과 영향 26 2. 일본 표형병 제작과 영향 38 Ⅲ. 조선 백자 표형병의 조형과 장식 44 A. 기형 44 1. Ⅰ유형 44 2. Ⅱ유형 60 3. Ⅲ유형 62 4. Ⅳ유형 63 B. 장식기법과 문양 67 1. 주문양 68 2. 종속문양 93 3. 문양조합의 경향 98 Ⅳ. 조선 백자 표형병의 용도와 시기구분 101 A. 백자 표형병의 용도 101 1. 부장용 101 2. 의례용 104 3. 완상용 106 4. 장식용 110 B. 시기 구분 113 Ⅴ. 맺음말 118 참고문헌 122 도판 목록 132 도판 135 ABSTRACT 14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781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조선시대 백자 표형병(瓢形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White Porcelain Gourd-Shaped Bottle(瓢形甁, Pyohyungbyung) in the Joseon Dynasty-
dc.creator.othernameChoi, Yu Mi-
dc.format.pagevii, 145 p.-
dc.contributor.examiner이종민-
dc.contributor.examiner장남원-
dc.contributor.examiner전동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