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윤난지-
dc.contributor.author김정아-
dc.creator김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9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99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올라푸 엘리아손(Olafur Eliasson, 1967~)의 작업을 인공자연 개념이라는 측면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엘리아손은 199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자연의 요소들을 과학기술의 원리와 결합시킴으로써 ‘인공자연(artificial nature)’을 연출하는 작업을 시도해왔다. 이러한 그의 인공자연 작업은 장소 특정적 설치를 비롯하여 사진, 조각, 그리고 건축가와의 협업 프로젝트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구현되어왔다. 지금까지 엘리아손에 대한 연구가 관람자의 신체를 통한 시지각적 체험에 집중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면, 본고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인공자연 개념의 저변에 인간과 자연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선행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엘리아손이 자연을 작업의 축으로 삼아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발전시켜 나갔다고 보고, 그의 인공자연 개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드러났는지 크게 세 가지 종류의 사례들로 나누어 밝히고자 하였다. 엘리아손 작업에서 인공자연은 우선 미술관을 비롯한 도심 공간에 일시적인 스펙터클로서 드러났다. 장소 특정적 특성을 보이는 작업들은 자연의 일부를 미술관 내부로 끌어들이거나 실제 자연환경에 연출되어 직접적인 체험을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초자연적인 감흥을 불러일으킨다. 스펙터클한 자연경관의 재현은 궁극적으로 일상적인 공간에 낯선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주변 환경의 조건을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인식의 변화를 독려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엘리아손의 인공자연은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자연의 스펙터클을 재현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회복시키고, 더 나아가 테크놀로지가 초래한 환경의 위기를 자각하게 한다. 한편 엘리아손은 빛과 색채에 의한 시지각적 반응을 심도 있게 탐구함으로써 자연의 빛을 인공적으로 연출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미술관 공간에서 관람자가 인공조명을 체험하는 작업은 초자연적인 경험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초월적 공간에서의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인공광선을 이용하여 자연의 정경을 연출한 경우는 인간이 대자연 앞에서 경험하게 되는 숭고의 정서에 상응하는 몰입의 경지까지도 이끌어낸다. 인공자연은 또한 건축을 통해서도 발현되었다. 엘리아손은 주변 환경과 자연스럽게 조응하는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자연의 요소에서 차용한 재료를 이용하여 자연을 환기하게 하는 건축적 공간을 연출한다. 또한 건축가와의 협업을 통해 주변 환경과 통합된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도 한다. 그에게 건축은 인공자연의 확장된 사례에 다름 아니다. 엘리아손은 인간의 거주 공간이자 문화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건축의 사회적 의미를 제고하게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풍경과 건축, 개인과 사회가 통합된 총체적 의미의 인공자연 개념을 통해 모든 생명체가 공존하는 생태적 유토피아를 제안한다. 이렇게 다양한 형식을 넘나들며 여러 유형으로 전개되는 엘리아손의 인공자연 작업은 자연을 근간으로 출발하여 환경문제로까지 그 의미를 확장해왔다. 그의 작업은 테크놀로지에 의해 연출된 자연이 오히려 본래의 자연을 성찰하게 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 그는 결국 자연을 재인식하게 함으로써 자연 속의 인간을 염두에 두는 거시적인 의미의 인본주의로의 변화를 촉구하는 셈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공자연 개념을 살펴본 본 논문은 엘리아손의 작업을 인문, 사회학적 측면으로까지 확장시켜 고찰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orks of Olafur Eliasson (1967~) for aspects of the artificial nature concept. Since the early 1990s to the present day, Eliasson has been attempting to produce works that combine aspects of nature with principles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create “artificial nature.” These works of artificial nature have been manifest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site-specific installations, photography, sculptures, and collaborative projects with architects. While previous research on Eliasson has mainly focused on the viewer’s physical experience of visual perception, this paper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a reflection on the basis of humans and nature underlies the concept of artificial nature. Through this I posit that Eliasson developed a unique artistical world by taking nature as the axis of his work and show how his concept of artificial nature was revealed using largely three types of examples. First of all, artificial nature was revealed in Eliasson’s works as temporary spectacles in urban spaces including art galleries. Works that show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either bring part of nature into the gallery or are produced within real natural environments to elicit a supernatural feeling through direct experience. A reproduction of spectacular natural scenery ultimately presents an unfamiliar situation in a familiar space, thus encouraging a change in perception through a revisiting of the condition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is, Eliasson’s artificial nature uses technology to reproduce the spectacle of nature, thus reviving a weakened respect for nature. Furthermore, it brings about a recognition of the danger that technology has brought on the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Eliasson attempted works that artificially render nature’s light by exploring in depth the response of visual perception to light and color. Works that allow the viewer to experience artificial lighting in the space of an art gallery induces a supernatural experience, and this enables immersion in a transcendant space. 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artificial light is used to render nature’s scenery, a level of immersion is reached that corresponds to the sublime emotion that humans experience in the face of the great outdoors. Artificial nature was also manifested through architecture. Eliasson installs structures that naturally blend in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architectural spaces that evoke nature by using materials borrowed from elements of nature. Also, he collaborates with architects on architecture projects that integrat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him, architecture is not different from an expanded example of artificial nature. Eliasson goes beyond heightening the social meaning of architecture as the space for human residence and production of culture to suggest an ecological utopia where all forms of life coexist through the umbrella concept of artificial nature which combines scenery, architecture, individuals, and society. As shown in these numerous types of work that encompass various forms, Eliasson’s works on artificial nature began with its roots in nature and has expanded its meaning to even environmental issues. His works deserve attention especially for the fact that nature reproduced with technology actually promoted reflection on nature itself. In the end, by allowing a new recognition of nature, he promotes a change towards humanism in the macroscopic sense that takes humans into consideration within nature. From this perspective, the significance of the current study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ncept lies in its consideration of the wider humanistic and sociological aspects of Eliasson's work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엘리아손의 인공자연 개념의 형성 배경 6 A. 당대 미술과 과학기술 6 B. 엘리아손의 초기 작업과 아이슬란드 자연환경 16 Ⅲ. 인공자연의 다양한 연출 사례와 그 의미 27 A. 스펙터클한 자연경관의 재현 27 B. 인공조명에 의한 초월적 공간의 연출 37 C. 건축을 통한 생태적 유토피아의 구현 48 Ⅳ. 결론 58 참고문헌 61 도판목록 67 도 판 75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1702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올라푸 엘리아손(Olafur Eliasson)의 작업을 통해 본 인공자연 개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rtificial Nature Concept in Olafur Eliasson’s Works-
dc.creator.othernameKim, Jeong Ah-
dc.format.pagev, 100 p.-
dc.contributor.examiner오진경-
dc.contributor.examiner전혜숙-
dc.contributor.examiner윤난지-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