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정소라-
dc.creator정소라-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14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8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149-
dc.description.abstract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은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산 해인사에 모셔진 진영상이다. 진영상(眞影像)이란 고승의 초승조각으로 해인사 희랑대사상은 얼굴과 신체 및 체격 등을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여 마치 생전 모습을 그대로 보는 듯하다. 희랑은 고려 태조를 도왔던 복전(福田)이며 화엄종에 정통한 고승이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생몰년이나 그의 화엄사상, 정치적 위치 등을 알려주는 자료는 많지 않다. 이로 인해 해인사 희랑대사상이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유일한 고승 초상조각이며 귀하고 다루기 어려운 재료인 건칠로 제작된 조각이라는 중요성에 비해 그동안의 연구는 부진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희랑이 어떠한 인물이고 입적 시기가 언제인지 보다 면밀히 분석하여 제작 시기를 규명하고자 하며, 동아시아 진영상의 기원과 전개를 살펴보면서 제작 배경을 유추하고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해인사 희랑대사상이 지닌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경제력과 자체 무장력까지 겸비한 해인사는 통일신라 말 합천 및 인근 지역에서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한다. 후삼국시대에 들어서며 합천은 고려와 후백제가 격전을 벌이던 전략적 요충지가 되며 양국은 해인사의 지지와 도움을 받고자 하였을 것이다. 이로 인해 해인사 교단은 정치적 입장 차이에 따라 후백제 견훤을 지지하는 관혜의 남악(南岳)과 고려 왕건을 지지하는 희랑의 북악(北岳)으로 나뉘어 대립하였으며, 이렇게 시작된 분열이 후대에 이르러서는 교리상의 차이로까지 확대되어 갔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해인사에서 왕건을 지지하고 북악을 이끌었으며 초상조각까지 제작된 희랑의 행적을 살펴보아야할 필요성이 있다. 먼저 최치원이 894~898년 경 그에게 증정한 시가 전해진다. 희랑을 용수보살이나 문수보살, 천재 등에 비유하며 그의 화엄경 강의를 찬탄하는 내용이며, 이를 통해 9세기 말 해인사에서 희랑이 화엄종의 대가로 명성을 얻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합천 지역에서 고려와 후백제가 치열한 접전을 벌였던 927~928년경에, 희랑은 화엄신중신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해인사 승군을 이끌어 왕건을 도왔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보답으로 고려 왕건에게서 토지 및 재물을 하사받아 해인사를 중창하는데 큰 역할을 해내었다. 그러나 후백제가 합천 지역을 점령하며 희랑은 해인사를 떠나 후삼국통일 직전인 934년경에는 김해 인근 서백사에 머물렀을 것으로 생각된다. 후삼국통일 이후 희랑이 흥녕사 원주였다는 기록은 그가 왕건과의 관계에서 나아가 고려 왕실의 충주 유씨 세력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충주 유씨 세력이었던 광종은 949년에 희랑에게 시호교지를 하사하며, 이는 곧 입적 시기 및 희랑대사상의 제작 연도를 944~949년으로 좁힐 수 있는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다음으로는 해인사 희랑대사상의 제작에 대한 실마리를 얻기 위해 동아시아 진영상의 기원과 전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진영상은 고대 중국의 육신상(肉身像)에서 시작하여 일본의 고승 초상조각으로 전개된 것으로 보여 진다. 고승의 입적 후 의도치 않게 미라화(mummification)되어 숭배 대상이 되었던 것에서 시작하여 수·당 시기에 본격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미라화되는 과정은 적절하고 세밀한 환경조건이 필수였으므로 성공하기 어려웠다. 이렇게 미라화에 실패하여 육신은 존재하지 않는 건칠초상조각 사례가 일본에 남아있는 감진상(鑑?像)이다. 감진은 도일을 시도하던 중 혜능의 육신상을 친견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자기 자신도 입적 후 육신상이 되길 원했지만 결국 유해는 화장하고 건칠초상조각을 안치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승의 유골을 부수어 흙과 섞어서 만든 소상(塑像)인 유회상(遺灰像)은 육신상과는 재료와 제작 방법이 다르지만, 예배의 대상이라는 목적은 같다. 삼국유사에 유회상이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지며, 현존 유물로 중국의 홍변상(洪?像)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기록 상 중국과 일본에 비해 육신상 및 유회상 제작이 활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배경에서 희랑대사상은 흔하지 않은 사례로 제작되었던 것으로 유추된다. 그 당시 고승의 일반적인 장례사례를 보아 희랑도 역시 부도와 탑비를 건립하고자 했을 것이다. 그러나 정치적 상황과 여러 난관으로 인해 해인사에 부도와 탑비를 세우거나 유골을 모셔올 수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택한 대안이 생전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희랑의 초상조각을 제작하는 것으로, 희랑을 추모하고 공양하며 더 나아가 해인사와 고려 왕실의 돈독한 관계를 널리 알리고 사찰의 위상을 높이고자 했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진영상의 경우처럼 희랑이 생전에 머물었던 해인사 내 승방에 안치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희랑대사상은 초상조각답게 극사실적인 표현들이 돋보인다. 얼굴의 세밀한 주름들은 희랑의 나이와 연륜을 느낄 수 있게 하며, 인자한 눈매와 얇은 입술에 번지는 옅은 미소는 전체적으로 인자한 고승의 인상을 자아낸다. 신체비례는 균형적이며 실제 사람이 앉아 있는 크기와 거의 비슷하다. 전체적으로 마른 체격이며 손의 힘줄과 손가락뼈, 울대뼈와 쇄골은 섬세하고 사실적으로 묘사되었다. 가슴에 있는 작은 구멍은 희랑이 영험함과 신통력을 지닌 고승으로 표현하기 위한 장치로 보인다. 희랑대사상의 의복은 당의 영향으로 장삼 위에 가사를 착용하였는데, 일본의 도전율사상(道詮律師像)과 의연승정상(義淵僧正像)에서도 비슷한 착의법이 보여 주목할 만하다. 현재 정확한 재료와 제작 기법은 유추하기 어려우나 다만 고려 후기 건칠불상과 전혀 다른 제작 기법이라는 것은 분명하다. 희랑대사상은 동시기 중국과 일본의 고승 초상조각 사례처럼 입적한 고승에 대한 추모와 숭앙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또 한편으로 사찰의 격을 드러내어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고승 입적 후 부도와 탑비의 건립이 일반적이었으나 부득이한 상황으로 건립이 불가능한 관계로 희랑의 진영상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유일한 진영상이 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건칠이라는 재료가 가진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희랑의 사실적인 모습을 재현한 진영상이라는 점에서도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is a Jinyeongsang(眞影像) placed at Haeinsa Temple in Gaya-san located i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Jinyeongsang refers to a portrait statue of a high priest of Buddhism, and the face, body, and physique in Dry-lacquered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at Haeinsa Temple which are realistically expressed almost suggests a real human in the past. Although Huirang is known as a Bokjeon (福田) to help Taejo during the Goryo Dynasty and a well-acquainted high priest with Hwaumjong, his accurate dates of birth and death, Hwaum ideology, and political status were not much revealed in the previous materials. Therefore, compared to the significance of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at Haeinsa Temple as the only portrait statue of high priest existing in Korea and a dry-lacquered status produced with scarcity and difficulty in craft, the previous studies so far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status by closely exploring who Huirang was and when he passed away and to shed new lights on the values of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at Haeinsa Temple by inferring and comprehensively investigating the production background with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Jinyeongsang in East Asia. Haeinsa possessing both of economic power and autonomous armed power exercised great influences in Hapcheon and the neighboring areas in the late period of Unified Silla. After the period of post-Three States, it was assumed that the both countries tried to achieve the support and cooperation from Haeinsa, as Hapcheon became a strategic location in which Goryo and Hubackje had severe battles. Accordingly, the religious body of Haeinsa divided into Gwanhye’s Namak (南岳) who supported Gyeonhweon of Hubaekje and Huiran’s Bukak (北岳) who supported Wanggeon of Goryo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political stances. Such conflicts seems to be gradually expanded to the differences in religious principles. The achievements of Huirang who supported and led Wanggeon and Bukak at Haeinsa and whose portrait statue was created should be examined. First, a poem dedicated to him by Choichiwon approximately in 894~989 still exists. The poem analogies him as Yongsubosal, Munsubosal, or a genius to celebrate his Hwaumgyeong lectures, which reveals that Huirang attained fame as a master of Hwaumjong at Haeinsa in the late 9th century. Moreover, approximately in 927~928 in which severe battles occurred between Goryo and Hubaekje in the Hapcheon area, Huirang seems to help Wanggeon by leading Buddhist monk army at Haeinsa which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Hwaumsinjung religion. To reward his efforts, he received lands and properties from Goryo Wanggeon and played a huge role to reestablish Haeinsa. However, as Hubaekje occupied the Hapcheon area, it is assumed that Huirang left Haeinsa and stayed at Seobaeksa located near Kimhae by 934 right before the unification of post-Three States. The record that Huirang was a head of Heungnyeongsa after the unification of post-Three States revealed that he was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Chungju Yu Family in addi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Wanggeon. Therefore, Gwangjong who belonged to Chungju Yu Family received a posthumous epithet in 949, and the document becomes a critical clue to narrow the production year of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at Haeinsa Temple and the date of his pass-away. Second,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Jinyeongsang in East Asia should be examined in order to explain the production of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at Haeinsa Temple. Starting from flesh-body icon (肉身像) of the ancient China, Jinyeongsang seems to be developed into portrait statue of high priest in Japan. Originated from the unintentional mummification after the death of high priest and its worship, it was developed in earnest in the Sui and Tang dynasty. However, the mummification process was hard to success due to the requirements of proper and complic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case of Dry-lacquered Seated Statue in which body does not exist owing to the failure of mummification is Gamjin(鑑?) in Japan. It is assumed that Gamjin directly witnessed the flesh-body icon of Hyeneung during a visit to Japan. It is also assumed that his body was cremated and Dry-lacquered Seated Statue was placed in spite of his willingness to become a flesh-body icon. A ashes-statue(遺灰像), a clay statue(塑像) made from ashes of high priest and soil, has the same objective as a subject of worship with different materials and production method from a flesh-body icon. A record that ashes-statue was created still exists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and the existing relics contain Hongbyeonsang (洪?像) in China. According to records, the production of flesh-body icons and ashes-statues were not active in Korea compared to Japan and China. It was assumed that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at Haeinsa Temple was one of rare cases. Considering the general funeral for high priests of that time, it was assumed that Huirang also wanted to build tower and tombstone. However, it seems that the political situations and other conditions did not allow the tower or tombstone at Haeinsa or brought his ashes. It is assumed that it aimed to commemorate Huirang in addition to announc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aeinsa and Goryo royal family and upgrade the temple’s position to a higher level by producing his portrait statue to realistically describe his living appearance as an alternative. It was also assumed to be placed in his room at Haeinsa like other cases of Jinyeongsang. Like other portrait statues,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had noticeable hyper-realistic expressions. The sophisticated wrinkles in his face present the age and experiences of Huirang, and his gentle eyes and slight smile in his thin lips give an impression of benevolent high priest. His body ratio is balanced, and the size is almost same as an actual sitting person. His physique is slender, and his tendons of hands, finger bones, Adam’s apple and clavicle are expressed in subtle and exquisite ways. A tiny hole in his chest seems to aim to express Huirang as a high priest with miracles and supernatural power.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wears Gasa on Jangsam influenced by the Tang Dynasty. It is worthy of notice that Dojeonyoulsasang (道詮律師像) and Euiyeonseungjeongsang (義淵僧正像) in Japan have similar outfits. The exact materials and production methods are hard to be inferred in these days. However, it is clear that it has completely different production methods from dry-lacquered statues in the late Goroy Dynasty.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was produced to cherish a dead high priest like the cases of portrait statues of high priests in contemporary Japan and China. It also attempted to improve the position of the temple by revealing its authority. Although the establishment of tower and tombstone was common in Korea after the death of a high priest, it was assumed that Huirang’s Jinyeongsang was created due to unavoidable circumstances, which resulted in the only existing Jinyeongsang in Korea. As a Jinyeongsang representing a realistic appearance of Huirang with utilization of dry-lacquered advantageousness, it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erms of art history as wel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해인사와 희랑대사 3 A. 나말여초의 해인사 3 B. 희랑의 행적 12 Ⅲ. 해인사 희랑대사상의 제작과 양식 25 A. 동아시아 진영상(眞影像)과 희랑대사상 25 B. 형식 및 양식 38 C. 제작기법 43 D. 제작시기 45 Ⅳ. 맺음말 46 참고문헌 50 도판목록 55 ABSTRACT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2002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乾漆希朗大師坐像)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ry-lacquered Seated Statue of Buddhist Monk Huirang at Haeinsa temple-
dc.creator.othernameJeong, So Ra-
dc.format.pageiv, 60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048-
dc.contributor.examiner장남원-
dc.contributor.examiner임영애-
dc.contributor.examiner홍선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