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2 Download: 0

다문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다문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e family
Authors
고명주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상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다문화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교육, 상담에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써의 활용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특별시(도시)와 경기도 지역(인천, 안상 등)에 소재하고 있는 다문화학교,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지역 다문화기관의 협조를 얻어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쓰이는 설문조사를 위해 구성된 질문지는 다문화학교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지도교사의 협조로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고,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문항은 일반적 특성과 사회적지지, 사회적 유능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 특성은 성별, 나이, 학년, 가구소득, 부모의 경제활동여부, 부모출신국가, 부모학력으로 하였고, 사회적지지에 대한 하위요인으로는 동일집단 친구, 동일집단 지역주민, 가족, 교사로 구성, 사회적 유능성에 대한 하위요인으로는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주도성, 인기도로 구성요인으로 설정하여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 사회적 유능성 인식차이를 보기 위해 T-test, One-way ANOVA,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을 통제변수로 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의 인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 다문화 아동에 대한 특성의 성별, 학년, 부모출신 국가, 부모생존 여부, 부모 학력, 부모 경제활동 여부, 월 수입의 모든 영역에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동일집단 친구, 동일집단 지역주민, 가족, 교사로 구성된 사회적 지지의 모든 요소와 사회적 유능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별 상관관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하위요인인 사교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동질집단 지역 요인을 제외한 동질집단 친구, 가족지지, 교사지지 모두가 사교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적응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해서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모두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참여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동질집단 지역을 제외한 동질집단 친구, 가족지지, 교사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도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가족지지 요인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인기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가족지지, 교사지지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가족, 교사, 또래로 부터 더 많은 지지를 받을수록 친구를 많이 사귀고,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놀이에 활발하게 참여하고, 놀이를 주도하고, 인기가 있다는 결과와 비슷하여 다문화 아동도 가족과 교사로부터의 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유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까지 다문화 아동의 동일집단 친구, 동일집단 지역주민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연구가 없었지만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일집단의 친구와 지역주민의 지지가 다문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다문화 아동의 사회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하는 사례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 가정와 아동의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사업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결혼이민여성을 활용한 다문화 전문 학교사회사업가 양성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문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기 위한 다문화 다양성을 인정하는 다문화 정책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서만 연구가 시행되었으므로 조사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서울 경기지역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설문이 진행되었으므로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 아동들의 경우 양상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부모의 소득활동 여부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on social competence of multi-culture children, with a view to use the result as the base data for effective educational and consultation services that can help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of multi-culture Children and develop multiple progra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mong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e families from 3rd year up to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urban area) and Gyounggi Area (Inchon, Ansang). The selection process was assisted by multi-culture schools, multi-culture family support centers, and regional multi-culture organizations. For the survey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the researchers used was pre-tested on 5th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owing to the assistance from the supervising teachers of multi-culture schools and multi-culture family support cente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pre-tes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djusted and supplemented so that the survey’s validity and reliability could be ensured. The question items in the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omponent included sex, age, grade, family income, economic activities of the parents, home country of the parents, and education of the parent. The subordinate factors for social support included friends in the identical community, local residents in the identical community, family, and teachers. The subordinate factors under social competence included social skills, social adaptability, social participation, leadership, and popularity.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factors were measured.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SPSS 20.0. And, in order to review the general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check the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nd the perceived social competence, T-test and One-way ANOVA method wee used, whi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in order to review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social competence. The result of our study was as follows. The result of analysis in the perceived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s the control factor showed that, all of the factors of gender, grade, parent’s home country, living/deceased parents, education of th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parents, and monthly income, affected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significantly. Our examin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that all of the factors of social supports, that is, friends in the identical community, the local residents in the identical community, family members and teachers, form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cial competence.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orrelation with 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competence was that, except for the local factors of the identical community, the friends,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ll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skills. As for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social adaptability, it turned out that all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support had influence. In addition, social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factors other than area of the identical community, that is, by the friends,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s for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leadership, it turned out that only the family support had an influence. As for the factors that affected popularity, it turned out that only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had influence. There i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he level of social competence also appeared to be higher. This is in line with the existing studies on social competence that children who received more support from the family, teachers, and peer group tended to make more friends, interact with the peer group more positively, participate in plays more actively, lead the plays, and be popular, signifying that the multi-culture children will also show higher social competence as the level of support from their family and teachers increases. Also, while there have not been any existing studies on social support from the friends and community members to multi-culture children and their social competence, this study showed that support from those groups affected the social competence of multi-culture children positivel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n order to support social adaptation of the multi-culture children, procedures to manage cases centered on social support should be establishe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network programs in order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on multi-culture families and multi-culture children. Third, multi-culture specialized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be trained, utilizing marriage-immigrant women. Fourt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specialized programs in order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e competency of school teachers.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lti-culture policies that recognize multi-cultural diversity in order to recognize cultural diversity. Finally, this study was limited to Seoul and Gyounggi area alone.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expand the regional scope of the study to the entire country. Also, as the survey was conducted mainly in the urban areas of Seoul and Gyounggi area, follow up studies on children in rural area will be necessary, as they may show different tendencies. Lastly, as this study showed that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parents did not affect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follow-up studies on this finding is needed,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