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5 Download: 0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협주곡> 분석 연구

Title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협주곡>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uthors
송미애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본 논문은 전통악곡인 산조에 관현악이라는 서구화된 합주형식을 결합한 산조협주곡을 분석해 봄으로써 기악독주곡인 산조가 관현악과 어떠한 음악적 상호 연관성을 지니며, 그 효과는 무엇인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김영재 편·작곡의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협주곡>에 한하며, 연구방법으로 원곡과의 비교를 통한 전체적인 악곡구조와 관현악편성, 기보방법 등을 살피고, 악장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협주곡>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단모리 여섯 악장의 원곡 김윤덕류 가야금산조의 형식을 유지하며, 협주곡의 특징인 cadenza와 solo가야금을 제외한 관현악만의 합주부분이 추가되었다. solo가야금을 제외한 관현악 합주부분은 원곡에는 없는 새로운 선율로, 악장의 시작이나 끝에 위치하여, 협주곡의 도입부와 종지부, 악장과 악장을 연결하는 연결구 역할을 한다. 단 휘모리와 단모리 악장은 solo가야금 독주형식의 cadenza가 연결구 역할을 한다.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협주곡>에서 관현악은 solo가야금과 unison하거나 골격음으로 음량을 확대하고 음색을 변화하여 선율을 강조하며, 지속음을 통해 화음요소를 보강한다. 리듬축소와 확대, 음의 생략 및 첨가, solo가야금 독주와 관현악합주의 대비, 장단의 리듬 구조적 특징을 강조, 보완하여 곡의 분위기를 구성한다. 특히 장단의 리듬 구조적 특징을 강조하는 합주는 solo가야금과 관현악의 부분적인 합주를 통해 느린악장에서 이루어지며, 악장이 빨라질수록 solo가야금과 관현악의 합주를 통해 solo가야금 선율의 반복, 흐름의 변화를 강조하는 합주가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김윤덕류 가야금산조 협주곡>은 방중악인 가야금산조에 확대된 무대 환경에 따른 서양음악의 관현악 협주곡 형식을 접목하였으나, 합주되는 선율의 형식은 각각의 기능을 나누어 분담하는 서양음악의 협주곡과 달리 하나의 선율을 함께 연주하는 헤테로포니의 성격을 띠며, 악곡의 구조와 solo가야금 선율을 산조에 기초하여 전통 음악적 형식을 유지하였다.;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what musical interrelationship Sanjo(Free-style Solo)of instrumental music solo has with orchestra and what the effect is by analyzing Sanjo concerto in which traditional music of Sanjo and Western ensemble format of orchestra are combined. The rang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composed or arranged by Kim Youngja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verall musical structure, orchestration, and notation method by comparing with the original music and to divide and analyze each mov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intains the original Gayageum Sanjo of Kim Yundeok style with 6 movements of Jinyangjo, Jungmori, Jungjungmori, Jajinmori, Whimori, and Danmori. Cadenza, one of characteristics of concerto, and ensemble parts of concerto except Gayageum solo are added. The ensemble parts of concerto except Gayageum solo are new melodies from the original music. They are plac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movements, performing a role to connect one movement with another and the introduction with the end of concerto. However, at movements with Whimori and Danmori, cadenzas of Gayageum solo format play a role of connection. emphasizes on melody by expanding volume and changing tones through unison in Gayageum solo and frame sound, and reinforce chord components with continuant sounds. Atmosphere of music is composed by expanding and reducing rhythm, omitting and adding sound, comparing Gayageum solo with orchestra concerto, and emphasizing and complementing rhythm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at. In particular, concerto to emphasize on rhythm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eat is partially performed by Gayageum solo and orchestra at slow movements. As rhythms of movements get fast, concerto to emphasize on repetition of Gayageum solo melody and change of flow is performed through concerto of Gayageum solo and orchestra. as mentioned above, integrated Gayageum Sanjo of chamber music with the format of orchestra concerto of Western music according to expanded stage environment. Unlike concerto of Western music which each function is divided, ensemble melody form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phony in which one melody is played together, and maintains a tradition of musical style with musical structure and melody of Gayageum solo based on Sanj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