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아-
dc.contributor.author이경훈-
dc.creator이경훈-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5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570-
dc.description.abstract오랜 기간에 걸쳐 끊임없이 발전해오고 있는 한국음악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전에는 구전 혹은 악보의 형태로 한국음악이 전해졌다면, 현대는 전통 음악을 녹음한 음반 혹은 영화나 드라마의 배경음악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해 사람들에게 전해지고 있다. 한국음악을 대중에게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전달하는 이 과정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이 스튜디오 내에서 레코딩을 할 때 이루어지는 마이킹이다. 하지만 한국음악, 더 나아가 국악기의 마이킹과 관련한 연구는 그리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스튜디오 내의 마이킹과 관련하여 레코딩에 참여하는 엔지니어 뿐 아니라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 또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본 논문에서 가야금의 마이킹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으며, 연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첫째, 마이킹 실험은 산조 가야금과 정악 가야금을 통해 이루어 졌다. 또한, 가야금에서 저음역대에 해당하는 첫 번째 현 · 중음역대에 해당하는 여섯 번째 현 · 고음역대에 해당하는 열두 번째 현을 뜯기·튕기기·농현의 기본적인 수법으로 실험의 제한을 두었다. 앞의 조건을 토대로 다이나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를 각각 오른손 50cm 위 · 왼손 50cm 위 · 울림통 50cm 앞쪽에 설치하여 마이크 종류와 마이킹 위치에 따른 수음률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산조 가야금과 정악 가야금을 뜯기·튕기기·농현의 수법을 통해 마이크의 종류 및 마이킹 위치에 따른 변화를 만들어 어떠한 조건에서 수음률이 좋은지 측정하였고, 이를 위하여 각각 6개의 실험이 이루어졌다. 실험의 내용은 a. 다이나믹 마이크를 이용한 마이킹 위치별 뜯기, b. 다이나믹 마이크를 이용한 위치별 튕기기, c. 다이나믹 마이크를 이용한 위치별 농현, d.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위치별 뜯기, e.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위치별 튕기기, f.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위치별 농현으로 이루어 졌다. 셋째, 각 실험의 결과를 통하여 산조 가야금은 다이나믹 마이크를 이용한 실험 ‘a’(-4.10dB)·실험 ‘b’(-4.60dB)·실험 ‘c’(-5.07dB)모두 다른 위치에 비해 울림통 앞쪽에서 수음률이 높았고,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실험 ‘d’(1.30dB)·실험 ‘e’(-0.57dB)·실험 ‘f’(0.77dB)역시 다른 위치조건 중 울림통 앞쪽에서 높은 수음률을 보였다. 또한 실험‘a’와 ‘d’, 실험‘b’와 ‘e’, 실험‘c’와 ‘f’를 비교하여 같은 위치조건에서 마이크 종류에 따른 결과는 뜯기·튕기기·농현의 수법과 관계없이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해 연구한 실험‘d’·‘e’·‘f’의 수음률 수치가 최대 9배가량 더 높게 측정된다. 정악 가야금의 실험은 다이나믹 마이크를 이용한 실험 ‘a’(-4.53dB)·실험 ‘b’(-7.10dB)·실험 ‘c’(-4.03dB) 모두 울림통 앞쪽에서 가장 수음률이 높게 측정되었고,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한 실험 ‘d’(3.20dB)·실험 ‘e’(0.27dB)·실험 ‘f’(1.20dB)의 결과도 울림통 앞쪽에서 수음률이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실험‘a’와 ‘d’, 실험‘b’와 ‘e’, 실험‘c’와 ‘f’를 비교하여 동일한 위치조건에서 마이크 종류에 따른 결과는, 수법과 관계없이 콘덴서 마이크를 이용해 연구한 실험 ‘d’·‘e’·‘f’의 수음률 수치가 다이나믹 마이크의 수음률에 비해 최대 10배가량 높았다. 즉, 산조 가야금과 정악 가야금 모두 마이크의 종류에 관계없이 울림통 앞쪽에서 마이킹을 했을 때 수음의 수치가 높게 나타났고, 실험 ‘a’·‘b’·‘c’와 실험 ‘d’·‘e’·‘f’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다이나믹 마이크에 비해 콘덴서 마이크의 수음률이 높게 측정 되었다. 이외의 특이사항으로 각 현에 따라 수음률 차이가 나타났고 산조 가야금과 정악 가야금 모두 6현>12현>1현의 순서로 수음률이 높게 측정되었다. 앞의 결과를 토대로 스튜디오 내의 레코딩시 다이나믹 마이크보다 콘덴서 마이크가 적합하였고, 모노 마이킹 방식의 레코딩에서 가야금의 종류나 연주 수법과 관계없이 울림통 앞쪽에 마이크를 설치하는 것이 레코딩시 수음률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이 외에도, 6현>12현>1현의 순으로 수음률이 높게 측정 되어 저음역·중음역·고음역대의 수음이 불균형한 형태를 나타냈고, 가야금의 모든 음역대를 선명하게 레코딩하기 위해 모노 마이킹이 아닌 스테레오 마이킹 방식까지 확대해 연구할 수 있다. 앞으로 한국음악의 발전을 위하여 가야금의 레코딩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함께 다른 국악기의 레코딩 연구도 지속적으로 다뤄지기를 희망한다.;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constantly evolv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now it is used in various fields. It has been passed down verballyor with musical notation in the past, today it is transmitted to people through the medium like movies and TV, CD from the traditional music sector. With the above reason, the miking is essential and has to be considered to get the best sound. However, the studies related to the miking approach with Korean music and Korean musical instrument has not been so much made. It is required for not only for the engineers who participate in the recording but also musicians who play a musical instrument to understand the basic concept about this miking approach and so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best miking condition which can record the real sound of the gayageum conduction. Miking experiments in this paper were carried out with the sanjo gayageum and jeongak gayageum. The 1-string corresponding to the low frequency range in the gayageum, the 6-string corresponding to the midrange one and the 12-string corresponding to the high range one selected and the basic techniques like pizzicato, flicking and nonghyeon were placed in the control variables of the experiment in this paper. Based on the above condition, the microphone locations used in this test were the 50 centimeter upper at the right hand, 50 centimeter upper of the left hand and in 50 centimeter front of the sound box looked at changes in the sound recorded by the location of the microphones. All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that sanjo and jeongak made the higher level of sound when recorded in front of the sound box regardless of the kind of Mike and the condenser mike showed better sound than dynamic microphones. The quality of the sound recorded by each string is taken from 6-string, 12-string and 1-string instruments sequentially. 6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conditions that would produce the best sound recorded upon using pizzicato, flicking and nonghyeon on both sanjogayageum and jeongakgayageum, by changing types and locations of microphones. The experiments are composed of 'a'. applying pizzicato on different locations using a dynamic microphone, 'b'. applying flicking on different locations using a dynamic microphone, 'c'. applying nonghyeon on different locations using a dynamic microphone, 'd'. applying pizzicato on different locations using a condenser microphone, 'e'. applying flicking on different locations using a condenser microphone, 'f'. applying nonghyeon on different locations using a condenser microphone. As a result. for sanjogayageum, in the experiments 'a’ (-4.10dB), 'b’ (-4.60dB) , 'c’ (-5.07dB)using a dynamic microphone, sound pressure level was at its best in front of the sound box was. In the experiments, 'd’ (1.30dB), 'e’ (-0.57dB), 'f’ (0.77dB) where a condenser microphone was used, sound pressure level was at its best in front of the sound box was. In comparing the experiments 'a’ and 'd’, 'b’ and 'e’, and 'c’ and 'f’, where the different types of microphones were used while under the same location condition, sound pressure level was 9 times higher for the experiments 'd’, 'e’, and 'f’ where a condenser microphone was used, regardless of the applied techniques, such as pizzicato, flicking and nonghyeon. For jeongakgayageum, in the experiments 'a’ (-4.53dB) 'b’ (-7.10dB), 'c’ (-4.03dB), where a dynamic microphone was used, sound pressure level was at its highest in front of the sound box was. In the experiments, ‘d’ (3.20dB), ‘e’ (0.27dB) and ‘f’ (1.20dB) where a condenser microphone was used, sound pressure level was at its highest in front of the sound box was. Similar to sanjogayaguem, when comparing the experiments 'a’ and 'd’, 'b’ and 'e’, and 'c’ and 'f’, where the different types of microphones were used while under the same location conditions, sound pressure level was maximum 10 times higher for the experiments 'd’, 'e’, and 'f’ where a condenser microphone was used, regardless of the applied techniques. The test result showed Dynamic microphones were more appropriate than using the condenser microphones, and recording in front of the gayageum sound box was more effective with recording with mono miking. Additionally there are some fluctuation in the sound recorded by 1-string, 6-string and 12-string. Therefore, the more deep study with stereo miking approach rather than mono miking is needed for the more delicate record of gayage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B. 연구범위 및 방법 3 Ⅱ. 본론 5 A. 가야금의 고찰 5 B. 가야금의 음향적 특성 9 1. 산조 가야금의 Frequency Analyzing 10 2. 정악 가야금의 Frequency Analyzing 13 3. 악기별 주파수 비교 16 C. 실험 조건 17 1. 실험환경 및 측정장비 17 2. 마이크의 위치 및 실험 방식 18 D. 산조 가야금과 정악 가야금 기본 수법별 수음 측정 실험 26 1. 산조 가야금 실험 27 2. 산조 가야금 마이크 종류별 실험 결과 38 3. 정악 가야금 실험 60 4. 정악 가야금 마이크 종류별 실험 결과 72 E. 실험 결과 분석 93 Ⅲ. 결론 95 참 고 문 헌 98 ABSTRACT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4448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12현 가야금의 기본 수법에 따른 효과적인 마이킹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the effective miking approach by 12-string Gayageum playing techniques-
dc.creator.othernameLee, Kyung-Hun-
dc.format.pageix, 103 p.-
dc.contributor.examiner강영근-
dc.contributor.examiner김선옥-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