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2 Download: 0

여창가곡 계면 두거에 나타난 해금선율의 특징

Title
여창가곡 계면 두거에 나타난 해금선율의 특징
Other Title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aegeum Melody Presented in Yeochang Gagok “Gyemyeon dugeo”
Authors
이채경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본 논문은 여창가곡 계면 두거에 나타나는 해금선율의 특징을 노래와 가야금선율과의 비교를 통하여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여음부터 제5장까지의 해금선율을 중심음의 이동간격과 반복되는 기본선율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 노래선율과 현악반주 악기인 가야금의 선율을 해금선율과 비교분석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해금의 반복선율은 기본유형 7개와 변형유형 8개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②번에서부터 ⑥번까지의 기본선율과 변형선율은 黃을 식지로 잡는 운지법으로 초장에서 제3장까지 출현한다. ①번과 ⑦번 선율은 仲을 식지로 잡는 운지법을 사용하며 제4장과 제5장에 출현한다. 그러므로 제4장부터는 해금의 반주선율 음역이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초장에서부터 제3장의 노래ㆍ해금ㆍ가야금의 선율관계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유형이 나타난다. 노래와 해금의 선율진행이 동일한 경우, 노래와 가야금의 선율진행이 동일한 경우, 노래ㆍ해금ㆍ가야금의 선율진행이 모두 동일한 경우이다. 즉 노래선율과 반주악기인 해금과 가야금의 선율이 동일한 경우가 나타난다. 반면, 제4장과 제5장에서는 반주악기인 해금과 가야금의 선율이 동일하게 진행을 하며 노래선율과 대비를 이룬다. 이상과 같은 선율적 분석을 바탕으로 볼 때 여창가곡 계면 두거는 중여음을 기점으로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초장부터 3장까지와 제4장부터 제5장까지이다. 해금의 기본선율 ②번부터 ⑥번까지는 노래선율과 같은 것으로 초장부터 제3장까지에서 연주되고 기본선율 ①번과 ⑦번은 반주만을 위한 선율로 제4장과 제5장에서만 사용된다. 즉 4장과 5장에서 노래는 기존선율을 사용하고 반주는 새로운 선율을 사용하여 선율적 대조를 주어 음악적 변화를 도모한다. 이러한 변화는 노래선율이 아닌 반주악기의 선율진행의 변화를 통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여창가곡 계면 두거의 가장 큰 특징이다. 셋째, 반주악기인 해금과 가야금의 분석을 통해 선율진행상의 특징이 나타났는데 가야금은 8도이상의 간격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옥타브를 넘나드는 진행을 하고 노래선율과 해금이 장인할 때 박을 짚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대조적으로 해금은 장2도, 완전4도, 완전5도를 중심으로 진행하고, 선율의 중심음을 장인하는 형태로 출현한다. 이것은 해금이 하나의 운지법으로 넓은 음역의 연주가 불가능하여 제한된 음역 안에서만 선율 진행을 이루고 현악기와 달리 하나의 음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악기의 구조적인 차이에서 나타난다. 해금은 한 운지법 안에서 낼 수 있는 한정된 음역 안에서 기본선율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며 부분적으로 독자진행을 하기도 하고, 노래와 가야금의 여백을 채워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가곡이 정제되고 예술성 높은 음악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노래선율뿐만 아니라 반주선율의 역할도 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악기에 특성에 맞게 만들어진 해금선율은 정형화된 노래선율과 동일진행을 하거나 대조를 이루며 가곡의 음악적 표현을 더욱 풍부하게 한다.;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lody of haegeum (two-stringed spike fiddle) accompanying in yeochang gagok (vocal music set to sijo poem, sung by female singer) “Gyemyeon dugeo,” by comparing it with the melodies of a vocal and gayageum (twelve-stringed zither). For this, it analyzes the melody of haegeum-from daeyeoeum (prelude) to the fifth movement-based on the intervals of a central tone and the repeating melodies. Then, it compares it with the melodies of the vocal and gayageum. The conclusion follows. First, the repeating melodies of haegeum are divided into 7 basic types and 8 variation types. Both the basic and variation melodies, from II to VI, appear in the first to the third movement while the basic and variation melodies I and VII appear in the fourth and the fifth movements. Second, the relationships of the melodies of the vocal, haegeum, and gayageum in the first to the third movements show the three kinds of patterns: the vocal and haegeum play the same melodic line; the vocal and gayageum play the same melodic line; and the vocal, haegeum, and gayageum play the same melodic line. That is, the vocal presents the same melodic movements as the accompanying instruments haegeum or/and gayageum. On the contrary, haegeum and gayageum in the fourth and fifth movement play the same melodic line, but show contrasting melodic movements from the vocal. "Gyemyeon dugeo," from the perspective of melody, is divided into two parts by jungyeoeum (interlude)-the first to third movements and the fourth and fifth movements. The repeating melodies II to VI of haegeum, in the first to third movements,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at of the vocal whereas the repeating melodies I and VII, in the fourth and fifth movements, appear only for accompaniment. Third, gayageum freely moves using intervals larger than octave while it plays a role of keeping the beat when the vocal and haegeum play one note lengthily. In contrast, haegeum moves predominantly using the intervals of major 2nd, perfect 4th, and perfect 5th while it appears in order to play a central tone lengthily. This is because haegeum, due to its fingering technique, cannot play wider range but shows melodic movements within a limited range and has a structure of playing one note lengthily as opposed to other (plucked) string instruments. However, it plays variations based on basic melodies within a limited range, moves in its own way, and plays a role of filling a space of the vocal and gayageum. That gagok has developed into a refined and highly artistic music can be attributed to not only the melody of the vocal but also that of accompanying instruments. As this study examines, the melody of haegeum enriches musical expressions of gagok, sometimes showing the same or contrasting movements with the stereotypical vocal melo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