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9 Download: 0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Title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Other Titles
Art therapy single case study of a patient with infant-adolescent cancer.
Authors
이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암 환자는 과거에 비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지만 의료기술 발달로 10년 생존률이 79.9%라는 높은 완치율을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 환자는 의학적인 질병에서 오는 신체적 후유증 뿐 아니라 진단과정에서부터 장기간 지속되는 힘든 치료과정 동안 심리적인 후유증을 경험한다. 이런 경험들은 치료가 종료 된 후에도 일상생활로 돌아가는데 있어 직·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아직 성장 과정 중에 있어 발달상 가장 변화가 많은 청소년기 환자들도 예외는 아니다. 이들은 신체, 정신, 심리사회적 변화와 성장,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시기에 수동적인 치료환경에서 겪는 힘든 치료 경험과 외모의 변화, 학교생활 및 대인관계 단절, 추후 관리에 대한 부담감, 재발에 대한 두려움 등을 갖게 된다. 본 연구자는 미술치료 과정에서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감정 표출과 간접적 선(先)경험을 통해 올바른 의료적 치료과정과 후유증에 대하여 인식하고 그로인해 겪을 수 있는 심리적 어려움을 예방해줌으로써 의료적 환경에서 환자의 능동적인 치료 참여가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위해 소아청년암과 환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소아청소년암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소개하고 환자의 능동적인 치료 참여에 개입할 수 있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개인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만 16세 청소년으로 2015년 6월 10일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s)을 진단받은 환자로 2015년 6월 26일부터 2015년 9월 30일까지 주 1회 50분간 총 15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미술치료 초기에는 환자의 긴장을 이완하고 연구자와 환자 간의 신뢰관계를 형성함으로써 편안한 상태에서 미술치료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중기에는 환자가 스스로 병과 부작용에 대한 이해와 간접적 선(先)경험을 통해 치료에 대한 심리적 어려움을 예방하고 완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적극적인 치료 참여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종결에는 참여자의 내면에 개입하여 참여자가 자신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치료과정과 향후 치료 또는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잘 이겨낼 수 있도록 지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6가지 상위범주, 12개의 하위 범주로 분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미술치료는 참여자가 치료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부정적인 감정을 해소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되었다. 연구자와의 적극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거부감 없이 자신을 개방하고 현재 느끼고 있는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며 마음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감정이입 과정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는 참여자로 하여금 수동적인 의료적 환경 속에서 주도적으로 결정하고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통제감을 경험할 수 있었다. 미술치료 과정에서 재료나 주제, 미술활동 참여여부 등 참여자의 욕구를 적극 반영한 자기 주도적인 치료환경을 제공하였다. 이 과정에서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통제감의 경험으로 주도성을 확보하였다. 이는 수동적인 의료적 치료 환경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 하고 스스로 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셋째, 미술치료는 참여자가 피동적인 치료환경을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되었다. 간접적 선(先)경험을 통해 스스로 의료적 치료 과정과 후유증에 대한 이해를 하고 심리적인 부담을 최소화하였다. 그로인해 자신의 삶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있었다. 이처럼 미술치료는 수동적인 치료환경에서 환자가 가질 수 있는 불안, 공포, 불편함 등 심리적인 어려움을 표현하게 하고 스스로 이를 인식하고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 질병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다 긍정적인 치료와 결과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게 한다. 이는 환자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치료에 순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통해 소아청소년 환자의 심리적인 어려움을 예방해줌으로써 능동적인 치료 참여에 의미가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소아청소년암 환자에게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치료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Although there has been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an infant-adolescent cancer patient is gradually increasing in Korea,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reatment technique, the cure rate has been seen to survival rate of 79.9%, which is fairy high. Nevertheless, the cancer patients experience not only physical aftereffect which came from a medical disease but also psychological trauma from diagnosis to treatment process which is demanding and is implemented for a long time. These experiences influence negatively in direct and indirect ways when it comes to going back to the normal lives even after a recovery and especially, adolescent patients who has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al changes since they are still in the process of growing, are no exception. They are subject to suffer from harsh treatment experiences in a passive treatment environment and changes in appearance, severance of school life and personal relations, and feel pressure about afterward management and fear of recurrence of an illness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y experience physical, mental, psychological change and development and establish self identity.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right and proper medical treatment process and aftereffect through infant-adolescent cancer patients' feeling expression and indirect good experiences, and suggested that it is possible to make an active treatment participation of patients in the medical environment by prevent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which the patients can experience thereby. For this, it introduced infant-adolescent cancer pati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document reviews regarding infant-adolescent cancer patients and designed an art therapy program in which therapists can actively intervene in treatment and conducted individual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are patients of 16-year-old and diagnosed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s on 10th June, 2015 and the art therapy carried out for 15 times total, once a week, from 2015.6.6 to 2015.9.30. In the beginning of the art therapy, it attempted to carry out the art therapy in a comfortable state by relaxing patients' stress and forming a trust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ers and patients. In the middle of the therapy, it was designed to prevent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treatment via their own understanding of illness and side effects and experiences of good and also it aimed at helping to make an active treatment participation with positive awareness of complete recovery. In the end of the therapy, it intervened inner side of patients and help participants acknowledge their own psychological state and encourage them to overcome during and after the treatment process or while they are returning to daily life. The results are classified into 6 for upper categories and 12 for low categories and there ar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art therapy helped them make a psychological stability by solving their negative feelings that participants can gain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By forming an active relationship with researchers, they could open themselves without repulsion an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could be acquired and via empathy process during which they embody images which cross their mind. Secondly, the art therapy enabled participants to experience a sense of control through the process of playing a leading role in determining and engaging in passive medical environment. During the process of the art therapy, it provided an active self-directed treatment environment, which fully reflects participants' needs such as materials, subjects and their decision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During this process, they could establish a sense of personal initiative with their experiences of control that they are capable of deciding by themselves. This can offer an opportunity to find out the things which arouse curiosity about a passive medical treatment environment and recognize the things they can do on their own. Thirdly, since the art therapy made participants acknowledge and accept passive treatment environment, it also allowed them to expect their uncertain future. Through indirect experiences of good, they could be aware of the medical treatment process and aftereffects by themselves and minimized their psychological burden. Like this, the art therapy enable patients to express psychological difficulties patients can feel such as anxiety, fear and discomforts in a passive treatment environment. Thereby, it encourages to ponder the meaning of more positive treatment and results with more improved awareness of illness through recognizing and identifying them by themselves. This provides patients with the opportunity to be able to accept treatment positively. Therefore, the research has meaningful value in that it created an active treatment participation by preventing infant-adolescent cancer patients'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rough art therapy. With this process, it regarded as important in that the research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making an effective and active treatment environment for infant-adolescent cancer pati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