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규진-
dc.contributor.author황혜원-
dc.creator황혜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6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67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시각장애아동의 표현과 예술 매체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이를 바탕으로 하여 미술치료적 관점에서 시각장애아동의 표현이 활성화되는 예술 매체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H 맹학교 초등부에 재학 중인 중복장애가 없는 선천성 시각장애아동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먼저 시각장애아동의 표현과 예술 매체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대상에 초점을 둔 주제와 그 대상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는 주제를 제시하여 시각장애아동이 각 주제를 표현하는데 있어 어떤 예술 매체를 선택하는지 알아보았다.또한 아동에게 매체의 전환을 통해 각각의 주제를 다시 표현하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아동의 표현이 촉진되는데 있어 어떤 예술 매체가 보다 적절하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상에 초점을 둔 주제를 제시하였을 때 시각장애아동 전원은 찰흙을 선택하였으며 입체적인 작업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특히 시각장애아동은 대상을 표현하는데 있어 대상의 객관적 재현,즉 외형을 표현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시각장애아동에게 감정을 표현 주제로 제시하였을 때,아동 전원은 평면적인 표현 매체를 선택하여 그리기 작업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이러한 결과를 통해 그리기가 시각장애아동에게도 감정을 나타내는 자연스러운 표현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참여 아동들은 표현의 주제가 어떤 것인가에 따라 매체 선택에 있어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주제에 적합한 예술 매체를 제시해야할 당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진행한 일련의 과정과 결과물을 토대로 하여 미술치료적 관점에서 시각장애아동의 표현이 활성화되는 예술 매체를 살펴보았다.참여 아동들은 대상을 주제로 표현하는데 있어 찰흙 작업을 선호하였지만,일부 아동은 찰흙 작업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주관적인 묘사가 그리기 작업을 통해 표현되면서 자기표현이 촉진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각장애아동이 대상에 대해 주관적인 표현을 한 것은 치료사에게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긍정적인 치료적 관계 형성을 위한 능동적인 행위로 간주 할 수 있으며,미술치료적 관점에서는 적극적인 자기표현의 하나로 이해할 수 있었다.대상에 대한 감정을 표현 주제로 제시하였을 때,참여 아동들은 평면적인 표현 매체를 활용한 그리기 작업을 선호하였으며 입체적인 작업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이를 통해 감정을 주제로 작업하는데 있어 평면적인 표현 매체와 표현 방법이 시각장애아동의 표현을 촉진하였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었다. 미술치료적 관점에서 보면 시각장애아동은 내면을 표현하는데 있어 평면적인 표현 매체를 활용하여 그리기 작업을 하였을 때 자기표현이 활성화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이에 본 연구가 미술치료적 관점에서 시각장애아동의 표현 가능성을 넓히고 나아가 자기표현을 촉진하는데 있어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고 본다. 제언하면,본 연구에는 중복장애가 없는 선천성 시각장애아동이 참여하였으므로 연구자는 향후 배경 요인에 따라 시각장애아동을 전문적으로 세분화하여 진행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또한 다양한 주제적 접근을 시도하여 시각장애아동의 표현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 between expression and art media amo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nd consider which art media activates their expressions from the art therapeutic perspective. For this purpose,this research included five children with congenital visual impairments and with no multiple disabilities attending the elementary school program at H School for the Blind. The procedure of the research is as follow. First,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children with topics on objects and those on feelings about the objects subsequently to see which art media they would choose to express on given topics. They were instructed to express each topic again through media conversion to find out which art media was more helpful to facilitate their expressions. When presented with topics regarding objects, all of the participants chose clay, which indicates they found it more convenient and facilitating to express them with three dimensional media. In particular, they seemed to be more focused on representation and appearances of objects during the work. On the other hand, when presented with topics regarding emotions, all of the participants chose planar expressive media, which indicates that they preferred drawing. Th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consider drawing as a natural expressive method to display emotions. The children that participated varied in choices of media depending on the topics, which confirms the legitimacy to offer art media fit for given topics. Based on the results brought during a series of processes above, the study looked into correlation between art media and activated expressions of the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from the art therapeutic perspective. While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preferred clay work to express objects as a topic, but some of them exhibited their subjective descriptions in their drawings regarding emotions, which were not found in their clay work, and accordingly had their self-expression improved. The fact that the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made subjective expressions about objects can be considered to be not only informative resources for a therapist but also the children's active engagement to form a positive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the therapist. It can be also understood as active self-expre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art therapy. When given emotions about objects as topics of expression, they preferred drawing with planar expressive media and had difficulties on solid work. Based on this observation, the research found out that the planar expressive media and methods facilitated their expressions when they worked on the topics of emotions. The findings show that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ctivated their self-expression by conducting drawings with planar expressive media when expressing their inner sides from the art therapeutic perspective. The present study thus proposed a direction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to broaden their expressive possibilities and further facilitate their self-expression from the art therapeutic perspective. Considering that the study included children with congenital visual impairments and with no multiple disabilities in it as participants, follow-up studies will be needed in order to categorize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into smaller groups in a specialized manner based on the background factors. It is to be followed by more follow-up researches to make an attempt at various thematic approaches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expressions by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2. 연구 목적 5 3. 연구 과제 5 4. 연구 절차 5 Ⅱ. 본론 7 1. 예비적 고찰 7 가. 시각장애의 정의 7 1) 법적 관점 7 2) 교육적 과점 8 나. 시각장애아동의 특성 9 1) 인지 발달 측면 9 2) 신체 및 운동 발달 측면 9 3) 언어 발달 측면 10 4) 정서 및 사회 발달 측면 10 다. 시각장애아동의 교육 11 1) 시각장애아동의 교육 환경 및 과정 11 2) 시각장애아동의 미술교육 11 3) 시각장애아동 미술활동의 종류와 매체 12 라. 시각장애아동의 시각적 표현 유형 14 마. 시각장애아동의 자기표현 16 2. 연구방법 18 가. 참여자 정보 18 나. 절차 19 3. 연구결과 22 가. 첫 번째 단계 22 나. 두 번째 단계 29 다. 세 번째 단계 36 라. 네 번째 단계 45 Ⅲ. 결론 51 참고문헌 57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45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미술치료적 관점에서 시각장애아동의 표현과 예술매체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lations between Expressions and Art Media amo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in the Art Therapeutic Perspective-
dc.format.pagevi,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