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71 Download: 0

Karl Bühler의 오르가논 모델에 근간한 그림언어에 대한 이해와 미술치료에서의 적용 가능성 고찰

Title
Karl Bühler의 오르가논 모델에 근간한 그림언어에 대한 이해와 미술치료에서의 적용 가능성 고찰
Other Titles
Understanding of Picture Language based on Karl Bühler’s Organon-Modell and Study of Its Applicability in Art Therapy
Authors
장미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규진
Abstract
In art therapy, a picture by a client is an element comprising a triadic structure of art therapy system along with a therapist and client, and is used as a linguistic medium for a therapeutic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e picture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lient necessary for therapy, the therapist’s way of approaching this picture to understand it properly can be said as the start of art therapy and as well as the foundation for a positive communicative relationship for successful therapy. In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icture sign based on ‘Organon-Modell’ which is the core of the language theory by Karl Bühler(1934/2008)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language used in art therapy and then examine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to art therapeutic communic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has examined, based on Organon-Modell, the daily communicative structure and relationships and the essential qualities and functions of the ‘linguistic sign’(Zeichen). Accordingly, this study could find out three language functions that the linguistic sign should have. Especially, the study could confirm that the linguistic sign used in daily life describes various information based on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the sender tries to express, while the receiver analyzes and interprets through the principles of abstractive relevance and apperceptive supplementation. Next,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sychotherapeutic communication using the agreed language, and of art therapeutic communication that uses the picture language along with agreed language. Through this, the study could realize that the therapist is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receiver who accepted information in the daily communicative structure. Also, the study has confirmed that picture signs comprising the client’s picture forming an art therapeutic communicative relationship included linguistic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linguistic signs of daily communication and that especially, the client’s picture is primarily for and the result of intrapersonal communication, not for mutual communication with someone else. In addition, the study has become aware that the arbitrariness of the picture could be a motivation for the client to express various information in picture language but at the same time it is a cause that prevented the therapist, who is supposed to have a communicative relationship based on the picture, from accessing the client’s picture. Besid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pplying the picture sign, which replaced the linguistic sign, to Organon-Modell, in art therapeutic communication, the therapist(receiver) is blocked from direct approach to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described by the client(sender), and picture signs. It was confirmed that this, in a broad sense, could be an essential factor that hinders the communicative relationship formed based on the picture. To solve this, I told the participants to draw a picture with the topic including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Based on pictures and explanations collected from a total of 11 participants,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description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and picture signs’. Then, these could be classified into ‘objects-oriented type of pictures’, ‘states of affairs-oriented type of pictures’,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mixed type of pictures’. In addition, based on this, the study have explained that there exist ‘the methods of description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and picture signs’ roughly categorized into ‘a method of object-oriented description of objects’, ‘a method of state of affairs-oriented description of objects’, ‘a method of state of affairs-oriented description of states of affairs’, ‘a method of object-based description of state of affairs’ and ‘a method of objects and state of affairs-mixed description’. Through this, the study has become aware that the types and the methods of describing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and picture signs vary from person to person, and could be subject to chang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contained in the topic. Therefore,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for the therapist to understan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ign, and especially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and states of affairs and picture signs is significant as a theoretical foundation contributing to formation of a positive communicative relationship for understanding the client’s picture in art therapy and for successful therapy.;미술치료에서 내담자의 그림은 치료사, 내담자와 함께 미술치료 체계의 삼원적 구조를 구성하는 요소이자 치료적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적 매개체로 사용한다. 즉, 그림은 치료에 필요한 내담자의 다양한 정보를 함의한다는 점에서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치료사의 접근 자세와 태도는 미술치료의 시작이자 성공적 치료를 위한 긍정적 의사소통 관계의 초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Karl Bühler(1934/2008)의 언어이론의 핵심인 ‘오르가논 모델’(Organon-Modell)에 근간하여 그림기호를 살펴보고 미술치료에서 사용하는 그림언어의 특성을 고찰하여 미술치료적 의사소통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두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오르가논 모델을 토대로 일상적 의사소통 구조 및 관계와 언어기호가 갖는 본질적 특성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언어기호로서 갖추어야 할 세 가지 언어기능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기호는 발신자가 표현하려는 대상 및 사실에 근간한 다양한 정보를 서술하고 수신자는 이를 추상적 본질의 원리와 통각적 보충 의 원리를 통해 분석하고 해석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규약적 언어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심리치료적 의사소통 그리고 규약적 언어와 더불어 그림언어를 사용하는 미술치료적 의사소통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치료사는 일상적 의사소통 구조에서 정보를 수용하는 수신자와는 다른 위치에 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미술치료적 의사소통 관계를 생성하는 내담자의 그림을 구성하는 그림기호는 일상적 의사소통의 언어기호와는 다른 언어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내담자의 그림은 일차적으로 상호 소통의 목적이 아니라 개인 내 의사소통이며 그에 대한 결과물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그림에 내재한 자의성은 내담자가 다양한 정보를 그림언어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지만, 그림을 토대로 의사소통 관계를 맺어야 하는 치료사가 내담자의 그림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하는 하나의 원인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그림기호를 언어기호에 대체하여 오르가논 모델에 적용한 결과 미술치료적 의사소통에서 치료사(수신자)는 내담자(발신자)가 부여한 대상 및 사실과 그림기호 간 의미론적 관계에 대하여 직접적 접근이 차단되어 있고, 이는 넓은 의미에서 그림을 통한 의사소통 관계를 저해하는 핵심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참여자에게 대상과 사실을 포함하는 주제를 제시하여 그림을 그리게 하였다. 그리고 총 11명으로부터 수집한 그림과 설명을 토대로 대상 및 사실과 그림기호 간 의미론적 관계 서술 유형을 살펴보았고, 이를 크게 대상 중심, 사실 중심 그리고 대상과 사실이 혼합된 그림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대상을 대상 중심으로 서술하는 방식, 대상을 사실 중심으로 서술하는 방식, 사실을 사실 중심으로 서술하는 방식, 사실을 대상 중심으로 서술하는 방식 그리고 사실과 대상을 혼합하여 서술하는 방식이 존재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상 및 사실과 그림기호 간 의미론적 관계의 서술 유형과 방식은 개인에 따라 다양하며 주제에 내포한 대상 및 사실의 특성에 따라 유동적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치료사가 그림기호의 언어적 특성 그리고 특히, 대상 및 사실과 그림기호 간 의미론적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미술치료에서 내담자의 그림을 이해하고 성공적 치료를 위한 긍정적 의사소통 관계를 생성하는 데 기여하는 하나의 이론적 토대로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