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변영미의 졸업연주 작품연구

Title
변영미의 졸업연주 작품연구
Other Titles
Annotation on graduation recital program : D. Buxtehude, 『Prelude g minor BuxWV 149』 ; J. S. Bach,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J. S. Bach, 『Organ Trio Sonata c minor BWV 526』 ;F. Mendelssohn, 『Organ Sonata Op.65 No.3 in A Major』 ;M. Dupré, 『Variation Sur un Noël』 ;C. Hampton, Five Dances for Organ, Ⅱ. At the Ballet Ⅲ. Those mericans』
Authors
변영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병석
Abstract
본 논문은 2014년 12월 6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과 변영미 석사과정 졸업연주회에서 발표된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곡목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Dietrich Buxtehude, 1637-1707)의 『전주곡 g단조』(Prelude g minor, BuxWV 149),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와 『오르간 트리오 소나타 c단조』(Organ Trio Sonata c minor BWV 526),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의 『오르간 소나타 A장조』(Organ Sonata Op.65 No.3 A Major), 마르셀 뒤프레(Marcel Dupré, 1886-1971)의 『노엘 주제에 의한 변주곡』(Variation Sur un Noël), 켈빈 햄턴(Calvin Hampton, 1938-1984)의『오르간을 위한 다섯 개의 춤곡』(Five Dances for Organ)중 2악장 ‘발레의 춤곡’(At the Ballet)과 3악장 ‘미국인들’(Those Americans)로 구성하였다. 북스테후데의『전주곡 g단조, BuxWV 149』는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상적 양식(Stylus Phantasticus)의 즉흥적인 부분, 대위법적인 형식의 푸가(Fugue)부분이 교대로 여러 번 반복되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이 곡은 대체로 바로크시대의 연주법에 따라 논레가토(Non legato)로 연주한다. 프렐류드(Prelude)의 선명하고 강한 음색을 표현하기 위해 믹스쳐(Mixtur)를 사용하며, 제 1푸가의 고요한 분위기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들기 위해 둥근소리를 내는 게닥트(Gedackt)8'음색을 사용한다. 그리고 인터루드(Interlude)의 뚜렷한 소리를 낼 수 있도록 세스퀴알테라(Sesquialtera)2f.를 사용하며 제 2푸가는 프린시팔(Principal)계열의 음색과 크뷘테(Quinte)2 2/3'의 음색을 조합한다. 코다(Coda)의 음색조합은 그레이트(Great)건반에 보르동(Bordun)16’를, 페달(Pedal)에 포자운(Posaune)16’를 추가하여 코다의 웅장함을 표현한다. 바흐의『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 BWV 659』는 주제선율의 모방기법진행과 8분음표로 계속 움직이는 반주 위에서 장식된 정선율이 계속 등장하며 진행하는 특징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이 곡은 전체적으로 박자가 느린 만큼 음표들의 길이도 길어지므로 긴 논레가토로 연주한다. 이러한 연주법을 돕기 위해 오른손의 장식된 정선율은 조용하고 경건한 느낌의 코랄(Chorale)선율에 많이 쓰이는 세스퀴알테라 2f.를 사용한다. 바흐의 『오르간 트리오 소나타 c단조 BWV 526』은 바로크 시대의 실내악과 앙상블의 영향을 받아 두 개의 손건반과 페달을 가진 오르간을 위한 곡이며, 독립적인 세 개의 성부 진행이 특징인 작품이다. 1악장은 전체적으로 가볍고 발랄한 느낌으로 연주되어야 하며, 음색은 오른손 건반에 플루트계열의 8’, 4’, 2’를, 왼손건반은 플루트계열의 8’과 프린시팔 4’를 사용한다. 2악장은 라르고(Largo)로 느리게 연주 되어야 하며, 긴 논레가토로 연주해야 한다. 음색조합은 오른손 건반은 플루트계열 8’을 사용하고 왼손에는 오른손 음색과 겹치지 않아야 하므로 현악기계열의 감바(Gambe)8’을 사용한다. 3악장에서는 주제가 페달성부에도 제시되는 것이 특징이다. 손건반에 나오는 주제의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을 페달성부에 제시된 주제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음색은 활기차고 선명한 음색을 주로 쓰는데 옥타브 4’, 플라흐플뢰테(Flachflöte)2’으로 음색을 조합한다. 멘델스존의『오르간 소나타 Op.65 3번 A장조』는 소나타라는 이름이 붙어 있지만 소나타 형식이 아닌 3부분형식이 나타난다. 그리고 푸가기법의 사용과 에코(Echo)기법을 이용한 음색의 변화 등 많은 음악적 특징이 나타나있는 작품이다. 1악장의 A'부분을 연주할 때는 바로크 시대의 오르간 플레노(Organ Pleno)로 음색조합을 만들어 의 웅장한 효과를 준다. 이를 위해 그레이트 건반에서 보르동 16’, 믹스쳐와 트롬페테(Trompete)8’를, 페달에서 포자운 16’를 사용하였다. 2악장은 오른손의 최상성부에 있는 선율의 흐름이 끊어지지 않게 길게 레가토로 연주한다. 이 레가토를 잘 표현하기 위해 모든 건반을 플루트 계열로 사용한다. 뒤프레의 『노엘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프랑스의 크리스마스 캐롤 『노엘 누블렛』(Noël Nouvelet)에 기초한 곡이다. 주제선율이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변주되고, 도리안 선법을 사용하여 옛 음악과의 조화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각 변주곡들마다 주제선율을 선명하게 표현하기 위해 처음 제시되는 주제는 감바 8’를 사용하고, 제 1변주곡에서의 주제 선율 음색은 오보에(Oboe)8’, 제 2변주곡은 로르플뢰테(Rohrflöte)8', 제 3변주곡은 옥타브(Octave)4', 제 4, 5, 8 변주곡은 트롬페테 8’, 제 6변주곡은 크롬혼(Krummhorn)8' 제 7변주곡은 플루트 계열 16’, 4’가 사용된다. 햄턴의『오르간을 위한 다섯 개의 춤곡』중 2악장 ‘발레의 춤곡’은 서로 반대되는 성격의 두 부분이 교대를 이루며 반복된다. 수직화음이 등장하는 부분은 스타카토로 동시에 터치하여서 명확한 소리를 울려주며, 페달선율이 등장하는 부분은 음이 끊어지지 않게 레가토로 연주한다. 2악장의 음색조합은 오른손의 스웰(Swell)건반은 슈베붕(Schwebung) 8'을, 왼손의 그레이트 건반은 로르플뢰테8'롤 사용한다. 그리고 포지티브(Positive)건반에 들어간 옥타브 2’와 트레뮬란트(Tremulant)를 페달건반으로 커플러(Coupler)한다. 3악장 ‘미국인들’은 박자와 선율에 따라 5부분으로 구성되고, 5음음계의 선율 사용으로 미국 민요의 느낌을 만들어낸다. 이 곡은 오른손과 왼손이 같은 음역에서 연주되지만 각각 다른 건반에서 연주한다. 악보에 악상이 표시되어 있는 부분은 음색을 추가하거나 삭감하고 스웰박스를 조절하면서 악상을 표현한다.;This thesis studies the organ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music pieces Byun, Youngmee performed at Master of Music Graduation Recital on December 6, 2014. The list of music pieces includes Prelude G Minor BuxWV 149 by Dietrich Buxtehude (1637-1707),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and Organ Trio Sonata C Minor BWV 526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gan Sonata Op.65 No.3 A Major by Felix Mendelssohn (1809-1847), Variation Sur un Noël by Marcel Dupré (1886-1971) and Ⅱ.At the Ballet and Ⅲ.Those Americans from Five Dances for Organ by Calvin Hampton (1938-1984). Prelude G Minor BuxWV 149 by Dietrich Buxtehude consists of five parts and repeatedly alternates between the improvisation of Stylus Phantasticus and the contrapuntal structure of the Fugue. This music piece is mostly played in non-legato, following the Baroque technique. Mixtur helps demonstrate a clear yet solid tone of the prelude. Gedackt 8’ tone creates a round sound and gives depth to the tranquility of the first Fugue. Sesquialtera 2f. builds the clear sound of the interlude and the second Fugue combines the tones of Principal series and Quinte 2 2/3’. In the case of Coda timbre, its grandeur is owning to the addition of Bordun 16' to the Great Keyboard and Posaune 16’ to the pedal. With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by Johann Sebastian Bach, one will notice an imitation technique in the subject melody and the recurring ornamented plain song on top of the varying eighth note. Overall, this song has a slow tempo and its notes elongate as much. Thus, the piece is played in long non-legato. To aid this technique, the ornamented plain song on the right hand employs Sesquialtera 2f., which is frequently used for the serene and reverberant Chorale tone. Organ Trio Sonata C Minor BWV 526 by Johann Sebastian Bach was influenced by both the Baroque chamber music and ensemble. It is a music piece for the organ with two manuals and a pedal and has three independent mean parts. The first movement should be played in a light and lively mood as a whole. Regarding its tone, the organist uses flute series 8’, 4’ and 2’ on the right and flute series 8’ and Principal 4’ on the left. The second movement should be played slowly in largo and in long non-legato. For timbre, the right keyboard uses flute series 8’ and the left uses the string series Gambe 8’. The latter is to avoid the mixing of the left tone with the right. The third movement is distinctive in that its theme is specified for the pedal part as well. Theme articulation for the manuals applies equally to the theme specified for the pedal part. The tone is mostly sprightly and clear and its timbre combines Octave 4’ and Flachflöte 2’. Organ Sonata Op.65 No.3 A Major by Felix is labelled Sonata but shows a three-part structure not a Sonata structure. This music piece exhibits a number of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se of Fugue technique and tone variations through the Echo technique. When playing A’ part of the first movement, the organist creates a grand effect with the use of Organ Pleno of the Baroque period. For this, Bordun 16', Mixtur and Trompete 8’ are used on the Great keyboard and Posaune 16’ is used on the pedal. The second movement is played in legato not to disturb the flow of melody in the top part of the right hand. To successfully express this legato, all the keyboards are used in the flute series. Variation Sur un Noël by Marcel Dupré is based on a French Christmas Carol and Noël Nouvelet. The subject melody gets varied in different ways and shows harmony with old music through the Dorian mode. The organist aims to express the subject theme of each variation as clearly as possible. For this, the first theme suggested uses Gambe 8’. The subject theme of the first variation employs Oboe 8’. The second uses Rohrflöte 8', the third Octave 4, the fourth, fifth and eighth Trompete 8’, the sixth variation Krummhorn 8', and lastly the seventh flute series 16’ and 4’. At the Ballet, the second movement of Five Dances for Organ by Calvin Hampton (1938-1984), repeats two parts with dissimilar characteristics by turns. For the part, where a vertical melody appears, the organist plays a solid sound by touching staccato simultaneously. For the part, where a pedal melody appears, the piece is played in legato not to disturb the sound. For the second movement timbre, the right Swell keyboard uses Schwebung 8’ and the left keyboard uses Rohrflöte 8’. Next, there is coupler from Octave 2’ and Tremulant in the Positive keyboard to the pedal keyboard. The third movement Those Americans consists of five parts with differing tempos and melodies. The work creates a mood similar to that of the American folk song with the melody of a pentatonic scale. For this music piece, both the right and left hands play within the same range but on two different keyboards. The parts with their theme specified on the score get a tone added or deleted and have the swell box adjusted for the accurate manifestation of the the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