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육근영-
dc.creator육근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2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1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164-
dc.description.abstract우울과 불안은 흔히 동반되는 증상으로서 우울과 불안이 근본적인 인지 결함을 공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꾸준히 제안되어 왔다. 특히 실행 기능과 관련되는 하향식 정보처리 과정, 즉 인지 통제력에서의 결함이 우울 및 불안의 취약성 요인으로서 주목받아왔는데, 인지 통제력이 부족한 사람은 더 이상 불필요한 정서 자극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이로부터 주의를 돌리지 못한 채 부정적 정보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부정 정서 유발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인지 통제력 결함이 우울 및 불안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기보다는, 반복적 사고라는 근거리 위험 요인을 경유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 사고의 두 대표 유형, 즉 반추와 걱정에 취약한 사람들이 어떠한 억제 및 전환 능력 결함을 보이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인지 통제력 결함이 반추와 걱정을 매개로 우울, 불안을 설명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원)생 20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반추, 걱정, 우울, 불안은 자기보고식 검사로 평가하였고, 인지 통제력과 관련하여 억제 능력은 정서 스트룹 과제로 그리고 전환 능력은 내적 전환 과제로 측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반복적 사고 성향이 인지 통제력 결함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걱정 및 반추 성향이 높거나 낮은 집단(걱정 집단, 반추 집단, 걱정과 반추가 모두 높은 집단, 걱정과 반추가 모두 낮은 집단, 28명*4집단=총112명)의 억제 및 전환 능력 양상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로 억제 능력을 살펴보면, 반추 및 걱정 성향이 높은 집단에서는 중립 자극에 비하여 정서 자극을 억제하는데 반응 시간이 현저히 지연되었으나, 걱정과 반추가 모두 낮은 집단에서는 자극의 정서가(valence)가 반응 시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반복적 사고에 취약한 사람들은 불필요한 정서 자극에 의해 더 쉽게 간섭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전환 능력 관련하여, 반추 및 걱정 성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비정서 자극 간 주의를 전환해야 하는 과제에서는 반응 시간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하지만 정서 자극 간 주의를 전환해야 하는 과제에서, 반추 및 걱정 성향이 높은 집단은 그러한 성향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반응 시간이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즉 반복적 사고 성향이 높은 사람은 정서 자극 간 주의를 효율적으로 전환시키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주의 탈개입(disengagement) 결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걱정보다는 반추와 더 관련된 특성으로 나타났다. 즉 반추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중립 자극에 비하여, 부정 자극으로부터 주의를 떼어낼 때 반응 시간이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나, 걱정 성향이 높은 사람들에게서는 이러한 경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과 동일한 대학(원)생 총 203명을 대상으로 인지 통제력 결함, 반추, 걱정, 우울, 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즉 인지 통제력 결함과 우울, 불안 간 관계를 반추와 걱정이 완전 매개하는 구조 모형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인지 통제력 결함은 부정 정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반복적 사고와 같이 좀 더 구체적인 사고 양식을 경유하여 증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아울러 대부분의 경로에서 걱정과 반추의 매개 효과는 유사하였는데, 다만 걱정의 경우 인지 통제력과 우울 간 관계에 비하여, 인지 통제력과 불안 간 관계에서 더 큰 매개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자면, 반추와 걱정 같은 반복적 사고가 우울 및 불안 모두를 설명하는 인지적 취약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반복적 사고의 기저에는 인지 통제력 결함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처리과정 상의 결함이 부정 정서를 유발 및 지속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이 지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치료법을 보완 및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Depression and anxiety are the symptoms that often co-occur; and the possibility has been suggested continuously that depression and anxiety may share a fundamental cognitive deficits in common. Particularly, impairment in top-down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ed with executive function, that is, impairment in cognitive control has been suggested as a vulnerability factor causing depression and anxiety; because persons who lack cognitive control cannot effectively inhibit unnecessary emotional stimuli any more or remove attention from the stimuli so they tend to be continuously exposed to negative information, which consequently may contribute to causing negative emotions. Recently, however, the view has emerged that impairment in cognitive control does not have direct relation with depression and anxiety, but may rather exert an indirect influence via a proximal risk factor of repetitive thought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what impairment in inhibition and switching ability appeared in the persons vulnerable to rumination and worry and examined whether or not this impairment in cognitive control could explain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mediation of the repetitive though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3 college or graduate school students; rumination, worry, depression, and anxiety were assessed by the self-report test while inhibition ability was assessed by the emotional Stroop task and switching ability was assessed by the Internal Shift Task. The study 1 investigated the inhibition and switching ability of the groups with higher and/or lower tendency of worry and rumination (worry group, rumination group, worry & rumination group, comparison group; 28 persons x 4 groups = 112 persons) to explore relationship between repetitive thought tendency and cognitive control. First, for inhibition ability, the group with higher rumination & worry tendency showed a significant delay of reaction time regarding the emotional stimuli than the neutral stimuli while valence of stimuli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action time in the comparison group. That is, the persons vulnerable to the repetitive thoughts were shown to be more easily interfered by the unnecessary emotional stimuli. Second, relating to switching ability,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ction time was not observed between the group with higher rumination & worry tendency and comparison group in the task requiring the switching of attention between non-emotional stimuli. However, for the task requiring the switching of attention between emotional stimuli, more significant delay of the reaction time was observed in the group with higher rumination & worry tendency than in the comparison group. That means the persons with higher repetitive thoughts were shown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switching of attentions,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emo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for the persons with higher rumination tendency, the reaction time was delayed more significantly when removing attention from negative stimuli than from neutral stimuli while the tendency was not identified in the persons with higher worry tendency. The study 2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control impairment, rumination, worry, depression, and anxiety in a total of 203 college or graduate school students. Resul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rumination and worr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control impairment, depression, and anxiety. That is, the possibility was suggested that cognitive control impairment may affect symptoms through more specific thinking style like repetitive thoughts rather than directly affect the negative emotion. Overall, the findings across two studies identified that the repetitive thought can well explain the common vulnerability factor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cognitive control impairment was shown to underlie in this repetitive thought. That is, the idea that impairment in information processing may contribute to triggering and sustaining the negative emotion is supported,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can contribute to complementing the existing psychological treatm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8 Ⅱ. 이론적 배경 9 A. 인지 통제력과 우울, 불안 9 1. 인지 통제력 9 2. 인지 통제력과 우울 11 3. 인지 통제력과 불안 13 B. 인지 통제력과 반복적 사고 15 1. 인지 통제력과 반추 16 2. 인지 통제력과 걱정 18 C. 반복적 사고와 우울, 불안 20 1. 반추와 우울 21 2. 걱정과 불안 23 3. 반복적 사고로서의 반추와 걱정 26 D. 인지 통제력과 반복적 사고, 우울, 불안 간 관계 28 E. 인지 통제력 실험 자극 및 패러다임 31 F. 연구 가설 37 Ⅲ. 연구 1: 반추 및 걱정에 취약한 사람은 어떠한 인지 통제력 결함을 보이는가 39 A. 연구 방법 39 B. 연구 결과 49 Ⅳ. 연구 2: 인지 통제력 결함은 반복적 사고를 매개로 우울 및 불안을 어떻게 설명하는가 63 A. 연구 방법 63 B. 연구 결과 65 Ⅴ. 결론 및 제언 74 A. 종합 요약 및 논의 74 B. 연구의 의의 89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90 참고문헌 93 부 록 120 ABSTRACT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32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인지 통제력과 우울, 불안 간 관계에서 반복적 사고의 매개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Mediating effects of repetitive though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control, depression, and anxiety-
dc.creator.othernameYook, Keunyoung-
dc.format.pagevi, 131 p.-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안현의-
dc.contributor.examiner김수영-
dc.contributor.examiner이주영-
dc.contributor.examiner방희정-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