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경아-
dc.contributor.author곽예지-
dc.creator곽예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9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30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30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력 증진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만 7세의 지적장애 3급 아동이며, 연구자는 2015년 8월 28일부터 10월 30일까지 주 3회 40분씩, 사전, 사후, 추후 검사와 추가회기를 제외하고 총 18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매 회기 녹음 및 전사한 축어록, 수퍼비전 자료, 연구자와 특수학급 보조교사의 관찰일지, 미술작업 및 작품 사진, 연구자의 개인 반성 일지, 담임교사와의 면담, 보호자와의 면담, 보조교사와의 면담, 동영상 녹화자료를 참고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축어록과 수퍼비전 자료, 관찰일지 등의 자료를 반복하여 확인하였고, Strauss & Corbin (1998)의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참여자의 변화의 맥락을 드러내는 14개의 하위범주와 7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소극적 자세”, “자기표현의 시작”, “미술작업이 주는 기쁨”, “표현의 머뭇거림”, “처음으로 자신의 소소한 이야기를 공개함”, “적극적 자세”, “헤어짐을 향한 준비”의 7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변화 과정에서 두드러진 특징으로 자기표현력의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아동이 미술치료 과정에서 언어적 표현과 정서적 표현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참여자는 치료 초기에 연구자의 눈치를 보며 재료를 사용할 때마다 연구자에게 반복적으로 확인하는 소극적인 모습과 하루 일과와 기분을 묻는 연구자의 질문에 대답을 하지 못하고 작은 목소리로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치료 중기에 접어들면서 참여자는 자신의 일상에 대해 자발적으로 이야기하기 시작하였으며, 배움을 통한 표현뿐만이 아니라 미술작업의 즐거움과 흥미를 자발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표현과 소통의 대상이 미술치료와 학교생활, 그리고 연구자와 보조교사, 담임교사와 또래에게까지 조금씩 확장되어 가고 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자기표현의 양적, 질적인 변화를 통해 참여자는 긍정적 감정 표현뿐만이 아니라 아쉬운 감정표현까지 가능해졌고 또래관계의 질적인 변화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 아동이 미술치료 과정에서 상호작용과 소통에 긍정적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치료 초기에 참여자는 미술작업 과정에서 손에 물감이 묻으면 거부감을 느끼며 활동을 멈추고 연구자를 바라보는 행동을 보였다. 그러나 미술치료가 진행되어감에 따라 참여자는 두 손에 물감을 묻혀 연구자에게 같이 하자고 먼저 소통하며 신체적으로 접촉하며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참여자는 연구자의 지지와 응원 속에 안정감을 느끼며 연구자와 소통하며 상호작용하는 변화를 보였다. 셋째, 자기표현의 변화는 집-나무-사람(HTP)그림 검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전검사에서는 연구자의 질문에 대답하지 못하고 회피했던 모습에서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에서는 연구자의 질문에 대답하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등의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결과만을 양적인 수치로 보여주는 연구 방법을 지양하고 참여자의 변화의 과정을 귀납적으로 살펴보는 작업을 통해 참여자의 변화를 다양한 시각에서의 관찰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현실에서의 변화 정도를 상호 관계적으로 이해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지적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과정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아동의 변화 과정에 대한 의미와 구체적인 맥락들을 보여줄 수 있는 미술치료의 방향설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meaning and value of art therapy with regard to improving self-expres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s of research are 7-year-old children who have third degree (3rdlevel)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ers carried out the art therapy three times per week with 40 minutes each, from 2015. 8. 28 to 10.30, resulting in 18 times total, which are aside from past, post examination and additional sessions. Collecting data referred to each session’s recording and quotations, supervision data, observation journal of researchers and teaching assistants in a special class, pictures of artwork and pieces, a researcher’s individual reflection journal, face-to-face talk with a teacher in charge, a guardian and a teaching assistant and video recording data. Data analysis repetitively identified data such as quotation, supervision data and observation journal by applying qualitative case-study method and it was carried out through the proces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of Strauss & Corbin (1998). Consequently, it could deduct 14 subcategories and 7 upper categories which revealed the context of chang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classified into 7 subjects, which are “passive attitude”, “beginning of self-expression”, “pleasure of art working”, “hesitation of expression”, “describing their trifling stories for the first time”, “active attitude”, “preparation for breaking up with somebody”. The researcher was able to find out the changes in self-expression ability through remarkabl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y were able to discover that there was a change in linguistic ex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to children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y during the process of art therapy. Participants tried to read the researchers’ face and repetitively asked their permission whenever they used the materials and showed passive attitude without answering the questions from researchers about their daily schedule or expressing with a small voice. However, entering the middle stage of treatment, participants began to tell their story spontaneously. Not only did they express the things gained from learning but also they began to express their pleasure and interests of artwork voluntaril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 of participants’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gradually expanded to include the art therapy, school life and the researcher and teaching assistant and the teacher in charge and even their peers. A positive change appeared in expressing not only positive emotion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 of self-expression but also feeling of sorriness. And in terms of qualitative change between peer relationships, they showed a positive change as well.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re appeared a positive change to children who have intellectual disability in terms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In the early stage of the treatment, participants showed behaviors like stopping their activity and looking the researchers, feeling repulsion when their hands were stained with paints during the process of artwork. However, as the art therapy proceeds, participants attempted to communicate first, by suggesting researchers to do it together with their hands stained with colors and began to physically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howed active engagement. Participants felt calm and a sense of stability with the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researchers and began to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them. Thirdly, change in self-expression also can be seen in the Home-Tree-Person (HTP) picture test. While, participants in the past examination, could not answer the researchers’ questions and avoided them, they changed their behaviors by actively answering their questions and expressing their thinking in the post examination. In this sense,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avoided the research method of showing quantitative numerical figures and described changes of participants a lot 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observation data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through inductive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their changes. And it analyzed data qualitatively and comprehended the degree of changes in real life mutualistically.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not only help understanding of art therapy process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ut also help establish direction of art therapy which can show the meaning of children’s changes and its specific contex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B. 연구문제 5 Ⅱ. 문헌고찰 6 A. 지적장애 아동 6 B. 자기표현 14 C. 미술치료 19 Ⅲ. 연구방법 28 A. 사례연구 28 B. 연구 참여자 29 C. 자료의 수집 32 D. 자료의 분석 37 E. 연구 참여자의 윤리적 고려 38 F.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39 Ⅳ. 연구결과 41 A. 회기별 분석 결과 41 B. 집-나무-사람 그림 사전사후추후 변화 82 C. 의미분석 84 Ⅴ. 논의 및 결론 95 A. 논의 95 B. 결론 99 C. 연구의 제한 및 제언 100 참고문헌 101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106 부록2. 미술치료 프로그램 107 ABSTRACT 1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8112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지적장애 아동의 자기표현력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improving self-expression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c.creator.othernameKwak, Ye Ji-
dc.format.pagevi, 111 p.-
dc.contributor.examiner오숙환-
dc.contributor.examiner강애란-
dc.contributor.examiner한경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