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7 Download: 0

초등 고학년 위축아동의 또래 관계 향상을 위한 구조화된 그룹 타악기 연주

Title
초등 고학년 위축아동의 또래 관계 향상을 위한 구조화된 그룹 타악기 연주
Other Titles
A study of implementing structured group percussion playing for improving peer relationship skills on withdrawn children of 5th – 6th grade
Authors
김영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구조화된 그룹 타악기 연주 활동에 참여한 초등 5~6학년 위축아동의 또래 관계 기술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행하였다. 구조화된 그룹 타악기 연주는 악기 크기나 음량, 활동 난이도, 연주 형태에 따라 활동을 구조화하여 점진적으로 수준을 높이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담임교사로부터 의뢰된 5~6학년 위축 아동 5명이다. 2015년 10월 19일부터 11월 6일까지 매 회기 40분, 주 2~3회, 총 8회기의 중재를 하였다. 또래 관계 기술을 협동과 주도성 두 가지로 구분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활동을 구성하였다. 위축 아동의 또래 관계 기술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 보고형 또래 관계 기술 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고, 보다 객관적인 관점으로 아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담임교사 보고형 사회성 기술 척도를 사전, 사후에 사용하였다. 세션 내 관찰되는 주도성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활동에 따라 1~5회기는 주도 행동 지속 시간을 측정하였고, 6~8회기는 활동 중 발생하는 언어적 주도 표현 정도와 횟수를 3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세션 내 관찰되는 협동 행동은 합주 활동에서 그룹원이 합주의 규칙을 지켜 연주하는 행동을 등간 기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들의 또래 관계 기술 점수가 향상되었고, 세션 중 보이는 주도 행동, 협동 행동도 증가하였다. 교사 보고형 사회성 기술 검사에서는 내담자에 대한 점수가 모두 향상되었다. 교사 보고, 자기 보고 위축 척도 검사 결과, 모든 내담자의 위축 정도가 감소하였다. 내담자들은 8회기가 마친 후 타인에게 자발적으로 말을 걸거나 다가가는 행동이 나타나게 되었고, 타인에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행동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구조화된 그룹 타악기 연주에 참여하며 내담자가 주도나 협동 행동을 수행하고, 성공적인 음악 경험을 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그룹 타악기 연주 활동이 위축 아동의 또래 관계 기술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eer relationship skills for withdrawn 5th-6th graders. Activities and sessions are structured by playing volume, difficulty of activity, and playing form. In each session and activity, levels of volume, difficulty, and playing form are raised.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a 3-week period with 5 students from 5th grade to 6th grade who are recommend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The sessions proceeded 2-3 times per week, 40minutes in each session and in total 8 sessions are provided. Peer relationship skill test by self, social skill test by teachers, and withdrawn score in K-CBCL are measured at pre-session and post-session. Behavioral data regarding musical and non-musical behaviors about initiative and cooperation are also collected. After the sessions, peer relationship skill test scores of all participants improved and social behaviors also increased. Withdrawn scores of all participants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successful social experience in a musical situation, especially structured group percussion playing, helps improve peer relationship skills of withdrawn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