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최종옥-
dc.creator최종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8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847-
dc.description.abstract아동기에 복합외상적 경험에 노출되면, 이는 이 후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이 될 때까지 인지·정서·행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여러 후유증을 경험하게 하는 취약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아동기에 복합외상적 사건에 노출된 경험이 청소년기 비행과 어떤 관련을 맺으며, 그 이면에는 어떠한 기제들이 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복합외상경험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비행 청소년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개입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비행 행동이 외현화되지는 않았으나, 복합외상 경험으로 인해 내재된 취약성을 가진 청소년들의 잠재적 비행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예방적 노력에 필요한 이해까지도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합외상경험과 반응적 공격성, 그리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이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으며, 이러한 매개모형에서 나타나는 매개효과가 집단 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비행청소년 집단과 일반청소년 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는데, 비행청소년 집단은 K 소년분류심사원에 입소 중이거나 6호 처분으로 위탁기관에서 생활하고 있는 만 14세 ~ 만 18세 청소년 155명이었다. 비교 집단인 일반청소년 집단은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중3 ~ 고2 학생들 중 이전 범법 행위로 인해 법적 처벌을 받거나 입건된 경험이 없는 596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두 집단이 복합외상경험, 자기통제력, 반응적 공격성의 세 변수에서 평균의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실시한 t 검증에서 비행청소년 집단은 일반청소년 집단에 비하여 더 많은 복합외상경험과 더 낮은 자기통제력, 더 높은 반응적 공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전체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복합외상경험이 반응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자기통제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복합외상경험이 반응적 공격성으로 가는 직접효과와 자기통제력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미한 부분 매개모형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자기통제력에서 반응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집단 조건의 조절효과와 자기통제력과 집단 조건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가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두 집단 모두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았으나,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반응적 공격성이 높아지는 정도가 비행청소년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두 변수의 결합의 강도가 비행청소년 집단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두 집단이 자기통제력과 반응적 공격성 간의 결합 강도에서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그 양상이 유사하여, 질적으로 다른 집단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두 집단 모두 자기통제력을 강화함으로써 반응적 공격성을 낮출 수 있고, 이를 통해 재범 확률의 감소와 잠재적인 비행 문제의 외현화 예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먼저, 청소년 비행에 대해서 학대나 가정 폭력과 같은 관점에서 벗어나 복합외상적 관점에서 보고자 하였다는데 있다. 또한, 충동적인 공격 행동을 유발하는 반응적 공격성에 자기통제력의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자기통제력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복합외상을 경험한 비행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이 비슷한 양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비행을 보이지 않는 복합외상 경험 청소년들에 대한 예방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비행 청소년, 복합외상, 자기통제력, 반응적 공격성, 조절된 매개효과, 잠재프로파일분석;When a person is exposed to complex trauma in childhood, it may result in vulnerability that can cause many aftereffects in adolescence and then even adulthood in many aspects including cognitive, affectionate, or behavioral area.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such exposure to the event of complex trauma in childhood is associated with delinquency in adolescence, provide understanding of what mechanisms may operate on the back of it, and find out more effective ways to intervene with juvenile delinquents who have experience in being exposed to complex trauma. Moreover,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understanding needed for preventive effort to reduce the potential delinquency of adolescents internalized with vulnerability for complex trauma although delinquency behavior is not yet externalized. To attain the goal, this study has verified the effects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complex trauma and reactive aggression, with a mediation model and examined how different the mediating effect is in the mediating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the groups. For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groups, a group of juvenile delinquents and a group of ordinary adolescents. The group of juvenile delinquents consists of 155 14- to 18-year-old adolescents being in K Juvenile Classification Office or residing in consigned institutions being disposed of No. 6. The comparative group consists of 596 ordinary adolescents who are middle school third grade to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attending general middle or high schools having no experience of getting legal punishment or being charged previously for the violation of the law.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test conducted to see if the two groups show difference in the mean values of three variables, experience in complex trauma, self-control, and reactive aggression, the group of juvenile delinquents indicates more experience in complex trauma, lower self-control, and higher reactive aggression than the group of ordinary adolescent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if self-control exerts mediating effect in the path from experience in complex trauma to reactive aggression with the entire groups, the direct effect of experience in complex trauma leading to reactive aggression and indirect effect having self-control as a mediator both indicat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partially. Next, in the path from self-control to reactive aggression, this author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group conditions as well as moderated mediating effects in accordance with self-control and group conditions. As a resul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re both significant, and in the two groups both, when self-control is lower, reactive aggression gets higher, but when self-control is lower, reactive aggression gets higher, and this tendency is stronger in the group of juvenile delinqu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ensity of combination of the two variables is higher in the group of juvenile delinquents. It implies that the two groups indicate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combination of self-control and reactive aggression, but the tendency is similar, so it is hard to see they are different groups qualitatively. Therefore, by enhancing self-control in the two groups, it is possible to reduce reactive aggression, and it will decrease the possibility of second conviction and prevent the externalization of potential delinquenc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out juvenile delinquency, being freed from the perspective of abuse or family violence, this study takes a new perspective with complex trauma. Also,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elf-control on reactive aggression causing impulsive aggressive behavior,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ground on the utility of self-control programs. Lastly, by showing that juvenile delinquents having experienced complex trauma and ordinary adolescents show similar tendencies, this author suggests the necessity of preventive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complex trauma but not yet shown any hint of delinquency. Keywords: juvenile delinquents, complex trauma, self-control, reactive aggression, moderated mediating effect, latent profile analy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7 II. 이론적 배경 9 A. 청소년 비행 9 1. 청소년 비행(Juvenile Delinquency)의 개념 9 2. 청소년 비행 원인에 대한 관점 11 B. 복합외상 13 1. 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아동학대 13 2. 복합외상의 정의 15 3. 복합외상의 결과 16 4. 비행 청소년과 복합외상경험 18 C. 자기통제력 19 1. 자기통제력(Self-control)의 개념과 정의 19 2. 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서의 자기통제력 20 3. 자기통제력과 복합외상 22 D. 반응적 공격성 24 1. 공격성의 정의와 유형 24 2. 반응적 공격성 26 III. 연구방법 29 A. 연구 방법 29 1. 연구 대상 29 2. 측정도구 30 3. 연구절차 32 4. 분석방법 33 B. 연구 결과 37 1. 인구통계특성분포 37 2. 주요 연구변수의 기술통계 특성치 39 3. 비행 여부에 따른 연구 변수의 집단 차이 41 4. 주요 연구 변수의 신뢰도 및 변수 간 상관관계 44 5.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복합외상 반응적 공격성) 47 6. 집단 조건의 조절효과 (자기통제력 반응적 공격성) 48 7. 자기통제력과 집단 조건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51 8. 추가적 사후분석 53 IV. 결론 및 제언 56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56 1. 비행청소년 집단과 일반청소년 집단 비교 56 2. 복합외상경험, 반응적 공격성 간 관계에서 자기통제력과 집단 조건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58 3. 추가적 사후분석 62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64 참고문헌 68 부록 88 ABSTRACT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03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비행 청소년의 복합외상노출경험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Relations between Exposure to Complex Trauma and Reactive Aggression in Juvenile Delinquents-
dc.creator.othernameChoi, Jong Ok-
dc.format.pagevii, 97 p.-
dc.contributor.examiner안현의-
dc.contributor.examiner김아영-
dc.contributor.examiner양윤-
dc.contributor.examiner이수정-
dc.contributor.examiner방희정-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