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06 Download: 0

공유리더십과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Title
공유리더십과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Other Titles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uthors
이진선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재삼
Abstract
Modern society changes at such a rapid pace that we cannot anticipate what is to come,and this has heightened peoples’uncertainty of the future. Organizations have changed from a traditional hierarchy structure to a team-oriented hierarchy structure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flow of this business environment and to manage organizations more efficiently than before. The team-oriented hierarchy structure enables organizations to make prompt and effective decision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eople capable of making those decisions. That way, even if there is only a single designated leader, a number of substitute leaders could stand in to support decision making processes at any time. This change in the business environment led to a study of more suitable leadership models for the team-oriented hierarchy structure (Pearce & Sims, 2002), the focus of which centered on the concept of shared leadership where numerous leaders with dispersed leadership exist within a single team. Since shared leadership capitalizes on strong horizontal leverage within a team, it influences relationships internally by encouraging autonomous performanc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of a team and throughout an organization. This shift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s a vital process within shared leadership that improves a team’s ability to efficiently manage and maintain an organization between the organizing members. Based on this advanced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s strategy of multiple leaders within a team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s clear-increased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ly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duty achievement (Luthans, Youssef, & Avolio, 2007).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is considered to be a regulatory effect over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at gives central focus to resilience. This study is meant not only to supplement the advanced research field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one of many variables, but also the research field on leadership applicable to team-oriented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research problems to be covered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goals are as follows: Research problem 1. Is it possible to predict how shared leadership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Research problem 2. Does resilience have a regulatory effect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an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who work at the domestic IT company “S company” from Sep 30, 2015 to Oct 2, 2015. 16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total, and 157 copies (98%)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variables, and verified our research hypothesis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earch result, we verified a hypothesis that the low ranked variables of shared leadership,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irective leadership and empowering leadership will all predictably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we identified that only transactional leadership out of the 4 low ranked variables has regulatory effect. This regulatory effect of resilience appears within transactional leadership when an environment of adversity arises after all members of the team are not equally recognized for their merit and contributions to a positive outcome. In the case of the object of this study,“S company", there exists a horizontal structure based on mutual discussion and opinion coordination, not a rigid vertical structure relying on hierarchical order of rank. Furthermore,“S company” has as its foundation an annual salary system in line with individuals’contributions and merit rather than position or tenure.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in its organizational culture, when organization members aren’t rewarded appropriately, shared leadership tends to decrease and when this happens, only members who have high resilience will take this insufficient reward as an opportunity to grow and overcome this. Namely, in this study, we can interpret that the verification result of regulation effect of resilience is reflected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study object.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ince shared leadership can predict organization communication, and regulation effect of resilience is not that big, we do not need to insert the specific moderating variables into the relationship of two variables. However, as the study object in this research demonstrates, when organizational culture is based on horizontal structure and an annual salary system in line with individuals’ contributions, members display the regul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which is a sub theory of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 communication. Consequently,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 order to instill and activate shared leadership in an organization, it is essential to improve organization communication while at the same time paying attention to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attributes of organization members such as resilience.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overseas business organization members out of 'S company' executives and staff members. Therefore, since we cannot conclude that the sample of the population, which i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represents (the entire) population, we need to supplement the study by expanding the study objects who are working in other companies of the same or similar industry. Second, although the importance of shared leadership is emphasized for the change it brings within an organization’s environment, a concrete methodology cannot be concluded. Hence, we need to supplement the study with specific action plans for shared leadership. Third, we progressed research by distinguishing 4 variables depending on shared leadership behavior pattern. Besides 4 variables, we need to supplement a study concerning a variety of shared leadership types such as clear leadership and appreciative leadership, etc. Fourth, in this study, a self-report style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each factor, which distorts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by reflecting the subjective thought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rough methods such a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360-degree feedback, we can likely perform more objective measurement. In spite of these limitations, we find it significant that this study confirms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it suggests several points to be considered when hands-on workers construct organizational environments. We anticipate that the study results will lead to a better compreh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that they can be utilized as empirical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hared leadership through resilience.;현대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고, 오늘날 같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고조되었다. 조직은 이러한 경영환경의 흐름에 대응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조직을 운영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계층구조에서 팀 중심의 조직구조로 변화하였다. 팀 중심의 조직구조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 등의 장점이 있으며, 공식적인 리더가 존재하더라도 언제든 비공식적인 다수의 리더가 출현 할 수 있다. 이처럼 경영환경의 변화는 팀 중심의 조직구조에 보다 적합한 리더십 모델에 관한 연구를 활발해지도록 만들었고(Pearce & Sims, 2002), 한 명의 리더가 아닌 분산된 리더십으로 한 조직 내에 다수의 리더가 존재한다는 공유리더십(shared leadership)을 출현시켰다. 공유리더십은 팀 내에서 수평적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자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구성원들간의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며, 공유리더십과 영향관계에 있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은 효과적으로 조직을 운영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조직 구성원들 사이에서의 필수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수의 리더가 존재하는 공유리더십과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파악하고,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성과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Luthans, Youssef, & Avolio, 2007)를 바탕으로,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공유리더십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을 하나의 변수로 연구하였던 선행연구분야뿐 아니라 팀 중심의 조직구조에 적용 가능한 리더십에 대한 연구분야를 보완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공유리더십은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2. 회복탄력성은 공유리더십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서 국내 IT 기업인 ‘S사’에 종사하는 임직원들 중, 해외사업부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30일부터 2015년 10월 2일까지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배포된 설문지는 총 160부이고, 이중 회수된 총 157부(98%)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술통계 및 변인들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계층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공유리더십의 하위변수인 거래적 공유리더십, 변혁적 공유리더십, 지시적 공유리더십, 위임형 공유리더십 모두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예측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고, 총 네 개의 하위변수 중, 거래적 공유리더십만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거래적 공유리더십은 긍정적 성과에 따라 구성원 모두에게 공평한 공로가 인정되지 않을 때 구성원들 간의 갈등 발생으로 조직내의 역경에 직면하게 되는데, 이러한 환경에서는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연구대상인 ‘S사’의 경우, 상하위계 질서에 따른 경직된 수직구조가 아닌 상호협의와 의견조율이 가능한 수평적 조직구조이며, 직급이나 연차가 아닌 능력에 따른 합리적 연봉제도를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직문화의 특성상, 조직 구성원들에게 합리적인 보상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상대적으로 공유리더십이 낮아지고, 공유리더십이 낮아진 조직 내에서 회복탄력성이 높은 조직 구성원만이 불합리한 보상에 대한 상황을 극복하고, 다시 한 번 성장의 발판으로 삼는다. 즉, 본 연구에서의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는 연구대상의 조직문화를 반영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은 공유리더십은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예측할 수 있고,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는 크지 않아 두 변수의 관계에 특정 조절변수를 투입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연구대상과 같이, 수평적 조직구조 및 합리적 연봉제도를 조직문화로 근간할 경우에는 공유리더십의 하위요소인 거래적 공유리더십과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조직 내의 공유리더십을 정착시키고 활발히 하기 위해서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을 향상 시켜야 하고, 동시에 회복탄력성과 같은 조직 구성원의 개인의 심리적 속성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따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S사’에 종사하는 임직원들 중, 해외사업부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참여한 표본 집단이 모집단을 대표한다고 단정 지을 수 없으므로, 동일 혹은 유사한 산업의 타기업 등을 연구대상으로 확대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직환경 변화에 따라 공유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은 제시하지 못하였다. 때문에 공유리더십의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 대한 연구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유리더십 행동양식에 따라 총 네 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이 네 가지 하위 변수 외에 클리어 공유리더십, 긍정탐구 공유리더십 등 다양한 공유리더십 유형에 관련된 연구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 사고가 반영되어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의도적으로 왜곡하기 쉽다. 개별면접, 심층 인터뷰, 다면평가 등을 통하여 좀 더 객관적인 측정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과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관련 실무자들이 조직 환경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을 제시한 것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가 공유리더십과 조직 커뮤니케이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회복탄력성을 통하여 공유리더십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실증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