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나나-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reator이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5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18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188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how many clusters were formed based on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s (i.e., affect intensity, emotional attention, and emotional clarity), and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adolescents in each cluster with respect to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84 1th and 2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and Gimpo. Thes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included items regarding their emotional experiences,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correlations, cluster analysis, and ANOVA with Scheffé post-hoc comparison.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variables for the emotional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More specifically, affect intensity was related to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emotional attention wa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lso emotional clarity was related to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and life satisfaction. And all emotional experience variables were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four clusters were drawn based on affect intensity, emotional attention and emotional clarity. The first group was named‘overwhelmed’with high affect intensity, normal emotional attention and low emotional clarity. Second group was ‘cerebral’with normal affect intensity, emotional attention and emotional clarity. Third group was ‘hot’with normal affect intensity, high emotional attention and high emotional clarity. Lastly, fourth group was ‘cool’with low affect intensity, low emotional attention and low emotional clarity. Finally, hot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an other groups and overwhelmed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others. In conclusion, four groups were formed based on three emotional experience variabl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found.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could be used as a source in designing differentiated approaches for counselor who faces adolescents suffering from their emotion.;본 연구에서는 정서경험의 하위요인인 정서를 느끼는 강도(정서강도)와 정서에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정서주의), 그리고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지 여부(정서명확성)에 따라 군집이 형성되는지 탐색하고, 형성된 군집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김포에 거주하는 고등학교 1, 2학년 남녀학생 28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서경험의 하위요인 중 정서강도는 Diener(1987)의‘정서강도척도(Affective Intensity measure; AIM)’를 김은숙(199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정서주의와 정서명확성은 Salovey와 Mayer(1995)의 ‘상위정서 척도(Trait Meta-Mood Scale; TMMS)’를 이수정과 이훈구(1997)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주관적 안녕감은 Diener(2000)의 제안에 따라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의 주관적 안녕감을 함께 측정하였으며, 인지적 측면의 주관적 안녕감은 Diener, Emmons, Larsen과 Griffin(1985)의‘삶의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이은경(2004)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서적 측면의 주관적 안녕감은 Watson, Clark과 Tellegen(1988)의‘긍정정서 부정정서 척도(Positive and Negative Affect; PANAS)’를 이주성(1991)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만족도는 이형득과 문선모(1990)의‘인간관계변화척도’, 김재은(1974)의‘가정환경진단척도’, 조종현(1984)의‘학교생활 적응검사지’등을 참고로 하여 은혁기(2001)가 제작한‘대인관계 만족도 척도(Tes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변인들에서의 성차를 살펴보기 위한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정서경험 변인들에 따른 군집을 살펴보기 위한 계층적 군집분석과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ANOVA를 통하여 군집별로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서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é의 방법을 사용하여 어떠한 집단에서 차이가 있는지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경험과 주관적 안녕감 및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와 관련하여, 먼저 정서강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안녕감인 긍정정서와 부정정서가 높았으며, 정서주의가 높을수록 긍정정서가 높았고, 정서명확성이 높을수록 인지적 안녕감인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인 긍정정서는 높았으며 부정정서는 낮았다. 다음으로,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확성이 높을수록 전체적인 대인관계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확성에 따라 네 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정서강도가 높으나 정서주의는 평균보다 약간 높고 정서명확성은 매우 낮은 압도집단이며, 두 번째 집단은 정서강도와 정서주의는 평균보다 약간 낮으며 정서명확성은 평균보다 약간 높은 침착집단, 세 번째 집단은 정서강도는 평균보다 약간 높고 정서주의와 정서명확성이 매우 높은 열정집단, 마지막으로 정서강도와 정서주의, 정서명확성이 모두 낮은 무딘집단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경험 군집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나, 정서강도는 평균적이나 정서주의와 정서명확성이 매우 높은 열정집단이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정서강도는 매우 높으나 정서주의는 평균적이고 정서명확성이 매우 낮은 압도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 보면, 정서경험 요인인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확성에 따라 네 개의 구분되는 군집이 형성되었으며 이에 따라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문적으로는 정서경험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바라봄과 동시에 개인의 개별적인 특성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었으며, 상담 장면에서는 청소년의 정서경험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6 A. 정서경험 6 B. 정서경험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 및 대인관계 만족도 9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14 A. 연구문제 14 B. 용어정의 14 Ⅳ. 연구방법 16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6 B. 조사도구 18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22 Ⅴ. 연구결과 23 A. 예비분석 23 B.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23 C. 정서경험의 군집분석 25 D. 정서경험 군집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만족도 29 Ⅵ. 논의 및 결론 31 참고문헌 37 부록. 설문지 46 ABSTRACT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0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청소년의 정서경험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 만족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개인중심접근법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motional Experiences,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during Adolescence : Focus on A Person-Centered Approach-
dc.format.pageiv, 58 p.-
dc.contributor.examiner한세영-
dc.contributor.examiner이운경-
dc.contributor.examiner신나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아동학과-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