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9 Download: 0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Job Seeking Stress : Focused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expectancy
Authors
김현아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숙
Abstract
성인 초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은 자신이 원하는 직장에서 요구하는 자격요건을 축정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이들이 지각하는 가장 높은 스트레스 요인은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 영역이다. 특히 최근에 들어 청년 취업난과 맞물려 취업 스트레스가 대학생들에게 여러 부적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지하면서,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 경감을 위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취업스트레스는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취업스트레스 간에 관계는 어떠한가? 이에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소재한 5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결과기대 척도, 취업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22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응답이 누락된 설문을 제외하고 총 301부(남자 122부, 여자 17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 신뢰도분석, Pearson 상관분석,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 전공계열이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에서는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미래계획)이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으며,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성격스트레스)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다. 학년에서는 취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성격, 취업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1학년이 가장 낮았고 4학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른 차이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취업스트레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은 각각 전공계열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했다. 둘째,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전공선택동기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와는 정적 상관을, 취업 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는 서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취업스트레스와는 각각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외에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관련된 변인으로 잘 연구되지 않았던 전공선택동기와 결과기대를 새로운 변인으로 상정하였다.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기초 연구자료로서의 의의를 지니며, 취업스트레스를 호소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주요어 :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취업스트레스, 대학생;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seeking stress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expectan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 First, are there a difference in job seeking stress,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expectancy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grade, and major field? Second, are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expectancy, and job seeking stres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5 universities in Seoul, Kyoung Gi, and Incheon province. They response to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scal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the outcome-expectancy scale, and the job seeking stress scale. Of 322 copies of questionnaire, 301(male 122, female 291) valid ones excluding questionnaire that response is being omitted or unfaithfully responded ones were se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Data of the study was analyzed on frequency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Statistics 22.0. The results found in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on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expectancy and job seeking stress based on gender, grade, and major field as follows: For genders,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future plans), this was higher on men than women. And sub factors of job seeking stress(personality), this was higher on women than men. For grades, sub-factor of job seeking stress(personality, employment anxie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first grader was the lowest of job seeking stress, and the fourth grader was the highest of job seeking stress. For major fiel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expectation, and job seeking stres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However, sub-factor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expectancy, and job seeking stress as follows: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whereas there ar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seeking stress. Moreover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expectancy, and there ar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eeking stress each oth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are researching factors of job seeking stress(major selection motivation, outcome-expectancy) excep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as a basic data that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job seeking stress was attemp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be used for counseling and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to experience job seeking stress. Key words :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expectancy, outcome-expectancy, university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