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정-
dc.contributor.author김하람-
dc.creator김하람-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8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86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cultivate the conscious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mong the first graders learners in junior high school throughout application of integrated instruction on art and moral named ‘Making Poster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and verification of its effec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necessity and meaning of integrated instruction on art and moral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were examined through theoretical analysis on integrated instruction and school violence preventive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ve education in art education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as considered. In sequence, the subject was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curriculums revised in 2009, of art and moral, and then integrated instruction program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Problem Based Learning(PBL) model and the webbed model of Fogarty, an integrated instruction researcher. Then, the designed program was implemented for 8 times among 43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S, a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Gangseo-gu of Seoul, and the integrated instruction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21 students while the traditional branched instruction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of 22 students. Prior to execution of the experiment, the two groups were verified as homogeneous throughout the tests that the researcher had developed in order to verify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preliminary homogeneity inspection on experience and learning contents, inspection on permissive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and inspection of capability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Then among the data obtained after execution of experiment, those that can be statistically processed were analyzed by using SPSS ver21.0,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hile those cannot be statistically processed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o draw conclusion. On this basis, how the integrated instruction in art class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ffected cultivation of learners’ conscious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was analyzed. The summary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ent through the integrated instruction on art and moral showed large improvement in permissive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coping methods, and those related subordinat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went through traditional branched instruction. Second, at the formative assessment to verify achievement of goals in art and moral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went through branched instruction. Third, at the qualitative analysis of practice’s output, the experimental group obtained higher ratings than the control group in ‘subject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and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Fourth, the qualitative analysis of description evaluation of activity sheets and learner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ent through integrated instruction appreciated the necessity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importance of proper behaviors to prevent it,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s satisfaction inspection, all of the learners gave positive evaluations in terms of interest, satisfaction, help and amusement of integrated instruction on art and moral. In conclusion, throughout examining how the integrated instruction on art and moral within the purpos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ffected inducement of the first graders interest in junior high school, and improvement in learner’s consciousnes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hievement of goals in class, satisfaction from instruction, and interest in integrated instruction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e sense of suggesting such instruction can be utilized effectively in junior high school.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can be a basic research for teenagers’ school violence preventive education in order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school violence that turned out to be a serious problem in our society.;학교폭력은 근래 들어 우리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논의되고 있다. 최근 정부와 사회 각계각층의 노력으로 학교폭력이 상당히 줄었다고 보도되고 있으나, 은밀하고 지능적으로 이루어지는 학교폭력으로 인해 괴로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사는 학교폭력의 발생 이전부터 세밀한 관심을 기울어 효과적으로 개입하지 못할 경우, 학교폭력으로 인한 갈등과 후유증은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하게 확대될 수 있다. 학교폭력은 사건이 발생된 후에 개입하는 것 보다 폭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이라는 것을 여러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Hahn, et al., 2007; 오인수, 2010; Yoon, Bauman, Choi & Hutchinson, 2011). 그러므로 학교폭력 문제 해결에 있어 사후 해결보다 사전예방이 더욱 중요하며, 이를 위한 많은 투자와 법률개정 및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2011년 대구 중학생 자살사건 이후, 학교폭력과 관련한 많은 변화들이 있었다. 그 중 시행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은 이전에 동영상 교육으로 대체하였던 것에서 역할연극, 집단상담, 심리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 발전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과정으로까지 영향을 미쳐 2012년 도덕과 교육과정은 당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된 청소년 폭력 예방을 위해 ‘평화적 해결과 폭력 예방’이라는 단원을 설정함으로써 폭력이 가져오는 결과와 예방 및 대처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덕과의 내용만으로는 폭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과, 폭력적 상황에서의 대처방법을 일방적으로 알리는 자칫 ‘학습’의 단계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예방교육은 폭력이 발생되는 상황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선제적(proactive) 전략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근본적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의식변화와 그들만의 실천적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해서는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미술교과와의 통합으로 학교폭력 현장에 있는 학생들이 학교폭력과 관련한 여러 문제와 이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서로 소통함으로서 보다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한 대안을 발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과 통합 교육은 구성주의 교육방법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기존의 분과식 교육과정이 아닌, 교과간의 통합적 전략으로 학습자의 실제 삶과 연관 지어 환경과 교육이 맥락적으로 상호 보완하여 실생활에 직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미술과 도덕과의 통합수업은 학교폭력 예방에 있어 학생의 입장에서의 근본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절하며 학교현장과 연관 지어 실현가능한 예방 및 대처방안의 아이디어를 수집하여 자발적인 예방 행동의 자세를 지닐 수 있도록 독려하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포스터 제작하기’라는 주제를 선정하여 미술과와 도덕과를 연계한 교과 통합수업을 적용하고 수업의 실효성 검증을 통하여 중학교 1학년 학습자에게 학교폭력 예방 의식을 함양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교과 통합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학교폭력 예방 의식 함양을 위한 미술과와 도덕과의 교과 통합수업의 필요성과 의의를 살펴보고, 중학교 미술교육에서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방향을 모색한다. 이어서 미술과와 도덕과의 2009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주제를 선정하고, 통합교육 연구자인 Fogarty의 거미줄형과 문제중심학습(PBL) 모형에 따른 통합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다음으로 설계된 프로그램을 서울시 강서구에 위치한 S중학교 1학년 학생 43명을 대상으로 총 8차시에 걸쳐 적용하였으며, 21명의 실험집단에게는 교과 통합수업을, 22명 통제집단에게는 전통적인 분과식 수업을 각각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사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경험과 학습내용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사와 학교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 검사, 학교폭력에 대한 대처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고, 실험 처지 후 얻은 결과 중 통계적 처리가 가능한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할 수 없는 결과물은 질적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미술수업에서의 교과 통합 수업이 학습자의 학교폭력 예방의식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도덕과를 연계한 교과 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분과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학교폭력 허용적 태도와 대처방안 및 그에 따른 하위 영역에서 높은 증진을 보였다. 둘째, 미술과와 도덕과의 교과별 수업목표 달성을 확인하기 위한 형성평가에서 실험집단이 분과식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높은 정답률을 얻었다. 셋째, 실기 결과물의 질적 분석에서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 요소와 원리’의 각각의 평가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넷째, 활동지 및 학습자의 기술평가 질적 분석 결과에서 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의 경우 통제집단보다 학교폭력 예방의 필요성 및 예방을 위한 올바른 행동의 중요성을 높이 인식하게 되었다. 다섯째, 실험집단의 만족도 조사 분석결과, 미술과와 도덕과를 연계한 통합수업의 흥미도, 만족도, 도움정도, 재미정도에 있어서 수업 참여 학습자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된 미술과 도덕과를 연계한 교과 통합수업이 중학교 1학년 학습자의 학습 흥미 유발 및 학습자의 학교폭력 예방 의식, 수업 목표성취, 수업 만족도, 교과 통합수업의 관심도 향상 정도 등을 알아봄으로써, 중학교에서 이러한 수업이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동시에 최근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논의되고 있는 학교폭력의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청소년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기초연구가 될 수 있다는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Ⅱ. 이론적 배경 5 A. 학교 폭력과 예방교육 5 B. 중학교에서의 교과 통합 수업의 이해 13 Ⅲ. 연구방법 33 A. 연구 대상 및 절차 33 B. 연구 도구 38 C.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6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65 A. 연구 결과 65 B. 논의 87 Ⅴ. 결론 및 제언 90 참고문헌 93 부록목차 96 ABSTRACT 1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240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미술·도덕과 통합수업 프로그램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1학년 포스터 제작 수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ntegrated Instruction Program on Art and Moral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 Poster-Making Class for the first graders in Junior High School-
dc.format.pagevi, 162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