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윤정-
dc.contributor.author김시연-
dc.creator김시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3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3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09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7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098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to pottery class upon learners’ art-related self-concept.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cooperative learning and measured the possibility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s application to art class. Also the relation between art-related self-concept and sociality through analyzing pottery section in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such theoretical backgrounds, a ceramic art activity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autonomic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it was experimented in cla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examinations of art-related self-concept and sociality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class were analyzed after statistical treatment through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21.0, and quantitative assessment through execution rating scale and qualitative assessment through observation and description wer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to pottery class was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art-related ability self-concept, social art-related self-concept, and emotional art-related self-concept of the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It was also found that they had significant effects on law-abiding spirit, cooperative attitude, socialness, autonomy as the sub-domains of sociality. Moreover, the analysis on the qualitative data including the assessment papers written by the students and the daily records written by the teachers revealed the positive changes of the learners' attitude for the class. To conclude, it was confirmed that the pottery class applying autonomous co-op learning model positively affected the enhancement of art-related self-concept and sociality of the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it verified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to pottery class program. It is expected there will be cooperative learning programs that utilize various sections in arts including ceramics, developed in the future, to draw learners’ interest and attention an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of sociality.;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접어드는 과도기적 생애단계로 학생들은 신체적으로는 물론, 인지적·정서적·사회적으로 급격한 변화와 성장을 경험한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올바른 자아개념을 정립하고, 타인과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을 함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학교교육은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 형성, 사회성 함양 등 전인적 성장을 위한 교육에는 소홀한 경향이 있다. 이에 학교현장에서는 학생들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수업의 과정에서 서로 타협·협력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적 요구에 따라 최근 미술교과에서는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교과에서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도예수업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3학년에 적용해 봄으로써 학습자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협동학습은 소집단 내의 구성원이 서로 배우고 가르치는 교수체제로 인지적·정의적 측면에서 학습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개별학습이나 경쟁학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수업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협동학습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협동학습 모형 중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모형의 미술수업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중학교 미술교과에서의 도예영역에 대해 분석하고 미술자아개념 및 사회성과의 관계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2009개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여 도예영역을 학습단원으로 선정하였고,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모형의 절차에 따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한 K 기독 대안학교 중학교 3학년 2개 학급 총 26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였으며, 실험수업은 2015년 8월부터 9월까지 총 4주간 8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평가도구는 교육과학기술부(2012c)의 성취평가제 시행에 따른 성취기준·성취수준 개발 자료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으며, 교육전문가 1인과 미술교사 2인에 의해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검사도구로는 김은진(2003)이 개발하고 노용, 동정연(2006)이 번안한 미술자아개념 검사지와 정범모(1971)가 개발한 사회성 검사지를 중학교 3학년의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예비검사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실험수업 전과 후에 실시한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검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후 분석하였고, 학생들이 작성한 평가지·교사의 관찰일지, 실기결과물을 분석하여 양적평가와 질적평가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모형을 적용한 도예수업은 중학교 3학년의 미술자아개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에 실시한 미술자아개념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고(p<.05),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둘째,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모형을 적용한 도예수업은 중학교 3학년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에 실시한 사회성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고(p<.001),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셋째, 학생들이 작성한 평가지·교사의 관찰일지, 실기결과물 등의 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모둠별 작품과 사전·사후의 태도에 많은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모형을 적용한 도예수업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도예수업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미술과를 중심으로 도예영역 외에도 다양한 학습제재를 활용한 협동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학습자의 미술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 내고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3 Ⅱ. 이론적 배경 4 A. 협동학습 4 1. 협동학습의 개념 4 2. 협동학습의 수업모형 8 3.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모형 11 B. 중학교 미술수업에서의 도예교육 17 1. 중학교 미술수업에서 도자공예의 교육적 가치 17 2. 2009개정에 따른 미술 교과서의 도예 관련 단원 분석 18 C.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 21 1. 미술자아개념 21 2. 사회성 25 Ⅲ. 연구방법 29 A. 연구대상 및 절차 29 B. 연구도구 36 C. 자료처리 56 Ⅳ. 결과 및 논의 57 A. 실험결과 57 B. 논의 74 Ⅴ. 결론 및 제언 77 참고문헌 79 부록 83 ABSTRACT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229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모형을 적용한 도예수업이 학습자의 미술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Autonom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 applied to Pottery Class upon Art-related Self-Concept of Learners-
dc.creator.othernameKim, si yeon-
dc.format.pageviii, 125 p.-
dc.contributor.examiner김효정-
dc.contributor.examiner김남시-
dc.contributor.examiner강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