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Feldman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한 미술 비평수업이 비평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Feldman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한 미술 비평수업이 비평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rt Criticism Class Utilizing Feldman’s Art Criticism Method on Cultivation of Ability to Criticize : Focused on th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uthors
권수미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In modern society numerous amounts of information and culture flow over rapidly. Hence the ability to decide what is most necessary and meaningful to oneself among the various choices and to enjoy appropriately has become important. When receiving any information or culture, it is significant that one gives personal meaning to it according to one's own standard and a way of thing not taking it in unconditionally. That can help modern people with boosting the quality of lif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it. One the other hand, the ability is not attained at once but it necessitates a long time of personal assessing and choosing leading to building one's own standard. Therefore, rendering children at an early age to have a chance to develop an ability to criticize helps a grown-up person with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it for oneself. Thus, the study sees that a critical thinking instruction ca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ltivating personal ability to criticize, accordingly it devised an art criticism teaching-learning program making use of Feldman's Art Criticism Method (1973) to look into how the devised program effects on improving art criticiz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ix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e significance of the realm of criticism, which conforms t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lso shown in an educ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the year of 2009. The organization of the content in the realm of appreciation could be broadly divided into 'History of Art' and 'Criticism on Art', which evidently shows the increasing importance and the portion of criticism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lso we can see how criticism matters from the study goal in art class. The study goal in art class is not to make all the students be technically excellent people through giving teaching art. Yet, the goal of art class is to not only let students have an artistic sensitivity, express creatively one's feelings and thoughts, own an ability to communicate, understand and tell the value of art but bring up a person with one's whole personality who can favor and appreciate art in a cultural sense in a daily life. So forth, it is safe to say that the aim of art class is to cultivate and educate people who are able to pursuit a better quality life in constantly changing modern society. In other words, the aim once again shows the realm of criticism’s important stance in the subject of art. For the verification of the study, I theoretically examined the art criticism related resources,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text books and prior studies then design totally six times of criticism instruction utilizing Feldman's Art Criticism Method (1973). For the subjects of the inspection, I selected 52 students from two classes in the sixth grades in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neung-si, Gangwon Province. Then the homogeneity test was held to both 25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 criticism instruction to which Feldman's Art Criticism Method was utilized and applied, was held and for the control group students, a traditional instructor-centered instruction was held to examine if there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enhancing an ability of criticism between two group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 had a criticism instruction to which Feldman's Art Criticism Method (1973) was applied,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a more positive influence seen in the result from having done an art criticism writing test that both groups had with regards to enhancement of their ability to criticiz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students' ability. Still the control group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rt criticism after having received a traditional instructor-centered instruction but the level of enhancement was much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a criticism instruction utilizing Feldman's Art Criticism Method (1973). Secondly, in the result of students' self-assessmen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sidering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had a higher evaluation in most of the sections excluding class participation. In consequence, it is clear that a criticism instruction to which Feldman's Art Criticism Method was utilized and applie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ultivating the ability to criticize for the six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reason, the studies should be done systematically for a long duration of time dealing with art works made in diverse times and eras for more students with different backgrounds. In addition, the effort to consider the relevance of expression activity in the virtual field for preserving the variety of criticism work is essential. The study was done mainly focusing on the problem that art classes in school at present are limited to expression activity yet we should remind that the forward aiming of the instruction is not for one section but it is for all-around learning.;현대사회는 수없이 많은 정보와 문화가 빠르게 쏟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선택지 가운데 자신에게 필요하고 의미 있는 것을 선택하고 제대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정보나 문화를 접하고 그것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기준과 가치관에 따라 의미를 부여하고 가치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현대인들의 삶의 질과 만족도를 높여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은 단번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동안 평가하고 선택하는 과정을 거쳐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며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어린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비평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은 성인으로 성장했을 때 삶의 질과 만족도를 스스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과 감상영역에서 비평 수업이 비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한 미술 비평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미술 비평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비평 영역의 중요성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드러나 있다. 감상 영역의 내용체계를 크게 ‘미술사’와 ‘미술비평’으로 나누어 표현함으로써 교육과정에서부터 비평의 중요성과 비중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술과의 학습목표를 통해서도 비평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미술 교과를 통해 모든 학생들을 기능적으로 우수한 인재로 만들고자하는 것이 미술과의 학습 목표가 아니다. 자신과 주변 세계에 대한 미적 감수성을 기르고,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미술의 가치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뿐만 아니라 생활화하여 미술문화를 애호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고자하는 것이 현 초등학교 미술과의 학습목표이다. 이를 통해 미술과 수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스스로 더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는 인간을 양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미술 교과에서 비평 영역의 중요성이 드러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미술 비평 관련 자료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및 내용체계, 교과서,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한 총 6차시의 비평수업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으로 강원도 강릉시 소재의 A초등학교 6학년 2개 반 52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7명으로 동질성 검사를 실시한 후, 동질성이 검증된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삼았다. 실험집단에는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한 비평수업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교사중심의 수업을 적용하여 두 집단 간의 비평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한 비평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전통적 교사중심의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보다 미술 비평문 작성 평가를 통해 대체적으로 미술 비평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 교사중심의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도 미술 비평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한 비평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더 큰 향상 정도를 보였다. 둘째, 학생들의 자기 평가 결과, 수업 참여도 영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실험집단이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를 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Feldman(1973)의 미술 비평모형을 활용한 비평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미술 비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좀 더 다양한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대의 미술을 포함하여 오랜 시간동안 체계적으로 작품을 아우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비평 활동의 다양성을 위해 현장에서는 표현활동과의 연관성도 유의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현재 학교 현장에서의 미술과 수업이 표현활동 중심인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여 본 연구를 진행했지만 앞으로 나아가야하는 방향이 한 영역만을 위함이 아니라 종합적인 학습을 위함이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