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4 Download: 0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와 진로과 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신장에 미치는 영향

Title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와 진로과 통합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신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classes between art and career applying GI cooperative learning model on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centered on the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Authors
안성원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자아정체감 발달은 청소년기의 주된 발달 과업의 하나이며 이 후 삶의 전체의 모습에 관여하고 현재의 행복과도 직결되는 부분으로, 학생의 현재와 미래의 삶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교육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발달은 위기로 나타나며 신체적 발달과 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학교 교육에서는 청소년 초기 자아정체감 교육으로 학생들이 자기 선택을 통한 주체적인 삶을 구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미술과는 자아정체감 교육을 위한 가장 적합한 교과목으로 미술과 교육이 본질적으로 자기 이해를 수반하며 자아 표현을 위해 자신의 외적 세계와 내적 세계를 통합하게 하는 과정에 있어 자아정체감 신장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미술과에서 자아정체감 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미술과에서 자아정체감 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구성되는 부분이 크므로 협동학습이 적용된 미술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모형 중 또래 간 상호 작용을 강조하고 있는 GI(Group Investigation)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진로과 통합 수업 연구를 통하여 청소년 초기인 중학교 1학년의 자아정체감 신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자아정체감의 개념과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의 중요성, 미술과와 자아정체감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수업에 적용하는 학습 모형으로 협동학습의 개념과 특성, 협동학습의 다양한 모형을 탐색하여 자아정체감 신장을 위한 미술과 수업에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서 GI 협동학습 모형을 선정하였다. 이어 GI 협동학습 모형에 대해 문헌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탐색하고 GI 협동학습 모형과 자아정체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수업을 적용할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 2학급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연구 대상의 분석과 교과과정 분석을 통하여 교수-학습 지도안 및 관련 자료와 평가 도구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수업을 적용하기 전 동일 집단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 도구로서 총 10 문항으로 이루어진 동질성 검사지를 제작하고 사전 자아정체감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박아청(1996)의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선정, 일부 수정하여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동일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검사 결과 각 28명 남녀로 이루어지 두 집단이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동질하다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후 총 9차시로 이루어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각각의 집단에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은 GI 협동학습 모형이 적용된 미술과와 진로과가 통합된 지도안으로, 통제집단은 협동학습 모형이 적용되지 않은 지도안으로 9월부터 10월까지 수업을 진행 하였다. 수업 후 결과물을 성취 기준에 근거하여 작성된 평가도구를 통해 양적 검사와 질적 검사를 실시하고 자아정체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지와 동일한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통합 수업은 중학교 1학년의 자아정체감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GI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통합 프로그램은 자아정체감 하위 요소 중 특히 자기수용성, 미래 확신성, 목표지향성 3가지 영역의 향상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GI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통합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표현과 제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로써 미술과 수업이 자아정체감 탐색을 위한 방법이 될 수 있고, 협동학습을 적용한 수업이 자아정체감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 교과가 타 교과목 보다 융통성 있는 교과인 만큼 GI 협동학습 모형 외에 다양한 모형이 적용된 수업 연구로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신장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is one of the main developmental tasks of an adolescent period. It is regarded as a foundation of education, since the development of self-identity becomes the basis of students’ present and future lives, associated with the whole picture of future life and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t happiness. Therefore, school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to construct autonomous lives through their own choices by self-identity education in the early stage. Art is the most suitable subject for self-identity education, because art and education fundamentally accompany self-understanding and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is expect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one’s internal world and external world for self-expression. Moreover, collective learning model maximizes social interactions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social psychological self in terms of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Thus, the studies on art classes applying the collective learning model are requir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of the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as an early stage of an adolescent period by utilizing the art-career integrated classes applying GI (Group Investigation) collective learning model that emphasizes peer interactions among collective learning models. The analysis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art classes applying the GI collective learning model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of the first graders in a middle school. Second, the integrated art class programs applying the GI collective learning model were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three domains including self-receptiveness, self-confidence, and goal directedness in particularly among sub-factors of self-identit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integrated art classes applying the GI collective learning model gave positive influences on self-identity of the first graders in a middle school as well as on their expressions and productions.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art classes can be a measure of exploring self-identity and that the classes applying collective learning positively affect the enhancement of self-identity. Based on the result, the studies for the enhancement of student’ self-identity are needed by utilizing classes applying a variety of models in addition to the GI collective learning model, given that art is more flexible subject than other subje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