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한업-
dc.contributor.author박주선-
dc.creator박주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1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4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6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46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group conversation developed and refined by DuBois, a pioneer in the field of inter-cultural education promoting a multi-cultural American society in the 1930s and 1940s, applied the concept to a specific research context consisting of local Koreans and foreig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ho were designated as two small groups, and examine the extent to which group conversation constructed as inter-cultural dialogue contributed to improving relationships among mixed-cultural individuals. This study has significant research implications in that it reviewed the life journey of DuBois and sought to provide practical suggestions to an increasingly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by applying DuBois’ notion of group convers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it introduces majo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uBois’ notion of group conversation seen as inter-cultural education. Second, it seeks to explore whether group conversation in terms of various topics, when it is imposed on local Koreans and foreigners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beyond the time and place of its origin, generates meaningful results based upon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among the participants as well as demonstr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opics. Third, along with these two objectives, it explores what needs to be considered to apply the concept of group conversation implemented nearly 70 years ago in America to the Korean society which is evolving as an increasingly multi-cultural society. A literature review used in this study includes archival sources such as journal articles and book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group dialogue. In particular, the review presents an addi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cultural dialogue” which was compiled and published by the UNESCO and “critical intercultural dialogue” wherein Michael Lavinder James viewed inter-culture as a normative model which is neither reduced to cultural differences nor assimilations. In addition, this study reports results of a group conversation, involving a group of 6 local Koreans and 11 foreigner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whose analysis was aided by participation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a qualitative evaluation of portfolios, journals, and programs. This group conversation was conducted in a typology of four intergroup understanding types suitable for the participants with mixed cultural backgrounds was developed after analyzing the Korean group and the foreigner group considering three group types proposed by DuBois. Since an analysis of the group conversation revealed different topics for different group type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type, respectively. The analysis also attempted to demonstrate differences across the group types based on a group conversation trends analysis chart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To deepen the analysis, more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with 3 local Koreans and 3 foreign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otion of group conversation proposed by DuBois, which later morphed into intercultural dialogue, is a type of conversation technique which, instead of promoting discussions exposing individuals to conflicts or forcing them to make moral decisions as to what is right and wrong, focuses on processes in which participants develop relationships and attitudes in order to exchange ideas in an open-minded and respectful manner under the foundation of mutual understanding and mutual respect through emotional engagement before the discussions. In particular, it emphasizes a technique that encourages individuals to move away from self-defense through infusing fun and excitement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conversation if they first meet people with mixed-cultural backgrounds. At the same time, it formulates bond of sympathy through sharing something in common based on love for mankind, and facilitates fellowship and trust fast and naturally in an environment where flows of emotions among participants are respected on the basis of basic psychology including synchronicity put forward by Jung. A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such characteristics of group conversation as mentioned above. Second,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the group conversation technique proposed by DuBois based on love for mankind and search for something in common transcends 70 years such that it works for human relations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dditionally, as she emphasized, what is important is that when common experiences shared by everyone, which includes stories about their childhood and seasons,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conversation quickly built emotional bond for sympathy. This proces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bringing forth groupness through in-group fellowship beyond rigid patterns of rational thoughts. When characteristics of groups were examined in terms of topics, four types of intergroup understanding derived from the examination of the Koreans and foreigners aided in identify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case of a group conversation performed after fellowship was formulated, topics involving intra-group relationship types were further explored. This analysis suggested even deeper discussions took place based on mutual trust. When these analyses were combined together, the group conversation helped to relieve participants of tension they experienced during the initial stage and quickly formulate in-group fellowship by choosing topics involving universality of mankind such as stories about the childhood and the seasons when the participants had multi-cultural backgrounds. Third, the study suggests ways to utilize group conversation in terms of content composition and policy support. When it comes to compose content, it is necessary that the facilitator deals with group relationships available for Korean and foreigner groups after he or she is sufficiently familiar with group conversation. Yet, while following DuBois’ standards to select topics, it is necessary to reformulate ways to employ arts based on those who participate in group conversation in Korea as well as to compose the content of culture. Further, a priority should be given to creating a space for providing opportunities to build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before engaging in a conversation seeking to solve problems. When it comes to policy support, as was the case in the DuBois’ days, it will maximize benefits when performed through organized cooperation. In a summary, a continuous group conversation will be employed when the government provides policy support for organized fellowship and assistance, customized group conversation and reformulated topics, cultivation of leaders capable of moderating a group conversation, and creation of a communication environment based on mutual trust. This study introduced the work of DuBois, who is the founder of intercultural education, which has not been well-known in Korea, and examined how the group conversation concept she pioneered could apply to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mploying the group conversation concept in resolving conflicts that potentially exist between local Koreans and foreigners that reside in Korea before the conflicts become more intense. In addition,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field of intercultural education by suggesting the necessity of studying relationships between local Koreans and foreigners in Korea together within a group rather than inducing changes to one specific group sharing a single characteristic. Further, it provided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where it was common to find solutions in differences and assimilations, and suggested the group conversation concept as a technique to actualize real meetings and communications. This study provided a perspective that an increasingly multicultural Korea is not a threat but a source of abundance, and contributed to policy making by providing an insight into how sources of conflict that have begun to emerge in the foreigner-concentrated area could be efficiently improved.;본 연구는 1930-40년대 미국의 다문화 사회에 기여하고자 노력했던 상호문화교육의 개척자 뒤브아가 개발하고 발전시킨 집단대화 내용을 분석하고,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한국인과 외국인을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이를 직접 적용해봄으로써, 상호문화적 대화로서의 집단대화가 혼합문화 사람들간의 관계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렇기에 상호문화교육의 선구자 뒤브아의 삶을 따라 집단대화를 살펴보고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는 이 사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활용 방안을 살펴보는 것은 충분히 연구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뒤브아가 발전시킨 상호문화교육으로서 집단대화의 내용과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둘째, 집단대화가 시대와 지역을 넘어서 지금 이 사회의 한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진행할 때에 관계 개선을 바탕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 내는지 주제에따라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드러나는지 살펴본다. 셋째, 약 70여년전에 미국에서 실시되었던 뒤브아의 집단대화를 지금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대한민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활용 방안이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지 함께 파악해본다. 집단대화의 특징을 밝혀내기 위해서 학술 논문, 서적 등의 문헌 자료를 살펴 보았고, 그 중에서 특히 유네스코에서 2008년도 정리하여 발표한 상호문화적 대화(Intercultural Dialogue)와 함께 상호문화를 차이 또는 동화 어느 하나로 귀결되지 않을 수 있는 규범적 모델로 언급한 마이클 라빈더 제임스의 ‘문화 간 비판적 대화(Critical Intercultrual Dialogue)도 함께 비교 분석해보았다. 또한 총 5차례에 걸쳐 문화적 배경이 다양한 한국인 6명 외국인 11명이 참여한 집단대화를 참여관찰, 심층면담, 포트폴리오, 현장일지, 프로그램자료등의 질적 연구를 통해 수행하였다. 이 때 뒤브아의 집단유형 3가지의 기준을 참조하여 한국인과 외국인 집단에 대한 분석 후 종합하여 혼합문화 배경의 참여자들에 맞는 집단간 이해 유형을 총 4가지 형태로 설계하여 집단대화를 진행하였다. 집단대화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집단의 유형에 따라 다른 주제를 적용하여 참여관찰 및 사례연구를 진행하였고, 문헌분석을 통해 완성된 집단대화의 방향성 해석 도표를 바탕으로 그 차이를 드러내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3명과 외국인 3명에 대해서는 심층 면담도 병행하여 연구에 깊이를 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의 상호문화적 대화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뒤브아의 집단대화는 갈등이나 옳고 그름을 바로 마주하도록하는 토론보다, 토론 이전에 서로의 감정을 통한 상호 이해와 존중의 태도가 바탕이 되고 개방적이고 예의 바른 의견 교환을 실행할 수 있도록 참가자들 사이의 관계와 태도 형성의 과정을 강조하는 대화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혼합문화 배경의 처음 만나는 집단인 경우 대화 초반에 재미와 흥미를 통해 자기 방어를 내려놓는 기법을 강조한다. 이와 동시에 본론에 들어가서는 인류애에 근간한 공통점 나눔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게 하고, 융이 언급한 동시성을 포함한 기본적인 심리학을 바탕으로 참여자 간의 감정 흐름을 존중하는 분위기 속에서 빠른 시간 안에 자연스럽게 유대감과 신뢰를 쌓는 기법이라는 것을 비교 분석을 통해 밝혀내었다. 둘째, 70여년의 시간적 공백을 뛰어넘어서 인류애와 서로의 공통점에 기반한 뒤브아의 집단대화 기법은 지금 이 시대 사람들과의 관계속에서도 작동될 수 있음을 증명해내었다. 또한 중요한 것은 그녀가 강조했던 바대로 서로의 어린 시절이나 계절 이야기 등 인류 모두에게 공통적인 부분을 다루자, 매우 빠른 시간안에 참여자들은 감정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그러한 과정은 이성적으로 굳어져 있던 생각의 패턴을 너머 집단내에 유대감을 통한 집단성을 가져올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었다. 그리고 집단 간 특성을 주제별로 살펴보았을 때 한국인과 외국인의 집단 각각의 특성을 살펴 4가지 형태의 집단간 이해 유형으로 특징지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미 유대감이 형성된 이후에 진행된 집단대화에서는 집단내 관계성 유형의 더 심도 있는 주제를 다루어보았고,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앞서보다 더 깊은 토론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 때 집단대화는 참여자들이 혼합문화 배경일 때에는 어린시절의 이야기나 계절 이야기와 같은 인류보편성을 띄는 주제를 선택하는 것이 초반의 긴장감을 낮추고 빠르게 집단내 유대감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집단대화의 활용방안 관련해서는 내용 구성과 정책 지원으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내용 구성시 한국인 집단과 외국인 집단으로 구성시 가능한 집단간 관계성은 진행자가 충분히 집단대화에 익숙해지고 나서 다룰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제 선정시 뒤브아가 제시했던 주제선정 기준을 따르되, 내용은 한국에서 실시될 집단대화의 참여자를 바탕으로 예술 활용 방법이나 문화 구성 내용은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문제 해결 위주의 대화로 바로 들어가기보다는 상호 신뢰와 상호 이해를 우선적으로 쌓을 수 있는 기회 제공의 장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보여진다. 정책 지원과 관련해서는 뒤브아의 시절에도 그러했듯이, 조직적으로 협력을 이루어서 진행되어야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정부 정책 차원의 조직적인 연대와 지원, 집단대화 맞춤 주제 재구성, 집단대화 리더 양성, 상호 신뢰 소통의 장 마련을 통해서 지속적인 집단대화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호문화교육계의 개척자 뒤브아를 소개하고, 그녀의 집단대화를 직접 이 시대에 적용해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에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갈등관계를 어떻게하면 큰 갈등으로 커지지 않고 해결해볼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또한, 하나의 속성을 가진 집단만 변화시키려고 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집단 속에서 한국인과 외국인의 관계를 함께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상호문화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차이와 동화 사이에서만 해답을 찾으려고 했던 대한민국의 다문화 교육에 대해서 새로운 대안으로서 상호문화교육을 제안하고, 실질적인 만남과 소통을 실현할 수 있는 하나의 기법으로서 집단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한국의 문화다양성 증가가 위협이 아닌 풍요로움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하고 외국인 밀집지역에서는 이미 드러나기 시작한 갈등 요소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책 제언에 기여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4 A. 연구배경 및 연구의 필요성 4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11 Ⅱ. 이론적 배경 14 A. 선행연구고찰 14 B. 용어정의 18 C. 뒤브아의 집단대화 발전배경 28 1. 개인사적 배경 28 2. 시대사적 배경 36 D. 뒤브아의 집단대화 개요 39 1. 목적과 집단유형 39 2. 주제선정 40 3. 진행방식 42 4. 결과 45 Ⅲ. 집단대화 연구방법 47 A. 연구설계 47 B. 연구대상 선정 및 특징 51 C. 자료수집 및 분석 53 Ⅳ. 집단대화 연구결과분석 및 해석 57 A. 집단간 이해 유형 Ⅰ (1차&2차) 57 B. 집단간 이해 유형Ⅱ (3차) 72 C. 집단간 이해 유형 Ⅲ (4차) 81 D. 집단간 이해 유형 Ⅳ (5차) 88 E. 결과요약 및 활용방안 102 Ⅴ. 결론 및 제언 105 참고문헌 110 연구참여동의서 113 ABSTRACT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829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뒤브아(R.D. DuBois)의 집단대화를 활용한 한국인과 외국인의 관계 개선 방안 모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Dubois’s Group Convers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human relation improvement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dc.format.pagevi, 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