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3 Download: 0

미-중-대만 전략적 삼각관계와 중추국가의 국내정치

Title
미-중-대만 전략적 삼각관계와 중추국가의 국내정치
Other Titles
The Strategic Triangle of U.S.-China-Taiwan Relationship and the Pivot’s Domestic Politics : Focusing on the Clinton and Bush Administrations.
Authors
홍예지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민병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in the post-Cold War period. The research specifically studied the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during Clinton and Bush administrations applying the Dittmer’s ‘strategic triangle’ theory.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lained that the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by the U.S. administration and congres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Despite the end of Chinese Civil War in 1945, the cross-strait crisis has continued since Nationalist Party moved to the land of Taiwan. When the cross-strait crisis became an international issue since the Cold War era, the U.S. have actively intervened in the cross-strait crisis by signing the Defense Treaty with Taiwan. At that time of period, the U.S. protected Taiwan in order to contain China at the structural level of international politics. Therefore, the U.S. have obtained a hostile relationship with China an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aiwan. During the detente period, the U.S-China normalization was established because of the strategic need by the U.S., and the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have become more complicated as a result. Even though the cross-strait conflicts relatively decreased since the Cold War through economic interactions between China and Taiwan, a profound analysis of the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is needed because the possibility of military conflicts is still available. Entering the post-Cold War period, the role of U.S. as the pivot state in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collapse of U.S.S.R., and the domestic politics of U.S. have started to influence the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more and more. Through the Vietnam War and the Watergate Affair after 1970s, there was a change in the U.S. foreign policy, and since then the congress began to actively participate in foreign policies. When the U.S. administration alone pursued the U.S.-China normalization, the congress passed the Taiwan Relations Act(TRA) to reinforce the security of Taiwan as response. It is thus perceived that the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cross-strait since the detente era has been decided through complex cross-strait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by the administration and the congress. In the cross-strait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the U.S. congress has shown more powerful influence than before through joint resolution, budget approval and introducing a bill. However, it is true that the administration and the congress showed the state of convergence or conflict, because it is not easy for them to come to agreement in cross-strait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 From such analysis, this research can deduce in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U.S. foreign policy is affected by not only the international structure but also the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structure at a regional level. While the cross-strait policy during the Cold War period was led on a international structure level to contain China, the one during the post-Cold War period was influenced more by the new triangular structure with the U.S as its pivot. Second, it is needed to emphasize that the domestic politics by U.S. who played the pivot in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have brought changes in the triangular relationship. This explanation is an attempt to reinforce the insufficient part of the strategic triangle theory which conceives the nations as unitary actors. Through this approach, this paper argues that, in the process of foreign policy decision by U.S., the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is shown to be a‘stable marriage’ when the administration and the congress agree with one another and to be a ‘romantic triangle’when the two branches disagree. Like thi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ost-Cold War U.S.-China-Taiwan triangle relationship focusing on the U.S. foreign policy decision making.;이 연구는 탈냉전기 미국-중국-대만 삼각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클린턴 및 부시 행정부시기 미-중-대만의 삼각관계를 디트머의 ‘전략적 삼각관계(strategic triangle)’이론을 확대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미국의 행정부와 의회의 외교정책 결정과정이 미-중-대만 삼각관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설명하려고 한다. 1945년 국공내전이 종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양안갈등은 국민당이 대만으로 이주한 이래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 또한 역사적으로 냉전시기부터 양안문제가 국제문제화 되면서 미국은 대만과 공동방위조약을 체결하고 적극적으로 양안갈등에 개입해 왔다. 당시 미국은 국제정치의 구조적 차원에서 중국을 봉쇄하기 위해 대만을 방어하였고, 이로 인해 미국과 중국은 적대적 관계를 그리고 미국과 대만은 우호적 관계를 맺었다. 이후 데탕트 시기에는 미-중 국교정상화가 이루어지면서, 이로 인해 미-중-대만 삼각관계가 이전보다 더 복잡하게 변화하였다. 비록 탈냉전 이후 중국과 대만간의 경제적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양안관계의 갈등적 요소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지만, 대만해협을 둘러싼 군사적 갈등의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미-중-대만 삼각관계에 대하여 더욱 세심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탈냉전기에 들어 미-중-대만 삼각관계 속에서 미국이 단일 패권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중추국가인 미국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그래서 미국의 국내정치가 미-중-대만 삼각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게 작용하기 시작했다. 또한 1970년대 이후 베트남전쟁과 워터게이트 사건을 계기로 미국의 외교정책에 변화가 있었고, 특히 이 시기부터 미 의회가 더욱 적극적으로 외교정책에 관여하게 되었다. 이 시기 미 행정부가 단독으로 미-중 정상화를 추진하자 의회는 이를 견제하면서 대만의 안보를 강화하는 대만관계법(TRA)을 통과시켰다. 그래서 미국의 양안 외교정책은 데탕트 시기부터 행정부와 의회의 복잡한 외교정책 결정과정을 통해 이루어져 왔다고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의회는 양안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이전보다 더 강화된 권한을 가지고 합동 결의안이나, 예산 승인 및 심의권, 법안 제출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양안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미 행정부와 의회가 합의에 도달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상호 수렴(convergence)하거나 상호 대립(conflict)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미국의 외교정책은 국제구조 뿐만 아니라 지역 차원에서 미-중-대만 삼각관계 구조에의해 영향을 받는다. 냉전시기는 양안 외교정책이 중국을 봉쇄하기 위해 국제 구조의 차원에서 이루어져 왔지만 탈냉전시기에는 미국을 중추국가로 한 새로운 삼각관계 구조에 더 큰 영향을 받아 왔다. 둘째, 탈냉전기 미-중-대만 삼각관계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 미국의 국내정치가 삼각관계 변화를 가져왔다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설명은 기존의 국가를 단일 행위자로 간주한 전략적 삼각관계 이론의 불충분한 부분을 보완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이 논문은 미국의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행정부와 의회의 입장이 수렴할 때는 미-중-대만 삼각관계가‘안정적 유형’으로 나타났고, 양자의 입장이 충돌 할 때에는‘낭만적 삼각관계’로 변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탈냉전기 미-중-대만 삼각관계를 미국의 외교정책 결정과정에 주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