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8 Download: 0

Cultural Differences on the Recognition of Social Word AAC Graphic Symbol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dergraduate Students

Title
Cultural Differences on the Recognition of Social Word AAC Graphic Symbol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Undergraduate Students
Other Titles
한국 대학생과 미국 대학생의 AAC 사회어 그림 상징 인식에 대한 문화적 차이
Authors
강로원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Individuals with impairments on speech-language ability can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One of the components of AAC, symbols, correspond with words or sentences of language. Therefore, AAC users and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should know the role of symbols in AAC for successful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AAC. On the recognition of graphic symbols of AAC, iconicity is an essential factor for symbol recognition. High iconicity of symbols makes individuals recognize the meaning of symbols easily, but iconicity is not the only factor of symbol recognition. Age, language knowledge, symbol experience, and cultural background are other factors for graphic symbol recognition. For the efficient and immediate communication between AAC users and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for the recognition of graphic symbol is important. Providing appropriate vocabulary in AAC is also important. When selecting vocabulary for AAC devices, vocabulary type can vary in terms of communication situations, context, and partners. In the case of social words, however, they are not seriously influenced by communication situations, types, and partners. Moreover, social words are developed in early age and used as core vocabulary regardless of age, language, and disability. Considering concepts of social words and factors influencing symbol re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conicity and cultural background on the recognition of social word AAC graphic symbols between two cultural group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8 undergraduate students (24 Koreans, and 24 Americans), and 20 graphic symbols of 10 social words were selected for the stimuli from PCS™ (Mayer-Johnson, 2012)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and Ewha-AAC symbol (Park et al., 2014) developed in Korea. Each of 20 graphic symbols was assigned to a slide of PowerPoint Presentation, and presented to the participants. The transparency task asked the participants to guess and write down the meanings of the presented graphic symbols in 30 seconds for each slide. After the transparency task, the translucency task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marked their degree of agreement with the meaning of the symbol on the 5-point rating scale, given 20 seconds for each slide. For the transparency task, 1 point was assigned to an answer of a participant corresponding with the original social word, and for the translucency task, rating scores of the 5-point scale were substituted for points of each item. A 2×2 two-way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identify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ransparency task performance and the translucency tas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graphic symbol types.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identify any associations of the transparency tas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translucency tas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spects of each social word AAC symbol. Additionally,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identify any relationships between the transparency task performance and the translucency task performance of each group and among the total participants in the aspects of each social word AAC symbo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performance of transparency task between the two types of AAC symbol, and the two-way interaction between cultural groups and symbol typ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ransparency task. The Korean students guessed the meanings of social word AAC symbols more correctly than the American students in Ewha-AAC symbol compared to PCS™. The correlation in the rank of social word AAC symbols from the transparency tas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cultural groups was significant.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between cultural groups and symbol types on the translucency task. The Korean students gave higher scores on the rating scale to Ewha-AAC symbol, while the American students gave higher points to PCS™. The correlation in the rank of social word AAC symbols from the translucency task performance between the two cultural groups was significant. Third, there were moderate and positive correlations in the rank of social word AAC symbols between the transparency task performance and the translucency task performance in each cultural group and among the total participa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ultural background of words, symbols, and communication partners can b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recognition of graphic symbols. In addition, th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performances of the two types of iconicity tasks suggest that transparency and translucency of graphic symbols may affect the symbol recognition. Moreover, the results suggest to consider the degree of transparency and translucency of graphic symbols when selecting symbols for AAC.;말-언어 능력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고,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완·대체 의사소통 (AAC)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AAC의 구성요소 중 한 가지인 상징은 언어의 단어나 문장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징을 통해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AAC 사용자와 의사소통 상대자가 상징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중요하다. AAC 상징 인식에 있어서 도상성 (iconicity)은 필수적인 요인이다. 높은 도상성을 가진 상징은 한 개인이 상징을 보다 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도상성 외에도 나이, 언어 지식, 상징에 대한 경험, 문화적 배경 등 다양한 요인들이 상징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AAC 사용자와 의사소통 상대자의 효율적이고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위해서 상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폭넓은 고려가 요구된다. AAC를 통한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적절한 어휘를 제공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AAC 도구를 위한 어휘를 선정할 때, 어휘의 종류는 의사소통 상황, 맥락, 상대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반면 사회어의 경우 이러한 요인들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으며, 이른 나이에 발달하여 연령, 언어, 장애 유무에 관계없이 다수의 사람들이 핵심 단어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어의 성격과 AAC 상징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과 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AAC 사회어 그림 상징 인식에 도상성과 문화적 배경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48명의 대학생 (한국인 24명, 미국인 24명)이 참여하였다. 10개의 사회어를 나타내는 20개의 그림 상징들은 Picture Communication Symbols (PCS™) (Mayer-Johnson, 2012)와 지식경제부 지원의 국민편익증진 기술개발사업 (Quality of Life Technology: QoLT)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이화-AAC 상징에서 각각 10개씩 선정하였다. 선정된 그림 상징들은 PowerPoint 화면을 통해 참가자들에게 제시되었다. 투명성 과제 (transparency task)에서는 한 상징 당 30초의 시간을 제공하였으며, 참가자들에게 각 상징의 의미를 적도록 하였다. 투명성 과제 후에 실시하게 되는 반투명성 과제 (translucency task)에서는 한 상징 당 20초의 시간을 제공하였으며, 참가자들에게 각 상징과 그에 해당하는 의미가 적절한지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5점 척도에 평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투명성 과제에 대한 참가자들의 총 정반응 수에서 상징 유형 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과 상징 유형에 대한 이원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한국 대학생들은 이화-AAC 상징에서 더 많은 정반응을 보인 반면, 미국 대학생들은 PCS™ 상징에서 한국 대학생들보다 더 많은 정반응을 보였다. 또한 집단 간 정반응 수의 합에 따른 개별 상징 서열에 대한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반투명성 과제에 대한 참가자들의 평정 점수 합에서 상징 유형 간,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집단과 상징 유형에 대한 이원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한국 대학생들은 이화-AAC 상징에 더 높은 평정 점수를 부여한 반면, 미국 대학생들은 PCS™ 상징에 한국 대학생들보다 더 높은 평정 점수를 부여하였다. 또한 집단 간 평정 점수의 합에 따른 개별 상징 서열에 대한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투명성 과제에서 정반응 수의 합과 반투명성 과제에서 평정 점수의 합에 따른 개별 상징의 서열에 대한 상관관계는 한국인 집단, 미국인 집단, 그리고 전체 참가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동일한 단어를 표현하는 AAC 상징이라 하더라도, 단어, 상징, 의사소통 상대자의 문화적 특성이 AAC 사회어 그림 상징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두 종류의 도상성 과제 간 수행 결과에 따른 개별 상징 서열에 대한 정적 상관관계는 그림 상징의 투명성과 반투명성이 AAC 상징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AAC 상징 선정 시 그림 상징의 투명성과 반투명성 정도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