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8 Download: 0

강신재 소설의 여성공간 연구

Title
강신재 소설의 여성공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omen space in Kang Shin-jae's novels
Authors
김미래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현
Abstract
본 연구는 강신재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들의 다양한 양상과 행위를 바탕으로 강신재 소설의 공간이 띠고 있는 의미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간 강신재 연구사에서 공간은 단편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지거나, 여성의 행위주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탈출해야만 하는 억압적 측면에 한정되어 조명되어 왔다. 그러나 강신재 소설의 연구사를 관통하는 주제가 ‘여성성’이었듯, 이 ‘여성성’을 전제로 여성의 입장에서 공간의 의미를 긍정적/부정적이라는 이분법적 도식으로 규명해왔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여성성’이 본질적인 범주가 아닌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유동적인 과정이자 수행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강신재 소설의 여성공간은 본질적인 ‘여성성’이 아닌 ‘여성인물들’의 다양한 젠더 실천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성을 획득할 수 있다. 문화지리학적인 관점에서 공간은 다양한 사회문화적인 맥락의 상호교차를 통해 끊임없이 유동하는 역동성을 지니며, 장소 또한 공간의 특정한 형태로서 상이한 사회적 정체성들이 각축하고 횡단함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와 같은 관점을 견지했을 때 공간연구는 사회에 작동하는 다양한 권력과, 그러한 권력이 포섭과 배제의 방식으로 장소에 특정한 정체성을 부여하는 방식을 파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권력이 분열하는 지점을 파악하여 그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을 사유함에 따라 공간과 장소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정치성 또한 포함한다. 페미니스트 지리학은 이러한 비판문화지리학의 한 갈래로서 여성의 공간을 구획하고 질서화하는 젠더 담론과 권력을 추적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정치적인 전략을 제안하는 학문이다. 17세기 이후 데카르트의 이성중심사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정신과 몸의 이분법에 따라 근대적 이성과 전근대적 자연으로 치환된 ‘남성성’과 ‘여성성’은 공/사 이분법으로 이행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페미니즘 사유를 바탕으로 한 지리학을 통하여 강신재 소설의 공간 독해를 시도한다. 여성을 몸, 가정, 국가 장소에 귀속시키는 권력을 우선적으로 파악하고, 그 장소 내부에서 여성인물이 다양한 전략적 행위를 통해 공간·장소화된 권력 자체를 해체시키는 방식을 사유하여 젠더와 공간 간의 새로운 관계를 사유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몸’ 장소에 집중하여 젠더화된 응시가 여성의 몸을 경관화, 규범화하는 과정과 여성이 섹슈얼리티를 수행함에 따라 몸이라는 장소가 주체성을 기반으로 한 체현적 장소로 변화하는 과정을 살핀다. 여성인물들은 젠더화된 응시에 의해 근대의 가부장적 규범에 어울리는 몸으로 훈육받고, 교육되며, 규범화된다. 그러나 몸 또한 사회문화적 권력과 담론을 통해 구성되는 하나의 장소이기 때문에 몸을 둘러싼 권력과 지리 또한 본질적이고 자연적일 수 없다. 이에 강신재는 여성의 육체를 규범화하는 젠더 권력과 담론의 허위성을 고발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몸의 경계를 이탈하고 위반함에 따라 고정적이고 수동적으로 규범화된 육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다양한 ‘몸들’의 등장은 여성을 규범화하는 젠더 권력의 유효성을 더욱 상실하게 한다. 근대 가부장적 젠더 규범과 규율은 여성의 몸이라는 장소 에서 섹슈얼리티, 정체성, 욕망 등과 경합하며 몸의 경계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데 일조한다. 이에 여성의 몸은 영속적으로 수동적인 경관이 되거나, 전근대적 자연을 의미할 수 없게 된다. 몸이라는 장소는 단순한 사적 영역이 아니라, 외부 영역과의 경계 협상의 그 자체로서 가장 작은 개인의 지리이면서도 외부로 무한히 확장될 수 있는 긍정성을 내포하고 있다. Ⅲ장은 ‘가정’ 장소를 조명한다. 가정은 근대 산업화 이후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결합에 의해 젠더화된 대표적인 장소로서, 위험한 자본주의 경제와 대립을 이루도록 구축된 여성성, 모성성, 가정성 등을 부여받아 왔다. 강신재 소설 내 여성인물들은 자신의 예술적인 욕망과 충돌하는 가정성을 내보임에 따라 가정이라는 장소가 이러한 젠더 규범과 위계질서에 의해 여성에게 강제된 것임을 드러낸다. 그러나 가정 내부에 여성들의 욕망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 자체는 가정이라는 장소가 자본주의 영역과 분리된 안전한 사적 장소일 수만은 없음을 암시한다. 가정은 여성의 행위에 따라 내부에서부터 균열이 가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렇기에 가정 내부에 더욱 주목한다면 가정이 표상하는 정체성이 변화할 수 있는 지점을 파악할 수 있다. 가정 외부의 시선은 가정을 획일화하여 여성성과 가정성을 일치시키지만, 여성성은 역으로 자신에게 부여된 가정성을 전유함에 따라 가정의 젠더 규범성을 해체할 수 있다. 가정 내부에서 다양한 위치를 점하는 여성인물들은 공적/사적, 일터/노동, 남성/여성, 긍정/부정, 능동/수동과 같은 이분법으로는 표현되지 않는 다양한 차이를 지닌 가정의 모습을 그려낸다. 즉, 획일화된 가정성을 거부하고 젠더와 공간의 이분법을 해체함에 따라 가정을 다양한 가치를 내포할 수 있는, 유동적이고 가변적인 장소로서 재탄생시키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국가’ 장소에 집중한다. 전후 한국사회는 국가재건의 수행에 있어 여성의 성을 통제하기 위해 여성에게 강력한 젠더 규범을 부여해 여성을 민족적/비민족적 여성으로 위계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즉, 민족주의는 젠더 규범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작동하면서 민족의 경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민족의 경계가 설정되었기 때문에 민족 장소는 남성이 전유하는 정치적인 공적 영역일 수만은 없다. 강신재는 전후 여성을 호명하는 민족적 파시즘과 그로 인한 여성인물들의 고난을 그려내며 여성성을 동원한 민족주의가 폭력적 이데올로기로 작동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국가가 제안하는 민족의 자리에 여성의 자리는 존재하지 않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여성들의 재현은 공적 영역으로 사유되었던 무성적, 혹은 남성적인 민족의 장소에 여성의 경험을 복귀시켜 민족사를 쓰는 여성주체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에 강신재는 ‘민족성’과 ‘비민족성’을 재현함에 따라 민족의 장소를 오가는 여성인물들을 그려낸다. 이러한 여성인물들의 횡단적인 행위와 다양한 정체성을 구성하는 방식은 여성을 위계화하는 민족 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민족이라는 범주가 민족국가와 별개인 이데올로기로서 작동한다는 것을 증명하듯, 여성인물들은 민족성과 비민족성을 구성하여 민족의 경계를 오가며 민족국가가 시도하는 포괄적이고도 절대적인 민족성이 실현되는 것에 저항하고 국가 장소를 다양한 가치가 존재할 수 있는 혼종적인 장소로 재탄생시킨다. 강신재가 그려내는 다양한 여성들의 존재는 여성을 자연적으로, 가정적으로, 민족적으로 단일화하려는 젠더 규범에 도전한다. ‘여성성’이라는 범주에 통합되지 않아도 다양한 위치를 점하고 모순적인 정체성을 구성함에 따라 장소를 변화시키는 여성인물들은 그만큼이나 긍정적인 유동성과 정치성을 지닌 존재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젠더 권력과 담론이 구성한 공간의 총체성과 포괄성에 균열을 내며 생성된 강신재 소설의 여성공간은 역설적이고, 혼종적이며, 이질적이다. 단일화와 규범화를 거부하고 다양한 가치를 허용하는 강신재 소설의 여성공간의 의의는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woman space in Kang Shin-jae novels as focussing women character’s aspect and action. Meanwhile, in study of Kang Shin-jae, space was discussed by opperssive area that have to escaped in order to emphasize the subjectivity of women’s behavior. Kang Shin-jae novel’s space study based on essential ‘femininity’ can be pointed out. However, Kang Shin-jae novel’s women space gets mobility through women character’s various gender practice, When considering ‘femininity’ is not an essential category but socially constructed flexible process and perfomance. ‘Space’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geography has dynamicity as a social field by interaction of sociocultural context, ‘Place’ is also, as a particular form of space, constantly changing by different social identities are competing and crossing. Therefore, There are possible space study can be grasp various power in society and the way that power assigns specific identity by inclusion and exclusion. Further, It has a politcs that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pace and place by considering the effective strategies through understanding the point of power is divided. Feminist geography, as one of these critical cultural geography, tracks the gender discourse and power which compart and stratify the women of space, and proposes political strategy to counteract that. 17 century, has been modern reason and before modern natural replacement based on the dichotomy of done the spirit body on the basis of the isomeric centers grounds of Descartes as a "man," and "feminine", the public/private It has been migrated to the dichotomy.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try to space reading of Kang Shin-jae novel through the geography that was based on the reason of feminism. Women body, home, the force to be attributed to the state of the place to grasp on a priority basis, internal female person by a variety of strategic actions of the place through a scheme to dismantle the space and place of been power itself gender try again wh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In the second chapter, analysis process how the gendered gaze produce women body is landscaped, disciplined, educated. However, power and geography surrounding the body can’t be essential and natural because the body is also the place made up with socio-cultural power and discourse. for that reason, Kang Shin-jae shows the possiblity that changing the fixed appearance of various ‘bodies’ of woman characters make losing even more the effectiveness of the gender power to discipline women. gender norms and discipline of modern patriarchy contribute to destabilizing the border of body over competing various desire, sexuality, indentity. Through this process, Female body can’t be a passive landscape or pre-modern nature permanently. In third chapter, illuminates ‘home’ place. ‘Home’ place was given structuring ‘femininity’, ‘motherhood’, ‘domesticity’ value as opposed to a dangerous capitalist economy. The woman characters of Knag Shin-jae’s novel revealing Women had been copelled to be given home place by gender discipline and order of rank through showing a conflict between artistic desire and domesticity. At the same time, the fact that desire of women can be exist meanning the home is can’t be a safe private place. It shows the home place has possibility that caused craks from the inside through act of women. so, if more attention inside of home and can understanding the point that home place indentity can be changed. the gaze of outside of home matches the femininity and domesticity with unifying the home place, but women break up gender normativity of home place through appropriate given domesticity inversely. Woman characters in multiple location in the home place have drawn various difference of home that can’t be expressed in dichotomy: public/private, workplace/home, male/female, positive/negative, active/passive. that is making the home place change to flexible and variable place which has various values thorough refusing domesticity and breaking up the dichotomy of place. Forth chapter discusses ‘nation’ place. After the war, South Korea had stratified women into ethnic/non-ethnic women making use of gender dispicline while nation reconstruction in order to control the woman’s sexuality. Namely, border of ethnicity is made with nationalism works through gender norms. Kang Shin-jae’s novel raises Nationalism, mobilized the femininity functioned as violent ideology to women through showing suffered women were called by Nationalism. Exposing there are no position in the space of ethnie has proposed. Reproduction of these women claims the need for women to write the subject of national history by returning women’s experiences into the place of ethnie that was considered masculine place as public territory. for the reason, Kang Shin-jae have shown women characters crossing border to place of ethnie with reproduction ethnic/non-ethnic identities at the same time. These Character’s crossing actions, the way of constructing various identities has shown break up the ideology of nationalism had stratified women. As nationalism is an ideology separating from national state, Kang Shin-jae novel’s women character can across border of national place with reproducting ethnic/non-ethnic identities. therefore, the women character resist realizing comprehensive and absolute what nationalism wants, and change over the place of nation to hybrid place that can be present within a variety of values.) The presence of various women who featured in the novel of Kang Shin-jae is challenging the gender norm that try to make women as natural, domestic, ethnic. The Women character chaging the place by getting various position and constructing contradictory identities has positive mobility and politics. Through this process, the newly created women space of Kang Shin-jae novel is paradoxical, hybrid, different. It can be significance of the women space of Kang Shin-Jae no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