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開港後 蠶業振興政策의 一硏究(1876∼1905)

Title
開港後 蠶業振興政策의 一硏究(1876∼1905)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riculture Development Policy after the Opening to Foreign Trade(1876-1905)
Authors
金英姬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Keywords
개항잠업진흥법대한제국시기역사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태
Abstract
開港後 朝鮮의 대외무역관계가 외압의 성격과 관련하여 「米·綿交易型」으로 특징되고 있었음으로, 淸·日 商人에 의한 英國制 섬유제품의 중개무역으로 인한 국내 綿織物 生産의 파괴적 작용과 米穀의 濫出에 대해서는 일찌기 學會에서 주목되어 많은 연구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絹織物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에 비해 별로 연구가 없는 실정인 것 같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開港後 淸·日商人에 의한 絹織物의 국내 침투와 그에 대한 주체적 대응에 주목하여 朝鮮政府의 蠶業振興政策과 민간지식인들의 蠶業에 관한 새로운 인식을 近代化 문제와 관련시켜 실증적으로 논증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蠶業은 일찌기 天惠의 조건을 이용할 수 있는 유망직종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었고, 開港以後 淸·日絹織物의 국내침투와 관련하여 정부와 지식인 사이에서 그 대응책이 활발히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는 1884년 「蠶桑公司」를 설치하여 蠶業振興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고자 하였으며, 이와함께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보급이 이루어졌다. 한편 토지의 개간과 관련하여 일부 지식인들과 더불어 정부에서는 農桑會社를 설립하여 蠶業등의 생산성 향상과 서구 농상기술의 도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蠶桑公司」와 農桑會社의 설립은 재정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그 성과가 채 나타나기도 전에 폐쇄되었다. 그러나 대한제국시기에 이르러 새로운 단계의 蠶業振興政策推進에 일정한 기반을 조성한 것이다. 대한제국시기의 蠶業振興政策의 일환으로 「蠶業課」가 農商工部內에 설치되면서 행정기관으로서 뿐만 아니라 기술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蠶業課」內에는 「蠶業試驗場」 및 「人工養蠶傳習所」가 설치되어 새로운 養蠶技術을 보급하게 되었으며, 이들 전습소에서 소정의 교육을 이수한 사람들은 기술요원으로서 관직에 임병되거나 지방에 내려가 蠶業振興을 위해 활동하였다. 蠶業의 지역적인 확대는 「大韓帝國 人工養蠶 合資會社」로 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 각 지방에 않은 蠶業傳習所와 蠶業會社들이 설립되었다. 한편 운영에 있어서도 「蠶業課」의 관리와 전습소 출신들이 지방의 유지 및 資産家와 협조체제가 이루어지므로써 진전되어 나갔다. 이에 힘입어 각 지방에서는 새로이 養蠶을 시작하는 지역이 확대되어 나갔다. 대표적인 지역으로는 서울을 비롯하여 마산, 목포, 인천 및 평안도의 평양, 강원도의 철원, 경상도의 안동, 상주, 전라도의 광주, 남원, 나주, 綾州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지역은 일찍부터 養蠶에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품종의 桑樹와 蠶種을 도입하여 栽培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의 蠶業振興政策은 정부의 정책수립에 있어서 일관성의 결여와 재정의 궁핍으로 蠶業機關의 운영에 문제점과 한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蠶業振興政策은 정부와 지식인들이 협력하여 산업진흥정책의 일환으로서 주체적으로 추진시켰다. 나아가 近代的 蠶業의 생산형태와 새로운 蠶業技術이 각 지역으로 확대, 보급되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가 자못 돋보이는 것이다.;After the opening to foreign trade,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intellectuals began to promote the sericultural industry to cope with the inflow of foreign silk goods from China and Japen. The government organized "Jam Sang Corporation (蠶桑公司)" to develop the sericultural industry in 1884. For this purpose, a German expert, called A. Matertens, was engaged and new plant breeding and new sericultural methods were introduced. And the government established "Kyo Ha Nong Sang Company"(交河農桑會社) and "Kyung Sung Nong Sang Company"(京城農桑會社). The main purpose of this company was in enhancement of productivity and introduction of Western agricultural methods. The roles of two companies came to nothing without any remarkable results because of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nevertheless, they had a great influence in the sericulture development facing a new phase during the Great Korean Empire period (大韓帝國時期). As "the Department of Sericulture" (蠶業課) was established 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Commence and Industry"(農商工部) at that time, it palyed a role of an administrative organ as well as educational center. The Department consisted of "the Sericultural Experiment Station"(蠶業試驗場) and "the Education Center of Artificial Sericulture" (人工養蠶傳習所) which were developing new methods of sericulture and introduced Various Kinde of mulberries and silkworms. Some experts graduated from those courses entered government service, and others experted their efforts to develope a sericultural industry in the prevince. At that tims "the Artificial Sericulture Corporation of the Great Korean Empire"(大韓帝國人工養蠶合資會社) was established in Seoul; many education center of sericulture and sericulture company were established in the previnces. The sericulture experts, working in official services or provincial companies, coperated with local capitalists to operate the companies. Owing to this help of the government and the intellectuals, some sericultural regions came into being in each province. The typical areas were Masan, Mokpo, Incheon, and Seoul, in which there had been some sericultural education centers; and pyongyang, Chelowon, Andong, Sanju, Kwangju, Namwon, Neongju as ever. New mulberries and newly-bred silkworms were brought in and spread out in those, regious in which early interested in growing silkworms. The poor finance, however, gave a variety of troubles to the sericulture promotion policy by government and the intellectuals in the process of its administration. The incoherence in performance of the policy was basically caused by lack of finance, so that this policy had been rearranged,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by the soil preparation work since the Residency - General was set up. From the opening ports until the establishment of the Residency - General, a series of development policies were leaded mainly by the government and the intellectuals to cope with the reckless inflow of Chinese and Japanese silk goods, and they had a great effect on the enlargement of sericultural regions. On the other ha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advanced skills enabled us to build modern sericulture indust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