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79 Download: 0

그룹 언어치료를 통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학령기 아동의 기본정서어휘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그룹 언어치료를 통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학령기 아동의 기본정서어휘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ocial Story Based Group Language Treatment on Basic Emotional Vocabulary Comprehension of School-ag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uthors
이희용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The major characteristic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s a deficiency in social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It is known that the difficulty of these social capabilities negatively affects emotional development, an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ave difficulties in sharing emotions with peers and keeping positive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a social story based group language treatment to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nvestigated if there were changes in vocabulary comprehension included in four basic emotions(‘pleasure-happiness’, ‘fear’, ‘sadness’, and ‘anger’). This study targeted f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ged 7 to 8.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consisted of descriptive sentences, perspective sentences and directive sentences about the theme, which the children experienced commonly in daily life, and five pictures were presented for each situation. Also, a role play was conducted to express thoughts and feelings of characters using the social stories that they learned. Total ten sessions of intervention were applied for 50 minutes, twice a week at the group language treatment room of a children's hospital. Task performance was measured in the pre-test phase, post-test phase and maintenance phase,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whether the change in basic emotional vocabulary comprehension in each phase was significant.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asic emotional vocabulary comprehension in the pre-post tes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maintenance phase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This result implies that although it was hard to maintain the changed intervention effect, social story based group language trea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basic emotional vocabulary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인간의 의사소통은 화자와 청자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며, 발화가 이루어지는 복잡하고 총체적인 사회적 상황의 산물이다. 따라서 인간의 본질을 이루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로 의사소통을 꼽을 수 있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속한 사회의 구성원들과 적절한 양식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상황에서 유발되는 정서를 파악하여 적절히 상호작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정서발달은 인간이 성장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타인과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경험하면서 인간은 다양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사회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함을 지니는데(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Schopler, & Mesibov, 1986), 사회적 능력은 인지능력과 더불어 내적 상태를 표현하는 어휘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심리적 상태에 대한 어휘 사용 빈도가 낮고 그 유형 또한 단순하다고 알려져 있다(Baron-Cohen, Leslie & Frith, 1986).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정서이해 어려움은 사회적 자극에 대한 무관심(Lee & Odom, 1996; Olley, Robbins, & Morelli-Robbins, 1993), 눈맞춤 및 공동주의 결함과 관련이 있다(Chatman, Swettenham, Baron-Cohen, Cox, Baired, & Drew, 1997; Sigman & Ruskin, 1999; 윤선아, 2007).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타인과 관심을 거의 공유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눈맞춤, 얼굴 표정, 제스처와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는데, 이러한 결함이 사회적 모방이나 상징놀이와 연계되어 학령기 이전의 정서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Baron-Cohen, 1993). 따라서 대부분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또래와 감정을 공유하여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고(APA, 2013; Bellini et al., 2007; Stone & La Greca, 1986),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이들의 사회적 결함을 중재하는 측면에서 정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최근에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이 실제 생활하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결함을 자연스럽게 변화시키려는 중재가 널리 시행되고 있다. 사회인지적 맥락의 상황이야기 중재는 개별 아동의 사회적 상황에 적합한 이야기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중재방법이다(Gray & Garand, 1993; 최혜승, 박진영, 2014). 즉, 상황이야기는 특정한 상황에 직면한 사람들의 느낌과 행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황의 흐름을 설명하며, 사회적 단서를 파악하여 그 상황에 적절한 행동이나 말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대본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Benish & Bramlett, 2011),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이러한 중재를 통하여 등장인물의 마음을 이해하고 상황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상황이야기 중재는 이야기만을 읽어주기 보다는 실제적인 상황과 관련된 활동을 함께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선행 연구(박현옥, 2004)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역할극을 첨가하여 그룹 언어치료의 형태로 진행하였다. 그룹 치료는 그 과정에서 타인과 상호작용을 연습하게 함으로써 대상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McNevin et al., 2000), 타인의 과제 수행을 관찰하도록 유도하여 경쟁적  협력적 측면의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이에 대상아동들은 수동적인 학습자가 아니라,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역할극은 실생활에서 경험했거나 경험하지 못한 역할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여 경험을 구체화시켜주는 것인데, 이는 아동이 실제로 역할을 경험할 때 각 상황에 적절한 역할과 행동이 무엇인지 정의내리는 것을 도울 수 있다(Shaftel & Shaftel, 1982).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은 역할극 활동을 하면서 상황이야기에서 학습한 정서어휘와 연결된 대화를 시도해보고, 그 때 유발되는 기분을 표정과 말투로 표현하도록 촉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의 어린이병원에서 언어발달평가를 받은 만 7-8세의 자폐범주성장애 학령기 아동 4명이다. 연구는 관찰 및 자료제작, 예비실험, 사전 검사, 중재, 사후 검사, 유지 평가의 순서대로 진행하였다. 중재를 시작하기 전에 기초검사와 관찰 과정을 거쳐 상황이야기 자료를 제작하였고, 생활연령이 동일한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1명을 대상으로 예비실험을 실시하여 상황이야기 및 평가 도구의 어휘  구문 적합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한 회기 당 50분씩 총 10회기에 걸친 중재를 진행한 후 동일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중재는 동기 유발, 기본정서의 일반적 개념 지도, 그림 설명과 읽기활동, 등장인물의 기본정서 확인, 역할극 순으로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상황이야기마다 전체 기본정서(‘기쁨-행복’, ‘공포’, ‘슬픔’, ‘분노’) 중 3가지 이상의 정서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사전-사후, 유지 단계에서 실시한 기본정서어휘 이해력 검사는 중재 목표와 동일한 기본정서어휘 12개를 포함하여 자기 및 타인의 기본정서이해 12문항씩, 총 24문항으로 제작하였다. 또한 중재 후 기본정서어휘 이해의 단계별 변화가 유의미한지 분석하고자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nged-Ranks Test)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사 결과, 자폐범주성장애 학령기 아동의 기본정서어휘 이해력은 사전-사후에 대한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화, 읽기교과서와 같이 상황과 연계된 중재를 적용하여 기본정서이해가 향상되었다는 기존 연구와 유사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최신주, 2003; 이귀연, 2009). 그러나 기본정서어휘 이해력을 자기 및 타인으로 구분하였을 때는 사전-사후에 대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고, 중재 종료 2주후 측정한 유지 평가에서도 그 효과가 지속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본정서에 포함시킨 어휘수가 12개로 다양한데 비하여 이를 학습하기에는 10회기라는 중재 기간이 다소 짧았던 점을 이유로 들 수 있다. 이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2명을 대상으로 5개의 정서어휘를 각각 13회기와 11회기에 걸쳐 중재한 후 대상아동들의 기본 감정 이해가 향상되었고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고 밝힌 기존 연구(송인혜, 2010)를 바탕으로 추측하였다. 기본정서별 이해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아동들은 기본정서 중 ‘기쁨-행복’을 가장 잘 이해하였고, ‘공포’, ‘슬픔’, ‘분노’의 정서이해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이 일반적으로 ‘기쁨’과 관련된 긍정적 어휘나 긍정적 기본정서에 대해서는 사전에 많은 부분들을 습득하고 있다는 기존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박현옥  이소현, 2002).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학령기 아동 4명에게 그룹 언어치료를 통한 상황이야기 중재와 역할극을 실시하여 기본정서어휘 이해력이 향상되었다는 긍정적 중재 효과를 입증하였다. 비록 중재 효과가 유지되지는 않았으나, 대상아동들은 또래와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하여 즐거움을 표현하였고, 또래 모델링과 피드백을 통하여 말투와 표정 같은 비언어적 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자폐범주성장애 학령기 아동을 위한 정서이해 중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