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경숙-
dc.contributor.author조혜경-
dc.creator조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3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5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37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대학 캠퍼스의 자연 환경을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대학 캠퍼스를 환경생태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개발한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유아의 환경 감수성과 자연 친화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유아의 나무 그림을 분석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셋째,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 친화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서울 서대문구에 소재하는 S유치원의 만 4세 유아 22명을 대상으로 주 1회 6주, 주 2회 1주, 7주 동안 총 8회에 걸쳐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환경 감수성 검사와 자연 친화적인 태도 검사 그리고 나무 그림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은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대학 캠퍼스의 자연 환경을 직접 체험하면서 유아의 환경 감수성과 자연 친화적 태도를 증진하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대학 캠퍼스를 환경 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둘째,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유아의 환경 감수성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유아의 나무 그림에서 나타난 다양한 채색과 소요시간의 변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은 유아의 환경 감수성에 향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을 증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셋째,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유아의 자연 친화적 태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유아의 나무 그림에서 나타난 꽃, 곤충, 새와 같은 자연 요소를 포함하는 것은 유아의 자연 친화적 태도 향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연 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은 만 4세 유아의 환경 감수성과 자연 친화적 태도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의 교육현장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며, 기존에 이루어졌던 숲을 활용한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프로그램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또한 대학 캠퍼스를 유아 환경생태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과 주변 유아교육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대학 캠퍼스의 일부를 숲활동 공간으로 조성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일정한 기간 동안에 형성된 환경 감수성과 자연 친화적 태도는 지속성을 가질 수 없고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짧은 기간으로 장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서울시 서대문구 위치한 E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연구가 실행되었으므로 도심에 위치한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측정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at college campus can be used for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arly childhood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considerations for natural environment of college campus.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early childhood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utilizing college campus (ECEEEUCC) program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its effects on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nature-friendliness, and tree drawings. The research problems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the ECEEEUCC program is developed. Second, the effect of the ECEEEUCC program on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is analyzed. Third, the effect of the ECEEEUCC program on children’s nature-friendliness is analyzed. In this study, 22 four-year old children in the S kindergarten located in Seodaemun-gu in Seoul were provided with the ECEEEUCC program for eight weeks including six weekly sessions and two sessions a week.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environment sensitivity test, the nature-friendliness test, and the tree drawing test were administe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EEEUCC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s. The objective and goal of the program is to increase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nature-friendliness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natural environment of college campus, and ultimately demonstrate the utility of college campus as a setting for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the change in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scores after implementing the ECEEEUCC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a wide range of colors in children’s tree drawings, changes in time spent, and detailed and realistic expressions are suggested to result from the improvement in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us, this demonstrates that the ECEEEUCC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increasi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ird, the change in children’s nature-friendliness after implementing the ECEEEUCC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natural elements such as flowers, insects, and birds in children’s tree drawings was suggested to result from the improvement in children’s nature-friendliness. Thus, this demonstrates that the ECEEEUCC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in increasing children’s nature-friendliness. In conclusion, the ECEEEUCC program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increas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nature-friendliness in four-year old children. This indicates the applicability of the ECEEEUCC program for educational settings, and demonstrates its value as a program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forest. In addition, this indicates that college campus can be used for early childhood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research to create a part of college campus as a setting for forest activity through the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nearby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valuate educational effects of implementing various programs is needed. Second, a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nature-friendliness formed in a specific period of time do not sustain and the time frame is too short to influence attitude change, further research to implement long-term educational program and evaluate program effect is needed. Third, as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ampus of E university located in Seodaemun-gu in Seoul, further research to develop and implement an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college campus located in the downtown area and measure its effect i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3 C.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A. 유아 환경생태교육 5 B. 환경 감수성 10 C. 자연 친화적인 태도 16 D. 환경 교육의 장 21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31 A. 연구 대상 32 B. 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35 C. 연구 도구 39 D. 연구 절차 4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52 A.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52 B. 유아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54 C. 유아의 자연 친화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 59 D. 논의 67 Ⅴ. 결론 및 제언 73 참고문헌 75 부록 1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의서 81 부록 2 유아 환경 감수성 검사 도구 83 부록 3 유아 자연 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 84 부록 4 유아 자연 친화적 검사도구 인터뷰 질문지 88 부록 5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활동 지도안 91 부록 6 사전 – 사후 나무 그림 검사 107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1431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대학 캠퍼스를 활용한 유아 환경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and Effects of Early Childhood Ecology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College Campus-
dc.creator.othernameCho, Hye kyung-
dc.format.pagevi, 114 p.-
dc.contributor.examiner박석순-
dc.contributor.examiner여성희-
dc.contributor.examiner조경숙-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환경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환경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