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박예지-
dc.creator박예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8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4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832-
dc.description.abstractTraditionally, the reading difficulty among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has been known as arising from damage of word recognition or lack of general linguistic ability, and these criteria have been bases to determine whether a child has reading disabilities or not. However, there has emerged a new view arguing that reading problem may be caused by damage of common cognitive ability and can be related with specific sub-categories of reading disabilities (word recognition, fluency, comprehension) depending on the defects of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shown by a child. Furthermore, concern with cognitive processing ability related with reading has led to view reading as a multiple process where explicit learning and implicit learning function interrelated. For this reason, this study sought to measure explicit learning ability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then compare them with those of normal children and finally to identify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groups. And, the study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processing abilities related with reading (alphabet knowledge, rapid automatized naming, phonological memory, syntax processing, understanding of hearing, vocabulary) and explicit/implicit learning ability by the group. At the same time, the study sought to identify variables predicting explicit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Children taking part in this study were 40 in total: 20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n the 3rd-4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20 normal children matched with the former group in terms of chronological age and gender from the same grades. Children of both groups were selected after undergoing K-WISC-Ⅲ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 Gwak Geum-ju et al., 2001) and Test of Reading Achievement & Reading Cognitive Processes Ability (RA-RCP, Kim Ae-hwa et al., 2014). Then, the study conducted the test of Artificial Grammar Learning (AGL) and measured explicit learning ability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of both groups. The task of AGL is a test to examine if regularity acquired while children learn learning stimulus implicitly suggested may be applied to learning stimulus newly suggested. AGL tasks used in this study comprised 'Perfect Free Recall(PFR)' to identify explicit learning ability and 'Grammaticality Judgment' to identify implicit learning ability. To compare explicit learning ability, the study conducted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after control of motional intelligence. While, to compare implicit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ype of items (grammaticality or not), the study conducted two-way mixed ANCOVA after control of motional intelligence. Along the way, the study measure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 examin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related with reading ability (alphabet knowledge, rapid automatized naming, phonological memory, syntax processing, understanding of hearing, vocabulary) and explicit/implicit learning ability. Lastly, the study conducted stepwise regression to measure the predicting level of explicit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of variables related with reading ability in each group.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licit learning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Explicit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licit learning ability. While all children of the two groups were equipped with implicit learning ability, that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However, difference in implicit learning ability depending on type of items (grammaticality or not) was not significant, and interaction among type of items and the groups was not significant either. Third, explicit learning ability of normal childre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phabet knowledge, phonological memory, syntax processing, vocabulary, whereas their implicit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syntax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on the part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explicit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phabet knowledge, and syntax processing, while their implicit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yntax processing and vocabulary. I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licit learning ability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Fourth, in the group of normal children, 'vocabulary, phonological memory, alphabet knowledge, syntax processing' were predictors of explicit learning ability, while syntax processing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implicit learn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lphabet knowledge and syntax processing' were predictors of explicit learning ability, and 'vocabulary and syntax process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implicit learning ability. Thes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normal children in terms of explicit learning ability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all. Particularly, the finding that implicit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rmal children supported the preposition that reading difficul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as related with damage of common cognitive function. The outcomes shown in the study's analysis of correlations and predictors may be instrumental in understanding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s well as the nature by each sub-category and eventually inventing cures for them. The finding that in the group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variables related with reading ability tha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xplicit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were distinct from those of normal children (for example, vocabulary) suggests that linguistic ability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does not follow the development pattern of normal children. Moreover, the finding that 'syntax processing' and 'knowledge', both of which belong to the domain of reading comprehension, wer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implicit learning ability among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may suggest that we should consider difficulty of children's implicit learning ability when we mediate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comprehension).; 읽기란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능력이며, 자라나면서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기술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읽기는 당연시되며, 타인과의 의사소통 및 전반적인 학습에서 필수적인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정상적인 읽기 발달을 거치는 아동은 낱말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낱말 재인’ 기술과 텍스트를 통해 의미를 이끌어내는 ‘읽기 이해’ 기술을 발달시키며 능숙한 독자로 나아가고, 큰 어려움을 경험하지 않고 읽기의 자동화 단계에 이르게 된다. 하지만, 정상적인 발달의 한 과정으로 여겨지며 모든 학습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읽기 능력이 누구에게나 당연하게 습득되는 것은 아니다. 지능과 기타 감각(시각, 청각)에 문제가 없으며 적절한 문해 교수를 받았는데도 불구하고 읽기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이 있으며, 이런 아동을 ‘읽기장애 아동’이라 지칭한다. 전통적으로 읽기장애 아동이 보이는 읽기의 어려움은 낱말 재인의 손상 혹은 전반적인 언어 능력의 결함으로 설명되어 왔으며, 이러한 기준으로 읽기장애의 여부가 결정되곤 했다. 하지만 읽기문제가 보편적인 인지능력의 손상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라는 주장이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제기되어 왔으며(변찬석, 2002; Fletcher et al., 1998; Stanovich, 1991; Torgesen, 2002; Watson & Willows, 1995), 아동이 보이는 인지처리능력의 결함에 따라 읽기장애의 특정한 하위유형과 관련지을 수 있다는 관점이 대두되었다(김애화 외, 2011; Fletcher et al., 2002; Torgesen, 2002). 게다가, 읽기의 인지처리능력에 대한 관심은 읽기를 명시적인 학습과 암묵적인 학습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으로 바라보도록 이끌었다. 특히 온전한 음운인식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읽기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의 사례가 보고되면서, 읽기의 기저에 관여하는 인지처리능력의 손상이 읽기 발달을 저해하며 따라서 읽기 능력은 명시적인 학습능력과 암묵적인 학습능력을 동시에 살펴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Nicolson & Fawcett, 1999; Vicari et al., 2003, 2005).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읽기장애 아동의 명시적인 학습능력과 암묵적인 학습능력을 측정하여 일반아동과 비교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각 집단별로 읽기 관련 인지처리능력과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이 어떠한 상관을 보이는지 살펴보고,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을 예측해줄 수 있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고, 각 집단별로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는 인지처리능력과 예측변인을 밝히는 것은 각 하위유형별 읽기장애의 특성을 이해하고 치료 방법을 고안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초등학교 3-4학년 읽기장애 아동 20명과, 생활연령 및 성별을 일치시킨 초등학교 3-4학년 일반 아동 20명으로, 총 40명이었다. 읽기장애 아동을 판별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 검사(K-WISC-Ⅲ, 곽금주 외, 2001) 중 동작성 지능 검사와 읽기 성취 및 읽기 인지처리 능력 검사(RA-RCP, 김애화 외, 2014)를 실시하여 단어인지 읽기장애, 읽기유창성 읽기장애, 읽기이해 읽기장애 중 하나 이상의 유형에 해당하는 아동을 선정하였고, 일반 아동에게도 기초검사도구를 똑같이 실시하여 어느 읽기장애 유형에도 해당되지 않는 아동을 선정하였다. 이후 인공 문법 학습(AGL) 과제를 실시하여 두 집단 아동의 명시적 학습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을 측정하였다. AGL 과제는 제시되는 자극을 암묵적으로 학습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규칙성을 새롭게 제시되는 자극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과제로, 다른 암묵적 학습 능력 과제(연속 반응 시간, 통계적 학습)에 비해 고차원적인 인지 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공 문법 학습 과제는 명시적 학습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완전 자유 회상(PFR)’ 과제와, 암묵적 학습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규칙성 판단’ 과제로 구성되었다. 명시적 학습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동작성 지능을 통제한 후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항목유형(규칙성, 비규칙성)에 따른 암묵적 학습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동작성 지능을 통제한 후 이원혼합 공분산분석(two-way mixed 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읽기 능력 관련 변인과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에서 읽기 능력 관련 변인의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의 예측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두 집단 간 명시적 학습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읽기장애 아동의 명시적 학습능력이 일반 아동의 명시적 학습능력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 간 암묵적 학습능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두 집단 아동 모두 암묵적 학습능력을 갖추었지만, 읽기장애 아동의 암묵적 학습능력이 일반 아동의 암묵적 학습능력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항목 유형(규칙성, 비규칙성)에 따른 암묵적 학습능력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항목 유형과 집단 간 상호작용도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각 집단별로 읽기 능력 관련 변인(자모지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음운기억, 통사처리, 듣기이해, 어휘)과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일반 아동은 명시적 학습능력에서 자모지식, 음운기억, 통사처리, 어휘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암묵적 학습능력에서 통사처리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읽기장애 아동은 명시적 학습능력에서 자모지식과 통사처리에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암묵적 학습능력에서 통사처리와 어휘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명시적 학습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각 집단별로 읽기 능력 관련 변인(자모지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음운기억, 통사처리, 듣기이해, 어휘) 중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을 예측해 줄 수 있는 변인을 살펴본 결과,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어휘, 음운기억, 자모지식, 통사처리가 명시적 학습능력을, 통사처리가 암묵적 학습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읽기장애 아동 집단에서는 자모지식과 통사처리가 명시적 학습능력을, 어휘와 통사처리가 암묵적 학습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명시적 학습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모두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읽기장애 아동의 명시적 학습능력의 손상은 읽기장애군의 기억 용량 결함을 밝혔던 선행연구 결과(Swanson & Jerman, 2007)와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학습 전략의 부재로 인한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읽기장애 아동의 암묵적 학습능력이 일반 아동의 암묵적 학습능력보다 유의하게 낮다는 것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며, 이로써 읽기장애 아동이 지니는 읽기의 어려움이 보편적인 인지 기능의 손상과도 연관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각 집단에서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던 읽기 능력 관련 변인은 동시에 각 학습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해주는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 아동 집단에서 나타난 ‘어휘와 명시적 학습능력’, ‘통사처리와 암묵적 학습능력’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Ullman(2004)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으로 정상적인 발달 과정에 있는 아동의 언어적 특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하지만 읽기장애 아동 집단에서는 통사처리와 암묵적 학습능력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던 반면, 어휘는 일반 아동과 달리 명시적 학습능력과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읽기장애 아동의 언어 능력 발달 패턴이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 발달 패턴에서 벗어나 다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상관관계와 예측 변인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는 읽기장애의 하위유형별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읽기장애 아동의 암묵적 학습능력이 ‘읽기이해 읽기장애’의 인지처리능력인 통사처리 및 어휘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는 점은 ‘읽기이해 읽기장애’ 아동을 치료할 때 낮은 암묵적인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치료법을 고안해야 함을 의미하며, 통사처리와 어휘 능력을 발달시킴에 따라 암묵적 학습능력의 증대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명시적인 학습능력과 암묵적인 학습능력 사이에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는 점은 두 학습능력이 독립적인 토대에서 성취되는 능력인 것으로 짐작할 수 있지만 이와 관련해서는 후속연구가 더 진행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용어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읽기장애의 유형과 읽기성취에 관여하는 인지처리능력 9 B. 읽기장애 군의 명시적 학습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15 C. 암묵적 학습능력과 읽기 능력 관련 변인 20 Ⅲ. 연구방법 22 A. 연구대상 22 B. 연구과제 26 C. 연구절차 34 D. 자료분석 39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40 Ⅳ. 연구결과 41 A.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명시적 학습능력 41 B. 읽기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암묵적 학습능력 43 C. 각 집단별 읽기능력 관련 변인과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간의 상관관계 46 D. 각 집단별 읽기 능력 관련 변인의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 예측 정도 48 Ⅴ. 결론 및 논의 50 A. 집단 간 명시적 학습능력 비교 52 B. 집단 간 암묵적 학습능력 비교 54 C. 각 집단별 읽기능력 관련 변인과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간의 상관관계 56 D.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60 참고문헌 61 부록1. 완전 자유 회상(PFR) - 규칙 항목 카드 69 부록2. 규칙성 판단 - 규칙 항목 카드와 비규칙 항목 카드 70 부록3. 예비실험 결과 71 부록4. 각 집단별 인공 문법 학습 과제의 규칙 유무 인식에 따른 암묵적 학습능력의 차이 72 부록5. 인공 문법 학습 과제 기록지 예시 73 부록6. 항목유형 간 두 집단의 암묵적 학습능력 비교 74 부록7. 읽기의 하위영역과 명시적 학습능력 및 암묵적 학습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75 ABSTRACT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28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인공 문법 학습(AGL) 과제를 통한 읽기장애 아동의 명시적 학습능력과 암묵적 학습능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xplicit and Implicit Learning Abilit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Seen through the Task of Artificial Grammar Learning-
dc.creator.othernamePark, Ye Ji-
dc.format.pageviii, 79 p.-
dc.contributor.examiner심현섭-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