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태-
dc.contributor.author정민경-
dc.creator정민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6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4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68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vention efficiency of Smart Media(humanoid robot vs. PC) through Lexical representation of emotions(total number of words, Lexical diversity) for High function autism via story program intervention. Participants were 14 school-age children aged from 6;0 to 12;11 composed of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They divided into the robot intervention group and PC intervention group according to gender, age, IQ. The two groups received pre-test. The pre-test was story retelling tasks were 'The mole & TV' and 'The mole & gardener' Story(Lee, 2013). All children listened to the story from robot or PC. The child was instructed to listen to the story and to retell the story. And then the retelling data analyzed for the number of emotional words and the diversity of emotional words. After pre-test, the two groups received the story program intervention every 30 minutes, 1-2 times per week, for 18 sessions using the robot and the PC. If the intervention is completed, the post test was performed.. And the maintenance was performed after four weeks. 2×3 two way-mixed measures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ntervention media group difference in the pre-post-maintain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number of emotional words,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intervention media groups. And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ime(pre-post-maintai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media groups in time(pre-post-maintain). (2) For the diversity of emotional words,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intervention media groups. But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time(pre-post-maintain). And there were significant greater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media groups in time(pre-post-maintain). Robot intervention group was better than PC intervention group. Both intervention media group media were effective for HFA children. Because main effect between time(pre-post-maintain) was significant for the number of emotional words and the diversity of emotional words. But HFA children showed higher performance in robot than PC in the number of emotional word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greater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media groups in time(pre-post-maintain) for the diversity of emotional words. Robot intervention group was better than PC intervention group. This shows that robot may potential therapeutic tool for keeping various emotional words. So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obot is more suitable intervention media than the PC through this study.;지식정보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의사소통 장애 아동들을 위한 교육에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다양한 스마트미디어 매체가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 중재 방법과 관련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로봇이 새롭게 주목받아 다양한 로봇들이 교육 매체로 활용되고 있다. 스마트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및 학습 중재에서 특히 주목받는 대상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이다. 스마트미디어 매체를 이용한 수업을 통해 자폐범주성장애 아동들의 의사소통 및 학습을 개선시켜서 그들의 화용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스마트미디어 매체 각각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다. 하지만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에게 더 유용한 스마트미디어 매체는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매체 비교 연구는 어떤 스마트미디어 매체가 중재 효과가 높은지 예측해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교육성과를 더 높이는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 아동에게 긍정적인 중재 효과를 주는 스마트미디어 매체 중 로봇과 PC를 이용해 감정 어휘 표현 중재에 적합한 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어떤 매체가 더 중재 효과가 높은지 비교 연구를 하였다. 고기능 자폐 아동 14명을 대상으로 PC 중재 집단 7명, 로봇 중재 집단 7명으로 나누어 중재 실시 전에 이야기 다시 말하기 과제를 통해 사전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감정 어휘 표현의 총 낱말 수, 어휘다양도를 살펴보고 감정 이야기 중재를 매 30분, 주 1-2회, 총 18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 후, 사전 검사와 같은 방식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4주 후에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 매체에 따라 고기능 자폐 아동의 감정 어휘 표현의 총 낱말 수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재 매체(로봇, PC)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로봇으로 중재한 집단의 감정 어휘 표현의 총 낱말 수가 PC로 중재한 집단보다 많았다. 검사 시기(사전·사후·유지 검사) 간의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유지 검사에서 고기능 자폐 아동의 감정 어휘 표현의 총 낱말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전 검사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재 매체와 검사 시기에 관한 이원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중재 매체에 따라 고기능 자폐 아동의 감정 어휘 표현의 어휘다양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중재 매체(로봇, PC)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검사 시기(사전·사후·유지 검사)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유지 검사에서 고기능 자폐 아동의 감정 어휘 표현의 총 낱말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전 검사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중재 매체와 검사 시기에 관한 이원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중재 매체인 로봇과 PC에 따른 고기능 자폐 아동의 감정 어휘 표현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감정어휘 표현의 총 낱말 수 향상에 있어서 중재 효과가 더 높은 매체는 로봇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로봇이 ‘공동활동’과 ‘신뢰형성’ 측면에서 컴퓨터보다 유의미한 효과를 준다는 유충훈(2013)의 결과와 상통한다. 감정어휘 표현의 어휘 다양도 향상에 있어서 두 매체 모두 유의미한 중재 효과를 보였지만 어떤 매체가 더 중재 효과가 높은지에 대하여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중재 매체와 검사 시기에 관한 이원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어휘다양도에 대한 유지 검사 결과 PC 중재 집단보다 로봇 중재 집단에서 더 다양한 감정 어휘를 표현하였다. 이는 감정어휘 중재의 유지 측면에서 PC보다 로봇이 중재매체로 더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로봇이 감정 어휘 표현과 같은 의사소통 기술을 촉진하며 재미있고 촉각적인 호기심을 자극하여 PC보다 더 중재매체로 적합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9 A. 고기능 자폐아동의 감정 이해 및 표현 9 B. 스마트 미디어 매체를 이용한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중재 12 Ⅲ. 연구 방법 17 A. 연구대상 17 B. 실험환경 18 C. 연구도구 19 D. 실험 설계 및 절차 27 E. 자료 분석 32 F. 자료의 통계적 처리 32 G. 신뢰도 33 H. 중재 충실도 33 I. 사회적 타당도 34 Ⅳ. 연구결과 35 A. 고기능 자폐 아동의 감정 이야기 중재(PC vs. 휴머노이드 로봇)에 따른 감정 어휘 표현의 훈련 효과 비교 35 B. 고기능 자폐 아동의 감정 이야기 중재(PC vs. 휴머노이드 로봇)에 따른 감정 어휘 표현의 유지 효과 비교 38 Ⅴ. 결론 및 논의 42 A. 고기능 자폐 아동의 감정 이야기 중재(PC vs. 휴머노이드 로봇)에 따른 감정 어휘 표현 42 B. 고기능 자폐 아동의 감정 이야기 중재(PC vs. 휴머노이드 로봇)에 따른 감정 어휘 표현의 유지 효과 44 C.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46 참고문헌 47 부록 56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80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000-
dc.titlePC 및 휴머노이드 로봇을 이용한 감정 이야기 중재가 고기능 자폐아동의 감정 어휘 표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exical representation of emotions for High function autism via story program intervention using smart media(humanoid robot vs. PC)-
dc.creator.othernameJeong, Min Kyeong-
dc.format.pagevii, 80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태-
dc.contributor.examiner성지은-
dc.contributor.examiner임동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