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90 Download: 0

CPLC 체크리스트를 통한 어휘 발달 지연 위험군(at risk) 취학 전 아동의 화용 능력 분석

Title
CPLC 체크리스트를 통한 어휘 발달 지연 위험군(at risk) 취학 전 아동의 화용 능력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Pragmatic Competence of Preschool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with CPLC
Authors
한승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화용언어능력은 다양한 사회적 상황에 맞게 적절한 언어를 사용하는 능력과 관계된다. 화용언어능력은 자신의 의사 및 감정 표현을 표현하고, 타인들과의 욕구나 필요를 협의하는 등에도 필요하다. 그러나 화용능력의 결함은 상호작용에도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으며, 부정적인 사회적 결과 및 행동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화용능력 결함은 그 기저를 다루지 않는다면 지속되기 쉽다고 한다(Clarizio, 1997). 대부분의 화용언어장애 아동들은 의미론적인 결함을 보인다. 즉, 이들은 단어 의미에 관한 지식과 어휘가 제한되어 있으며, 단어와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다른 아동들 보다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Dewart & Summer, 1995). 아동은 어휘를 습득하고 표현하게 되면서 보다 활발한 의사소통능력을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화용능력에 결함이 있는 아동들은 의미론적 결함을 갖고 있으며, 의사소통능력에 제약을 받게 된다. 최근, 언어와 학습 장애 위험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아동들에 대한 예방과 초기 중재를 실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언어장애 위험군 아동의 대다수는 학업에 부진함을 겪으며, 또래, 교사, 부모와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도 문제를 겪고 있다고 한다(Pinnell et al., 1994; Schwartz, 2005; Patterson, Reid, & Dishion, 1992; Reis, Patterson, & Snyder, 2002). 그러나, 이들은 일반아동이나 지체아동과의 다른 특성을 일상생활에서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언어발달지연 아동 뿐 아니라 언어발달지연 위험군 아동이 학령기에 학습장애 및 의사소통장애 아동으로 발전하기 전에 이를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화용언어능력을 평가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의사소통 기능 분석표로 분석하는 방법이 있으나 여러 가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아동을 잘 아는 부모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화용언어 체크리스트는 아동이 실제 생활에서 보이는 의사소통 능력을 빠른 시간 안에 간편히 평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국외에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용언어체크리스트를 통해 어휘발달 정도에 따른 화용언어능력을 살펴보고 어휘발달지연 위험군의 화용 발달 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4세 3개월에서 만 5세 11개월의 어휘발달지연위험 아동, 어휘발달지연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각 15명에게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언어능력 및 지능을 통제하였다. 선정된 아동은 아동화용언어 체크리스트를 아동의 부모나 교사 등 아동을 잘 아는 사람이 작성하도록 한 후, 검사한 화용언어 능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세 집단 간 화용언어능력 및 화용언어능력의 하위영역(담화관리, 상황에의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혼합 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아동 집단과 어휘발달위험 집단, 일반아동 집단과 어휘발달지체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휘발달위험아동 집단과 어휘발달지체아동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담화관리’와 ‘의사소통의도’ 영역에서는 어휘발달위험아동은 일반아동 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어휘발달지체아동 보다 유의하게 높지는 않았다. ‘상황에 따른 조절능력’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일반아동이 어휘발달지체아동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일반아동과 어휘발달위험아동, 어휘발달위험아동과 어휘발달지체아동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어휘발달위험아동들은 상황조절능력과 의사소통의도 영역에서 일반아동이나 어휘발달지체 아동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휘발달위험아동은 상황조절능력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는 일반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능력을 보이지 않았다. 반면, 전반적인 화용언어능력을 비롯하여 담화관리, 의사소통의도에서 일반아동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어휘발달지체아동과 그들을 구분 지을 수 있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하위영역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어휘발달위험아동들이 어휘 및 화용능력에서 또래 아동에 비해 낮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아동이나 지체아동과 쉽게 판별할 수 없는 이유를 상황조절능력과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에서 찾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gmatic competence of preschool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The study first examined the general pragmatic competence of three groups(normal children,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and then looked into differences in the sub-categories(discourse management, application to situations, communication inten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pragmatic language among the groups. The subjects included 45 children. The chronological age of normal children,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was 4 years and 5 months to five years and 11 months, 4 years and 3 months to 5 years and 11 months, and 4 years and three months to 5 years and 11 months, respectively.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Their parents filled out the Children'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General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was lower in the order of normal children,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There wer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2) The scores were lower in the order of normal children,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across all the subcategories of pragmatic language.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scored significantly lower points in "discours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intention" than normal children and points that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Normal children score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in "application to situation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han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between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and children with delay in vocabulary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did not show significantly lower competence in adjustment skills according to situation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han normal children bu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eneral pragmatic language competence, discours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intention than normal children. There was no subcategori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to distinguish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from them. The findings imply that even though children at risk for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have some difficulty with vocabulary and pragmatic competence compared with their peers,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hem from normal children because of their adjustment skills according to situations and non-verbal communication abil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