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곽은아-
dc.contributor.author민지숙-
dc.creator민지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4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4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460-
dc.description.abstract본고는 작곡가 계성원이 경기 고양시의 토속민요‘우야훨훨’을 토대로 작곡한 25현 가야금 합주곡‘훨훨이’를 분석·연구한 것이다. 본고의 연구는 경기 토속민요‘우야훨훨’을 분석하여 주제선율 B에 해당하는 선율을 도출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25현 가야금 합주곡‘훨훨이’의 악곡을 선율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 토속민요‘우야훨훨’은 총 10마디이고 형식은 메기고 받는 형식, 장단은 중중모리장단, 음계는 라음계로 되어있다. 또한 25현 가야금 합주곡‘훨훨이’는 총 205마디이고 A, B, C, D, E, A'의 6단락으로 구분된다. 둘째, 25현 가야금 합주곡‘훨훨이’의 악곡 분석 결과 A단락은 총 26마디의 4개 악구로 구성되며 이 곡의 INTRO로써 곡식을 쪼기 위해 날아오는 새와 논에서 일하는 농부의 모습을 표현한다. A단락은 불규칙 패턴과 규칙적 패턴의 박자가 나타나고 중중모리장단을 사용하며 조성은 다조성, 템포는♩=75로 되어있다. 또한 A단락의 1st , 2nd 가야금은 주로 주제선율 A를, 4th 가야금은 주로 주제선율 B를 연주한다. 셋째, B단락은 총 42마디의 6개 악구로 구성되며 곡식을 쪼기 위해 날아오는 새가 점점 많아지는 모습을 표현한다. B단락은 주제선율 A와 주제선율 B의가 각각 3/4박자, 6/8박자로 상이하게 진행하고 중중모리장단을 사용하며 조성은 다조성, 템포는 ♩=75로 되어있다. 또한 B단락의 1st , 2nd 가야금은 주로 주제선율 A를 연주하고 3rd , 4th 가야금은 주로 주제선율 B를 연주한다. 넷째, C단락은 총 38마디의 6개 악구로 구성되며 무리를 지어 날아오던 새가 점차적으로 많아지는 장면을 표현한다. C단락은 한 악구에서 3/4박자와 12/16박자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폴리리듬(polyrhythm)을 사용하며 조성은 다조성, 템포는♩=75로 되어있다. 또한 C단락의 2nd , 3rd 가야금은 주로 주제선율 A를 연주하고 4th 가야금은 주로 주제선율 B를 연주한다. 다섯째, D단락은 총 46마디의 9개 악구로 구성되며 농부가 혼란스럽게 새를 쫓는 장면을 표현한다. D단락은 자진모리장단을 사용하고 조성은 f minor와 e♭ minor가 교대로 나타나며 템포는♩=120로 되어있다. 또한 D단락은 대부분 주제선율 B의 변형 선율로 구성된다. 여섯째, E단락은 총 21마디의 5개 악구로 구성되며 곡식을 쪼던 새들이 정신없이 달아나는 장면을 표현한다. E단락의 박자는 12/8박자, 조성은 E♭ Major, 템포는♩=120으로 되어있다. 또한 E단락은 대부분 주제선율 A의 변형 선율로 구성된다. 일곱째, A'단락은 총 32마디의 4개 악구로 구성되며 새가 다 날아간 후 고요해진 밭에 새 한 마리가 다시 등장하는 장면을 표현한다. A'단락은 이 곡의 OUTRO로 A단락과 박자, 조성, 템포 등이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25현 가야금 합주곡‘훨훨이’는 새’와‘농부’라는 두 인물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 경기 토속민요‘우야훨훨’의 음계와 장단 등 전통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하며 25현 가야금 4대의 구성으로 음악적 공간감이 풍성하게 나타난다.;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25-string Gayageum (Korean zither) ensemble of Hwol-hwol-i that composer Gye Seong-won composed based on U-ya-Hwol-hwol, a folk song from Goyang, Gyegonggi-do. Hwol-hwol-i was analyzed to derive the theme melody B, and thus the ensemble tune was analyzed based on the melod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First, the Uya Hwol-hwol-i had a total of ten bars, a "push and pull" type, a Jung-jung-mo-ri beat, and a la scale. Also, the Gayageum ensemble Hwol-hwol-i had a total of 205 bars, and consisted of six divisions of A, B, C, D, E and A'. Second, the Hwol-hwol-i's division A consisted of a total of 26 bars and 4 clauses, and as the introduction of this music, it expressed birds swooping on the paddies to feed on rice, and farmers working. Division A showed irregular- pattern and regular-pattern beats, used Jung-jung-mo-ri beats, and had a polytonality and a tempo of♩=75. Also, division A 1st and 2nd Gayageum play mainly the theme melody A, and the 4th Gayageum plays mainly the theme melody B. Third, division B consisted of a total of 42 bars and 6 clauses, expressing a growing number of birds swooping on the paddies to feed on rice. Division B had the theme melody A and theme melody B playing with a 3/4 time and 6/8 time, respectively, used the Jung-jung-mo-ri beats, and had a polytonality and a tempo of ♩=75. Also, division B 1st and 2nd Gayageum play mainly the theme melody A, and 3rd and 4th Gayageum play mainly the theme melody B. Fourth, division C consisted of a total of 38 bars and 6 clauses, expressing a growing flock of birds flying over the paddies. Division C showed both 3/4 time and 12/16 time in a clause, used polyrhythms, and had a polytonality and a tempo of ♩=75. Also, division C 2nd and 3rd Gayageum play mainly the theme melody A, and the 4th Gayageum plays mainly the theme melody B. Fifth, division D consisted of a total of 46 bars and 9 clauses, expressing a scene of the farmer hurriedly casting away birds. Division D used the Ja-jin-mo-ri beats, had a tonality of f minor and e♭ minor alternating, and a tempo of ♩=120. Also, division D consisted mostly of transformed melodies of the theme melody B. Sixth, division E consisted of a total of 21 bars and 5 clauses, expressing a scene of birds pecking at feed and flying away in disarray. Division E had a 12/8 time, a tonality of E♭ Major, and a tempo of ♩=120. Also, division E consisted mostly of the transformed melodies of the theme melody A. Seventh, division A' had a total of 32 bars and 4 clauses, expressing a scene of one bird appearing in a quiet field after all other birds flew away. As outro of this music, division A' had the same beat, tonality and tempo as division A. In summary, the 25-string Gayageum ensemble Hwol-hwol-i describes the story of birds and farmers, which was composed based on the Gyeong-gi folk song of U-ya-Hwol-hwol's scales and beats and other traditional elements, is played with 4 25-string Gayageum, delivering ample musical spati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1 B.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4 Ⅱ. '우야훨훨'과 '훨훨이' 작품 개관 6 A. 경기 토속민요 '우야훨훨' 분석 6 B. 25현 가야금 합주곡 '훨훨이' 작품 개관 11 C. '우야훨훨' 과 '훨훨이' 선율 비교분석 14 Ⅲ. 25현 합주곡훨훨이 악곡 분석 17 A. A단락 17 B. B단락 25 C. C단락 37 D. D단락 49 E. E단락 67 F. A'단락 75 Ⅳ. 결론 81 참고문헌 84 부록1 86 부록2 88 Abstract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2021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25현 가야금 합주곡 <훨훨이>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nalysis of Gye Sung Won’s 25 string gayaguem Ensemble <Hwol-hwol-i>-
dc.creator.othernameMin, Ji Sook-
dc.format.pageviii, 107 p.-
dc.contributor.examiner강영근-
dc.contributor.examiner안현정-
dc.contributor.examiner류정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