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양정임-
dc.creator양정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6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8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4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886-
dc.description.abstract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corpus-based learning using concordance worksheets for college students on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learners' collocation knowledge depending on the students' proficiency of English.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took a diagnostic test to investigate the homogeneity of the divided groups in terms of English proficiency. They were broken down into two proficiency levels in each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test. Then, 14 weeks of corpus-based learning was given to the participants. They were required to complete their tasks under different instructions in each group. After 14 weeks, participants took a post-test to examine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corpus-based learning on the acquisition of the delexical verb collocation (DVCs). A delayed post-test was conducted 2 weeks after the post-test. During the experiment and continuing until the end of delayed-test, students were asked to take part in an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collaborative corpus-based learning has effects on the acquisition of delexical verb collocation. This showed that assistance from peers had a significant effect for high-level students. From the results of post-hoc test, the collaborative corpus-based learning seemed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effects on the acquisition of delexical verb collocation than traditional learning. Concerning retention of collocation items, collaborative corpus-based learning and individual corpus-based learning have effects on learners’ learning from low-level students. This study shows that corpus-based learning – as supported by Involvement Load Hypothesis (ILH) suggested by Laufer and Hulstijn (2001) – is beneficial especially for low-level students. In addition, more positive attitudes and perceptions were observed from students in the high-level groups than the low-level groups, which might be due to the affective factor that low-level students are afraid to speak in front of their peers, so they would prefer working individually. Improvement of students’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s corpus-based learning was displayed in all the groups except low-level collaborative corpus-based learn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collaborative corpus-based learning should be adopted and implemented and therefore, more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with collaborative corpus-based learning.;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경동사 연어 습득에 미치는 코퍼스 기반 협력학습, 개별학습, 그리고 전통적 학습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집단은 영어 능숙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각 집단의 실험 대상자들은 15차 시에 걸쳐 코퍼스 기반 주도학습자료에 따라 자료주도학습을 통해 어휘를 학습한 후 직후평가와 지연 사후 평가를 보았고, 그 결과가 비교 분석되었다. 학습이 끝난 후 학습자의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와 인터뷰가 실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학습자의 영어 능숙도와 상관없이 협력학습이 개별학습과 전통적 학습보다 경동사 연어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는 협력 학습이 학생들 간에 상호 작용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줬고, 정의적인 두려움을 낮추어 주는 자료 주도 학습의 장점을 통하여 학생들이 경동사 연어 어휘를 더 잘 습득 할 수 있도록 도와 주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지연사후 평가에서는 협력학습과 개별학습이 전통학습보다 경동사 연어 학습에 있어서 더 효과적이었다. 이는 학습유지 (장기적인 내재화)의 경우, 협력학습과 코퍼스 기반학습이 전통적인 학습보다 경동사 연어 학습에 더 효과가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위학습자 그룹이 하위 학습자 그룹보다 코퍼스 기반 자료 주도 학습에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하지만, 하위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개별학습 그룹의 학습자들이 협력학습 그룹의 학습자들 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로써, 하위 학습자들에게 있어서 그룹내의 다른 학습자와 협력함에 있어서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룹 내에서 하위 학습자들이 수동적인 역할을 주로 하게 되는 것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협력학습과 개별학습을 한 모든 학생들에게 협력적으로 하는 학습에 대한 인식의 향상이 보여졌지만, 개별학습의 하위 학습자들에게서만 아무런 향상이 보여 지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제공하는 교육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의 언어 능숙도와 상관없이 코퍼스 기반 협력학습은 대학생들의 경동사 연어 학습 그리고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코퍼스 기반 학습은 경동사 연어학습의 장기적 내재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코퍼스 기반 협력 학습은 어휘학습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등 다양한 수준의 어휘학습에도 적용이 되어야 한다. 이에 맞추어, 코퍼스 기반 자료 주도 학습을 위한 의사소통 중심 활동을 고려한 학습자료와 다양한 학습활동의 개발과 연구, 그리고 실제 교실에서의 적용이 함께 뒷받침 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A. Purpose of the Study 5 B. Research Questions 8 C. Organization of the study 9 II. LITERATURE REVIEW 11 A. Collocation 11 1. Definition 12 2. Types of Collocations 12 3. Delexical Verb 17 B. Data-Driven Leanring 25 1. Corpus Linguistics 31 2. Involvement Load Hypothesis 35 C. Collaborative Learning 47 III. METHODOLOGY 50 A. Reaserach Design 51 B. Participants 53 C. Materials 57 1. Instrument 57 2. Selection of DVCs 57 3. Diagnostic Test 61 4. Class Materials 62 5. Post-Test 67 6. Delayed Post-Test 70 7. Questionnaire 72 8. In-depth Interview 74 D. Procedure 75 1. Pilot Study 75 2. Main Experiment 78 E. Data Analysis 83 1. Effects on DVC Acquisition 84 2. Effects on DVC Retention 85 3. Attitudes and Perceptions 86 IV. RESULTS AND DISCUSSION 87 A. Results 88 1. Effects on DVC Acquisition 92 2. Effects on DVC Retention 97 3. Attitudes and Perceptions 102 B. Discussion 118 1. Effects of CCL on DVC Acquisition 118 2. Effects of CCL on DVC Retention 120 3. Attitudes and Perception towards CCL and Competence of English 122 V. CONCLUSION 125 A. Summary of the Results 125 B. Pedagogical Implications 128 C.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129 REFERENCES 132 APPENDICES 154 ABSTRACT IN KOREAN 1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72594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Effects of Collaborative Corpus-Based Learning on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DVCs-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코퍼스 기반 협력 학습이 영어 경동사의 경동사의 경동사의 경동사의 습득과 파지에 미치는 영향-
dc.format.pagexi, 193 p.-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contributor.examiner한종임-
dc.contributor.examiner박시영-
dc.contributor.examiner신동광-
dc.contributor.examiner이은주-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