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2 Download: 0

Safe sex in Reality

Title
Safe sex in Reality
Authors
조승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cover the lived meanings of safe sex and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risky sexual behaviors and their preventive behaviors. Furtherm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the influencing factors differed in different ‘safe sex’ perception group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sexually active adults (aged 22-35 years). Data were analyzed following the principles of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lived meanings of safe sex included ‘protection’, in other words, biomedical safety,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However, ‘feeling safe’,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safety or emotional safety, appeared to be more significant. Feeling safe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rusting your partner, whether you’re in a loving relationship or not; (2) satisfaction of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3) controllability of both the situation and one’s urges; (4) predicting the consequence. Influencing factors of condom use included (1) perceived severity; (2) perceived susceptibility; (3) attitude towards condom use; (4) perceived benefits and costs of condom use; (5) perceived self-efficacy; (6) negotiation efficacy; (7) double standards; (8) lag between action and attitude; (9) optimistic bias; (10) sensation seeking; (11) heat of the moment; and (12) alcohol consumption. For those participants who reported safe sex is ‘protection’, change in efficacy and inhibition factors would help increase their condom use. For those participants who reported safe sex is ‘feeling safe’, change in attitude and perception of cost of condom use would help increase their condom use. The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 this complex relationship are outlined, and they will be of interest to academics,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in the fields of sexual behavior.;오늘날 국내의 증가한 성 관련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안전한 성행동 증진을 위한 캠페인은 물론이거니와 사람들의 성행동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국내연구들은 성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하나의 동질한 집단으로 상정하고 단일 모델을 바탕으로 진행하는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성행동과 같이 복합적이고 사적인 주제의 경우, 행위 자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사람들이 생각하는 ‘안전한’ 성행동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또한 위험성 행동이나 그를 예방하는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실무적 함의를 지니기 위해 안전한 성행동에 대한 인식에 따른 그룹의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명의 성경험이 있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해석적 현상학적 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전한 성행동는 생체의학적 안전을 의미하기도 하였지만 주로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 즉, 심리적 안전이나 감정적 안전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위험성행동과 예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1) 지각된 심각성; (2) 지각된 취약성; (3) 콘돔 사용 태도; (4) 콘돔 사용의 이익과 비용; (5) 지각된 자기 효능감; (6) 협상 효능감; (7) 이중 잣대; (8) 행동과 태도 간의 지체현상; (9) 낙관적 편견; (10) 자극추구성향; (11) 성적 충동; (12) 음주를 포함하였다. 안전한 성행동을 콘돔 사용이라 지각한 그룹에 있어서는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콘돔 사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콘돔 사용에 있어서 이익을 비용보다 크게 지각하였으나 지각된 자기 효능감 또한 높게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중 잣대 및 행동과 태도 간의 지체현상 등 문화적 변수들로 인해 협상 효능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성적 충동 및 음주 등 상황적 변수로 인해 콘돔 사용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었다. 안전한 성행동을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이라 지각한 그룹에 있어서는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취약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들은 콘돔 사용에 대해 부정적으로 느꼈으며 콘돔 사용의 이익을 지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비용을 더 크게 느껴 콘돔을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낙관적 편견이나 자극추구성향 등의 성향으로 인해 위험성행동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콘돔 사용 의도가 낮아 지각된 자기 효능감, 협상 효능감과 상황적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인들의 성행동을 이해하고 나아가 안전한 성행동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다차원적 노력의 초석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