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남원-
dc.contributor.author유지원-
dc.creator유지원-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1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2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4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246-
dc.description.abstract10~14世纪从韩国和中国的工艺品表现的‘滿池嬌樣式’, 作为当时代表高级文化的工艺样式,随着时代满池桥的样式也跟着变化与发展。但是,韩国连其名字也都感觉到陌生且从未有过研究。本论文以纹样史出发借巩固学问性基础为契机,对满池桥的样式进行考察。 中国传统纹样当中的‘滿池嬌樣式’和‘池塘小景樣式’在广义的意义上被称为‘水边风景纹’。这里配置各种水草和水禽。但是通过中国當代诗集和遗物可知,满池桥的‘池’和 池塘小景的‘池塘’的概念有明确的区分。 池塘小景样式表示着全面性的水波风景纹,其中包含着莲花的满池桥样式是指‘池塘风景纹’。 这样的满池桥样式从唐代开始,被玉金飾, 磁器等各种工艺品的样式所使用。 满池桥的样式,是各种各样的水禽聚中在莲花池的背景里,其最有代表性的水禽南方的鴛鴦, 鷺鷥(白鷺)和北方的海東靑, 天鵝一起配置. 这表示着与池塘小景的样式严格的区分且使用。 在韩国满池桥的样式被称为莲池水禽纹。韩国的水边风景纹分为蒲柳水禽紋, 葦蘆水禽紋, 蓮池水禽紋等三个类型。其中对蒲柳水禽紋的研究至今造型上的意义或起源为焦点,通过各种分类进行研究。这是因为青瓷上最经常出现的纹样,所以引起了很多研究者的注目。而葦蘆水禽紋和蓮池水禽紋作为单一的素材未被研究过,仅对作为高丽工艺品表现的水边风景纹的一部分被研究过。 至今,以水禽为中心的样式被研究过的论文很少。之前研究的水边风景纹主要以水为主,对水禽的研究几乎没有。因此,本研究者要对多样的池塘风景纹中,具体研究作为单一样式的满池桥样式的莲池水禽纹。 文献当中最初提到的满池桥是南宋代,但是表现在遗物的满池桥样式的图案早在唐代已经出现过。从此可知,满池桥样式是从南方的莲池为中心的鴛鴦和鷺鷥开始的。 北方的满池桥样式是从辽金代的四時捺鉢始出现的。四時捺鉢中春捺钵是最重要的,这里的中心水禽是海东青和天鹅,到了金代也是一直传流了春捺钵,而命名了春水。结果辽代的春捺钵强调是军事及政治的图强,反而金代的春水是北方文化的本然游戏的概念。 南方的池塘小景表达了统治阶级对情绪性生活与韵事的感性态度,而北方的春水只要是为了生存手段,与南方做了对比。这样的南北方的要素,在元朝混合后再次出现了鴛鴦和鷺鷥中心的满池桥样式。元朝文宗通过南方文人谋求政治合并,同时深信佛教信仰,升华样式而形成了元朝特有的文化。 满池桥样式根据中心素材可分类。以下的分类方式是本研究者根据遗物照片分分类的图表。水禽为素材的满池桥Ⅰ类型是南方栖息的水禽满池桥,Ⅱ类型是北方栖息的水禽。Ⅰ类型是鸳鸯中心的满池桥Ⅰ-A式和 鷺鷥中心的满池桥Ⅰ-B式分类, Ⅱ类型是海东青和天鹅, 春水中心的满池桥 Ⅱ-A式和 天鹅中心的满池娇Ⅱ-B式分类。 满池桥样式象征的意义是, Ⅰ-A式代表兄弟间的友爱,男女间的爱情, 佛教的象征, 在工艺品中常在陶器中出现。Ⅰ-B式代表象征佛教的鷺鷥,主要出现在装饰品。Ⅱ-A式是海东青猎天鹅的春水中心,象征海东青的勇猛和Ⅱ-B式象征天鹅的高尚,Ⅱ类型主要出现辽金代的用玉做带饰和佩饰等的装饰品。 满池桥样式的各个要素的造型特征,大体上反映宋朝是鸳鸯与鷺鷥的非繁殖期,元朝反映的是繁殖期。而且宋代鸳鸯和鹭鸶的构图是左右对称及一立∙二立的,元代的时候和北方的春水样式结合构成了多彩多样的构图。满池桥Ⅱ类型里都有天鹅。如春水样式表现海东青猎天鹅的结果,春水中心的满池娇样式表现海东青的狩猎过程。这种构图里天鹅表现一直躲避海东青把身体莲池里隐蔽起来。反而Ⅱ-B式是只天鹅独立出现,比Ⅱ-A式表现悠闲的气氛。 如此变化与转移的满池桥样式通过中国南北方的文化要素相结合后,流入并成为高丽的王室与高级阶层所使用的工艺品样式。高丽的工艺品中最常见的是纯金,或者用金铜制作的钮扣形装饰品和青瓷。高丽装饰品中出现的满池桥样式与中国的满池桥样式很相似,但不同类型的莲池构图创造了只属于高丽的满池桥样式。根据两国喜欢的样式与造型的特征,可知样式与艺术性根据地区的不同而异。 由此,把韩·中满池桥样式从工艺性的意义上可整理成以下五类。第一,满池桥样式包含着当代中国人和高丽人的文化与情绪。第二, 满池桥的艺术性深入到中国与高丽的思想上,成为政治·经济的发展的原动力。第三, 根据多样的满池桥样式而要求的工艺品的装饰技术非常出色。第四, 满池桥多样化的象征性与表现力对今天的艺术创造增添的新的灵感。满池桥的莲池与中心水禽的配置对当时两国人的情绪上起到了升华作用,使得各个时代与地区的样式,谋求无限的发展。第五, 通过10~14世纪高丽与中国的交流,促使高品格满池桥的样式史的发达。随之,微观和宏观的角度看,满池桥样式作为两国代表性的交流应该继续发扬。因此,首先对其研究应该坚持不懈的进行。韩国内对其研究还没有先例。本论文可以说是对其研究是拉开了第一幕。希望借此机会,能够对满池桥样式的学问性打下良好的基础。;중국 전통문양 가운데‘滿池嬌 樣式’과 ‘池塘小景 樣式’은 넓은 의미로‘물가풍경문’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水草와 水禽이 포함된다. 그러나 중국의 古代 詩集과 유물을 통해 만지교의 ‘池’와 지당소경의 ‘池塘’개념이 명확히 구분됨을 알 수 있다. 지당소경 양식은 포괄적인‘물가풍경문’을 뜻하고 그 가운데 특히 연화를 포함하고 있는 만지교 양식은‘연못가풍경문’을 뜻한다. 이러한 만지교 양식은 唐代부터 玉金飾, 磁器 등 다양한 공예품의 양식으로 사용된다. 만지교 양식은 연지라는 배경 안에 다양한 수금이 한 데 어우러진 것을 뜻하며, 대표적인 수금으로는 남방의 鴛鴦, 鷺鷥(白鷺) 그리고 북방의 海東靑, 天鵝와 함께 배치된다. 이는 물가풍경문인 지당소경 양식과는 엄격하게 구분되어 사용해왔음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만지교 양식에 나타나는 유사한 요소가 포함된 문양을‘蓮池水禽紋’이라고 한다. 한국의 물가풍경문은 蒲柳水禽紋, 葦蘆水禽紋, 蓮池水禽紋 등의 세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 포류수금문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조형적인 의미 또는 기원에 초점을 두고 여러 가지 분류를 통한 고찰이 진행되어 왔다. 이는 특히 고려시대 금속 공예와 청자에 빈번하게 나타나는 문양으로서 주목해왔기 때문이다. 반면 위로수금문과 연지수금문은 단일 양식의 소재로 연구되지 않고 고려 공예품에 표현된 물가풍경문의 부분 요소로만 언급되어 왔다. 따라서 지금까지 수금 중심으로 양식을 파악한 논문은 매우 드물다. 더구나 물가풍경문은 주로 水草부문에 집중되었고 水禽부문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다양한 지당풍경문 중 단일 양식으로서의 만지교 양식인 연지수금문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문헌 상 만지교에 대한 최초 언급은 南宋代 吳自牧의『夢粱錄』에서 나타나지만 유물에 표현된 만지교 양식의 도안은 이미 당대에 등장한다. 이를 통해 전형적인 만지교 양식은 중국 남방으로부터 비롯되어 연지를 중심으로 鴛鴦과 鷺鷥(白鷺)로 이루어진다. 중국 북방의 만지교 양식은 요금대 어렵제도인 四時捺鉢에 의해 등장하게 된다. 사시날발 중 춘날발이 중시되면서 중심 수금으로 해동청과 천아가 등장하고, 금대에 이르러 춘날발은 春水라는 명칭으로 계속 유지되며, 요대의 군사·정치적 강성 이미지에 반해, 금대에는 북방 문화 본연의 유희적 개념이 강조된다. 남방의 지당소경은 지배 계급의 정서적 생활과 풍류에 의한 감상적인 태도로 보여지는 반면 북방의 춘수는 생존을 위한 수단으로 남방의 모습과 정반대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남북방의 요소들이 원대에 혼합되어 원앙과 노사 중심의 만지교 양식이 재등장하게 된다. 특히 원대 문종은 남방문사를 통해 정치 통합을 꾀하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불교 신앙을 굳게 믿어 이를 양식으로 승화하여 원대만의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만지교 양식은 중심 소재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다음의 분류 방식은 본 연구자가 유물 사진과 함께 유형별로 나누어 도표로 제시하게 될 것이다. 수금을 중심 소재로 한 만지교 Ⅰ유형은 남방에 서식하는 수금을, 만지교 Ⅱ유형은 북방에 서식하는 수금을 말한다. Ⅰ유형은 원앙 중심의 만지교 Ⅰ-A식과 노사 중심의 만지교 Ⅰ-B식으로 분류되며, Ⅱ유형은 해동청과 천아로, 춘수 중심의 만지교 Ⅱ-A식과 천아 중심의 Ⅱ-B식으로 분류된다. 만지교 양식이 상징하는 의미는, Ⅰ-A식은 형제간의 우애, 남녀간의 애정, 불교의 상징으로 대표되고, 공예품 중 자기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Ⅰ-B식은 불교를 상징하는 노사가 대표로, 주로 향로의 장식구에 나타난다. Ⅱ-A식은 해동청의 천아 사냥 모습인 춘수가 중심이고, 해동청의 용맹함과 천아 중심의 Ⅱ-B식은 천아의 고상함을 상징한다. 만지교 Ⅱ유형은 요금대 옥으로 만든 帶飾과 佩飾 등 裝飾具에 집중된다. 만지교 양식의 각 요소별 조형 특징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송대에는 원앙과 노사의 비번식기의 모습이, 원대에는 번식기의 모습이 표현된다. 또한 원앙과 노사의 구도는 송대에는 좌우 대칭 구도와 一立·二立 구도로, 원대에 이르러 북방의 춘수 양식과 결합되어 다양한 구도가 형성된다. 만지교 Ⅱ유형은 천아가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춘수 양식이 해동청의 천아 사냥의 결과만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춘수 중심의 만지교 양식은 사냥의 진행 과정을 단계별로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도 속에 천아는 항상 해동청을 피해 연지 속에 은신하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반면 Ⅱ-B식에서는 천아가 단독 수금으로 나와 Ⅱ-A식보다 여유로운 분위기 모습으로 출현한다. 이렇게 변화·전이된 만지교 양식은 중국 남북방의 문화 요소가 결합되어 고려에 유입되고 고려 왕실과 고위 계층이 사용하는 공예품의 양식으로 자리잡게 된다. 고려의 공예품 중 만지교 양식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純金이나 金銅으로 만든 단추형의 장식구와 청자이다. 고려 장식구에 나타나는 만지교 양식은 중국의 만지교 양식을 흡수하되 다른 유형의 연지 구도를 조합함으로써 고려만의 만지교 양식을 만들어 냈다. 이를 통해 유사한 조형 요소가 지역에 따라 양식의 차이와 표현의 특징으로 나타남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중 만지교 양식을 통해 본 공예사적 의의를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만지교 양식은 당대 중국인과 고려인들의 문화와 정서를 담고 있다. 둘째, 만지교의 예술성이 중국과 고려의 사상에 깊숙이 투영되어 정치·경제· 문화를 움직이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셋째, 다양한 만지교 양식에 따라 요구되는 공예품의 장식 기술이 매우 뛰어나다. 만지교는 10~14세기 고려와 중국의 인적·물적 교류를 통해 수준 높은 조형으로 발달했다. 따라서 미시·거시적 안목에서 만지교 양식은 양국의 대표적 교류문화의 산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만지교가 지닌 이러한 독자적인 조형, 문화사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물가풍경문의 일부로만 연구가 진행된 상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만지교 양식에 대해 소개하고, 물가풍경문 가운데 연지수금문의 관점으로 만지교에 대해 고찰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이 10~14세기 고려와 중국의 물가풍경문과 만지교 양식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Manchijiao(滿池嬌) patterns on Korean and Chinese crafts from the 10th to 14th century were changed and developed with various patterns as one of representative patterns of crafts. Unfortunately, the research about the pattern has rarely conducted. In addition, even the name of the pattern has been not well known. This study is to form the basis for the study of Manchijiao patterns. Manchijiao(滿池嬌) and Chitangxiaojing(池塘小景) pattern are generally called Mulgapungkeungmun(물가풍경문), which is the pattern consisting of water plants and birds. ‘chi(池)’of Manchijiao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chitang(池塘)’of Chitangxiaojing(池塘小景) based on the poetry collections of the period. The pattern of Chitangxiaojing(池塘小景) means a broad range of Mulgapungkeungmun(물가풍경문) while Manchijiao patterns including lotus flowers means pond landscape. Manchijiao patterns with lotus flowers had been broadly used for the decoration on handicrafts such as jade-gold ornaments(玉金飾), which means the decoration using gold and jade, and ceramic from the Tang age. Manchijiao patterns mean that various waterfowls with a background of a pond surrounded with lotus flowers. Southern mandarin ducks and white herons and northern hawks and swans were mostly put together in the patterns, which means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hitangxiaojing(池塘小景) patterns. Manchijiao patterns are called Yeonjisukummun(蓮池水禽紋) in Korea. Mulgapungkeungmun(물가풍경문)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olusukummun(蒲柳水禽紋), Yulosukummun(葦蘆水禽紋) and Yeonjisukummun(蓮池水禽紋). A research on Polusukummun(蒲柳水禽紋) has been focused on design characteristics and the origin of it, which was because the patterns were generally found on Goryeo celadon so many scholars were interested in it. However, Yulosukummun(葦蘆水禽紋) and Yeonjisukummun(蓮池水禽紋) were studied as a group subject rather than individual subjects. In terms of the research on Mulgapungkeungmun(물가풍경문), most researches were based on water plants while the study on the basis of waterfowls was rare. Thus, the author’s research is about Yeonjisukummun(연지수금), which is one of Manchijiao patterns in Chitangxiaojing(池塘小景). According to literatures related to Manchijiao patterns, it was first mentioned in Southern Song era (AD 1127-1279). However, the design of Manchijiao had already shown in Tang dynasty (AD 618 – 907). Therefore, typical Manchijiao patterns are begun from south. The pattern consists of mandarin ducks and herons in the background of pond. Northern Manchijiao patterns were found in Sishinabo(四時捺鉢), which is a scheme for fishing and hunting, in Liao (AD 907 – 1125) and Jin dynasty (AD 1115 - 1234). Chunnabo(春捺鉢) was considered important. Hawks and swan came out. The name of Chuunabo was replaced with Chunshui(春水). In Jin dynasty, Chunnabo showed the character of amusement whilst it had military and political character in Liao dynasty. Chitangxiaojing(池塘小景) in southern region shows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upper classes so it looks sentimental. On the other hand, northern Chunshui(春水) is appeared as means of survival. The elements of north and south were mixed, which resulted in reappearance of Manchijiao patterns based on mandarin ducks and herons. Particularly, Jayaatu Khan (AD 1304 – 1332) in Yuan dynasty (AD 1271 – 1368) considered political integration by southern literary man. At the same time, unique cultures of Yuan dynasty was formed from the great Buddhist faith, which was utilised for making patterns. Manchijiao patterns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The means of classification will be described and presented with figures and tables. Manchijiao pattern I is based on waterfowls living in south while Manchijiao pattern II is waterfowls in north. I pattern is divided into I-A, which is mandarin duck-centred and I-B, which is heron-centred. In addition, II patterns are split into haidongqing(海東靑), tiane(天鵝)로, chunshui(春水) based II-A and tiane(天鵝)-based II-B. I-A pattern means the ties of brotherhood, affections between men and women. The pattern was frequently seen particularly on ceramics. Herons representing Buddhism were mostly expressed on the decoration of incense burners. II-A is based on the expression of hawk’s hunting of tiane(天鵝). II-B means tiane(天鵝)’s elegance. Manchijiao II pattern is mostly shown on the decoration of the belt(帶飾) and Accessories(佩飾) made of jades. The figurative difference of Manchijiao is whether or not mandarin ducks and herons have breading seasons. In Song dynasty (AD 960 – 1279), they did not have breading season while the figure of them in Yuan dynasty (AD 1271 – 1368) is in breading season. Furthermore, the arrangement of mandarin ducks and herons was bilateral symmetry in Song dynasty era. On the other hand, various arrangements were appeared in Yuan dynasty era, which was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northern chunshui(春水) and Manchijiao patterns. tiane(天鵝) is included in Manchijiao II. chunshui(春水) based Manchijiao patterns express the progress of hunting while chunshui(春水) based patterns show the result of hunting tiane(天鵝). tiane(天鵝) always tried to avoid haidongqing(海東靑) and hid in a pond with lotus flowers. However, II-B patterns show there is only one tiane(天鵝), which seems to be more peaceful than that of II-A. The changed and developed Manchijiao patterns were imported and begun to be used for crafts for Goryeo’s (AD 918 – 1392) upper classes with the combination of southern and northern Chinese cultures. One of objects including Manchijiao patterns in Goryeo is studs made of pure gold and gilt bronze. Another object is the celadon. Goryeo decorations include not only Chinese Manchijiao patterns but also different arrangements of yeonji(蓮池) so unique patterns could be created, which indicates the different preference and their meaning of patterns in Korea and China. To sum up, in terms of significance in history of craft, Manchijiao patterns include cultures and sentiments in Goryeo and China of the period. Secondly, the patterns is one of elements affecting politics, economy and cultures. Thirdly, the technique of crafts is magnificent regarding various Manchijiao patterns. Fourthly, a range of symbols of and expression ways of Manchijiao would be the inspiration for the creation of artworks. It is expected that the pattern would bring about potential development of artworks like the pattern made public sentiment be transferred to artistry, which resulted in a range of patterns according to regions and period. Fifthly, the exchange between Goryeo and China in the 10th and 14th century led to high-quality of Manchijiao patterns. Thus, it would be worth continuing the exchange of Manchijiao patterns as one of representativ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both countries. To achieve this, continuing research would be required. In Korea, no researches on Manchijiao have conducted. It is hope that this paper is the beginning of the study of Manchijiao patter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滿池嬌 樣式의 태동과 발전 3 A. 만지교의 개념과 기원 3 1.‘池’와‘池塘’ 3 2. 만지교의 양식의 기원 8 B. 만지교 양식의 발전 과정 9 1. 남방의 만지교 양식 9 2. 북방의 만지교 양식 13 Ⅲ. 중국 滿池嬌 樣式의 유형 분류와 조형 특징 33 A. 만지교 Ⅰ유형 33 1. 만지교 Ⅰ-A식 33 2. 만지교 Ⅰ-B식 41 B. 만지교 Ⅱ유형 52 1. 만지교 Ⅱ-A식 52 2. 만지교 Ⅱ-B식 61 Ⅳ. 고려 內 滿池嬌 樣式의 도입과 의의 67 A. 고려 내 만지교 양식 도입과 유행 67 1. 고려 내 만지교 양식의 도입 배경 67 2. 고려 내 만지교 양식의 유행 76 B. 한·중 만지교 양식을 통해 본 공예사적 의의 95 Ⅴ. 맺음말 98 참고문헌 103 ABSTRACT 111 中文摘要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183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10~14세기 韓·中 工藝品을 통해 본 滿池嬌(蓮池水禽) 樣式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Manchijiao(滿池嬌) Patterns In Korean and Chinese Crafts Between the 10th and 14th Century-
dc.creator.othernameYoo, Ji Won-
dc.format.pageix, 117 p.-
dc.contributor.examiner이종민-
dc.contributor.examiner한혜선-
dc.contributor.examiner장남원-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