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65 Download: 0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의 작품에 나타난 자기고백적 표현

Title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의 작품에 나타난 자기고백적 표현
Other Titles
Self-confessional expression in Tracey Emin’s work
Authors
정지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난지
Abstract
본 논문은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 1963~)의 작품에 나타난 자기고백적 표현을 살펴본 연구이다. 에민은 1990년대 미술계에 등장한 ‘yBa(young British artists)’의 일원으로 출발하여 삶에서 겪은 충격적인 사건들을 솔직하고 파격적인 방식으로 드러내는 작업을 통해 영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녀 작업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단순한 형식의 분석에 치우쳐 있었으며, 작가의 개인사적 고백에 내포된 의미는 간과된 채 그 주제의 선정적인 측면만이 부각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필자는 에민의 작업에 일관되게 드러나는 자기고백의 내용이 미술사의 오랜 주제이며 그 표현의 방식은 동시대 미술의 특징을 공유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지난 20여년에 걸친 그녀의 작품 세계를 총체적으로 조명해 보고자 했다. 미술사에서 자기고백적 표현은 작가가 스스로를 주제로 삼는 자화상의 역사와 함께 전개되어 왔으며, 작가의 자의식이 성장함에 따라 점차 작가의 삶과 그의 내면을 드러내는 주제로 확장되어 왔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자기고백적 미술은 보다 넓은 의미에서 예술가의 주체 형성 과정을 드러내는 작업으로 나타났다. 퍼포먼스, 사진, 영상 등으로 예술가의 신체를 직접 보여주면서 ‘주체로서의 몸’을 드러내는 방식이 그것인데, 특히 페미니스트 미술가들은 이러한 작업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여성으로서의 자신의 몸을 제시함으로써 여성주체의 위치를 재고시키고자 하였다. 에민 역시 여성작가로서 자서전적 내용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지속해왔다는 점에서 이들과 공유하는 측면을 가진다. 그러나 에민의 작업은 다른 여성 작가들처럼 성적 차이를 보여주기보다 작가의 삶 자체를 표현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이는 그녀의 작업을 페미니즘 미술로만 한정할 수 없는 측면이다. 한편, 에민의 작업은 당대 영국의 문화적 맥락과도 연결된다. 그녀는 삶의 경험을 작품의 소재로 삼으면서 자신이 나고 자란 지역의 분위기를 담아내는 한편, yBa 작가들과 같이 활동하던 시기의 사회적 정황 역시 작품의 일부로 끌어들였다. 또한 당시 성행한 대중매체의 리얼리티 쇼에서 따온 재현 방식을 이용하여 자신의 삶을 더 극적으로 드러내기도 하였다. 결국 에민의 작업은 개인의 일상과 그것에 얽힌 사회적, 문화적 맥락을 내용과 형식을 통해 드러냄으로써 삶 자체를 작품화한 것에 다름 아니다. 먼저 에민은 자신의 몸을 직접 제시하면서 스스로를 대상화하는 작품을 통해 자신이 겪은 성적 트라우마를 고백하고 상처 입은 자신의 정체성을 재고하게 한다. 부적절한 성적 경험에 의한 고통과 상처는 그녀를 예술로 이끈 동기이며 자양분이 되는 동시에, 그녀의 삶에서 반복되는 트라우마로서 끊임없이 작용하듯이 작업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한편 아플리케나 네온 등 장식미술이나 상업미술의 재료와 기법을 이용한 작업은 주류 미술에서 배제되어온 감수성, 특히 여성성을 환기한다. 동시에, 이러한 작업은 단편적인 텍스트를 통해 작가의 이야기를 전달함으로써 자기고백의 통로가 된다. 에민은 또한 추억이 깃든 물건이나 기억 속의 장소에 있던 사물들을 미술관으로 옮겨놓은 오브제 작업들을 통해서도 자신의 삶을 이야기한다. 이처럼 에민은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통해 자기고백적 표현을 지속하고 있는데, 최근의 작업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자신의 삶을 입체적으로 제시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유동적인 해석이 가능한 열린 구조로 제시한다. 이상과 같이 트레이시 에민의 작업 전반에 나타나는 자기고백적 표현은 미술사적 전통을 계승할 뿐 아니라 당대의 문화적 동향에도 부응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녀의 작업은 결국 예술가 개인의 삶을 역사적ㆍ사회적 지평 위에 위치시키는 작업인 것이다.;This thesis is a study regarding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in Tracey Emin's work. Tracey Emin(Born in 1963) started her career as a member of the ‘yBa(young British artists)’ emerged in the 1990s, and emerged as an artist representing British contemporary art through her work that openly shows the traumatic events in her life in an unconventional way. But until now, the studies about her work were mostly weighted toward the simple form of analysis, and tended to highlight its suggestive aspect of the subject overlooking the implications of her personal confession. Accordingly, this writer intended to shed light on her work world over the last 20 years, focusing on the point that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consistently revealed in Emin's work is a favorite subject of artists in art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its expression method is a shared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in art history has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history of self-portrait. And it has been gradually expanded as the subject that reveals an artist's life and his/her inner world, as the artist's self-consciousness grows. By the late 20th century, in a broader sense, self-confessional art showed the work tha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ubject as artist is revealed. That is, it means the method that 'the body as subject' is revealed; the artist's body is directly shown through performances, photos, images, etc. Particularly, using such a way of working actively, feminist artists tried to rethink the position of women subjects by expressing her own body. Emin also has a shared aspect with them in the point that as a woman artist, she has continued the work that her autobiographical content is visualized. But Emin's work focuses on expressing her life itself, unlike other women artists who show gender differences. For this reason, we cannot narrow down her work to feminism art only. Meanwhile, her work is also connected to the context of British culture of the day. Emin expressed the atmosphere of the region where she was born and raised, using her life experience as the subject matter of work, while she included the social context of the period she was engaged with the yBa. Also, using the reproduction method borrowed from the reality show of the mass media at the time, she revealed her life more dramatically. Ultimately, Emin's work is that the life itself is nothing but a work of art; it expresses an individual's daily life and its social ․ cultural context through content and form. First of all, the confession of her sexual trauma directly expressed by her own body, makes Emin rethink her wounded identity through the work that objectifies herself. The pain and scar due to improper sexual experience was the motive and nourishment that spurred her to art, and at the same time it continuously appears in her work as the trauma is constantly repeated in her life. Meanwhile, the work such as appliqué, neon, etc. using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decorative art or commercial art, is evocative of the sensibility that has been excluded from mainstream art, particularly femininity. At the same time, such work is used as a path to self-confession by conveying the story of an artist via fragmentary texts. She also speaks about her life through the work of objects that the things remembered or placed in memory are transferred to the art museum. Thus, Emin is continuing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through various forms and media. In her recent work, she expresses her life more tridimensionally, while expressing the open structure possible for flexible interpretation. As mentioned above, it has significance in the point that the self-confessional expression revealed throughout her work meets both art history and contemporary cultural trends. Ultimately, Emin's work situates her personal life on the historical ․ social horiz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