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65 Download: 0

사회복지사의 증거기반 실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사회복지사의 증거기반 실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of Social Worker's Attitude toward the Evidence-Based Practice
Authors
심혜정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artment so that you can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s to actively apply evidence-based practice applied to the evidence-based practice in social work field. In the study, the attitude toward Evidence Based Practice(EBP) was set up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dividual factors such as education, career, position, self efficacy, ability toward Evidence Based Practice, also perceived organization factors such as organization culture, frequency of supervision, frequency of education, working time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other variables(gender, age) were controlled in the data analysi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o collect the data, 20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extracted through system sampling with the list of 98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ASWC (Seoul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Under the agreement of the sampled center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social workers. With the collected data,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individual factor affecting on the sub-attributes of the EBPA, self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eemed that the higher the self efficacy level was,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EBP they showed. Second, as the sub-attributes of the EBPA, the requirement, the appealing and the divergence of the EBPA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dividual factors and organization factors. But the career in the current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self efficacy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on the openness of EBPA. In other words, the longer career in the current community welfare center negatively affected the openness of EBPA, whereas the high level of self 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he openness of EBPA. Some discussions about the result and application methods in the field are followings.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social workers on EBP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EBP and to provide them with the opportunities to apply to the work field. Also, social welfare studies usually involve ceaseless interactions between study and practice. Not only should the various research precede in the academic area, but also should the social workers try to be harmony in theory and practice through incessant studies and application of the preceded stud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organizations to develop the organization culture to accept various culture and viewpoints and to encourage the education for the social worker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generates discussion about the application of EBP by finding out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attitude toward EBP. However, this survey is conducted to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so there is limitation to apply to all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증거기반 실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 증거기반 실천이 활발히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증거기반 실천 적용에 대한 태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력, 경력, 직위, 자기 효능감, 증거기반 실천 기초능력의 개인적인 요인과 조직적인 요인으로 조직문화, 슈퍼비전 빈도, 교육 참여 경험, 근무시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성별과 연령을 설정하였고, 본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두 개의 연구문제를 수립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시사회복지관 협회 소속 총 98개의 사회복지관 목록표를 이용해 체계적 표집을 실시하여 20개의 복지관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20개의 복지관에 동의를 얻은 뒤 수락한 곳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자기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직적 요인으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없었다. 즉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이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하위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요구도, 호감도, 불일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 기관의 경력과 자기효능감이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개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 기관에서의 경력이 길수록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개방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개방성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실천 현장에의 적용 방안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에게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겠다. 또한 사회복지는 실천 학문으로 학문과 실천 현장 간 활발한 연구와 실천 현장에의 적용이 필요한 학문이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서비스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하며 연구와 실천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하겠다. 이에 학계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는 것은 물론, 사회복지사들도 끊임없는 학습과 선행 연구 적용을 통한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이루어야겠다. 그리고 조직에서도 사회복지사들의 교육을 적극 권장하며 다양한 문화와 관점을 받아들일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봄으로써 증거기반 실천의 적용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전체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서울지역에 국한한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이를 전체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