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연정-
dc.contributor.author도순영-
dc.creator도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5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559-
dc.description.abstractThe moder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requires support of environment of space that could cope actively with changing society. In such flow of the society, the modern working spaces need enhanced effectivity of creative business conduction through the support of the space variability and its behaviors. The nonlinear concept of space in this study strengthens effectivity of the creativity of business conduction through behavior support that accommodates the flow of the changing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The concept considers the relationship of the environment and the behaviors to support active spaces that are similar to multifunctional cities, as well as helps with the revelation of creative business conduction through support of the ideas such as openness, variability, environment friendly, enjoyment and symbolism. The application of the nonlinear concept of space builds up the symbolism through dematerialized materials, media materials, lighting, reflexibility, and penetrability with visual expressions of media enterprise. It also supports territoriality and privacy along with openness depending on the situation by revitalizing the invisible boundary through minimization of a property of the materials. In addition, the atypical characterization expression supports exciting environment and overcomes the limit of privacy based on the business behaviors that could be seen in the original open business in which focuses on open interaction and active communication. It allows an active support of environment space that is applicable in all different kinds of business behaviors whether it is quantitative or qualitative behaviors. This study developed a design with goals of enhancing the effectivity of creative business by accepting various overall behaviors of the environments.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nlinear concept of space and creative working space was taken first, and then the conclusion of an appropriate design method and a design concept of multifunctioning city as well as modeling languages was drawn from the case analysis. Afterwards, target area, a media enterprise that has relevance in moder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was selected and its type and business behaviors were analyzed with the questionnaire provided to the business users. In designing stage, a program was formed based on the objective content from the analysis and was applied in detail on block planning and space formation as well as color structu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a planned space could be seen in similar context as a multifunctioning city space that relates to various environment behaviors, and that more of an appropriate creative business space could be provided through detailed support of various functions. Such could ultimately lead to the development of the businesses and the country from an increased effectivity of creative business.; 현대 정보화 사회는 다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 대처가 가능한 다 기능적 공간 환경의 지원이 요구된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현대의 업무공간은 다양한 행태지원과 공간의 가변성을 지원하여 창의적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준거인 비선형적 공간개념은 다변화하는 정보화 사회의 흐름을 수용하여 상황에 따른 능동적 대처가 가능한 다양한 행태지원을 통해 창의적 업무 수행의 효율성을 강화한다. 이는 총체적 행태환경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업무공간에 살아 움직이는 다기능적 도시와 같은 유기적 유동적 공간을 지원함으로써 개방성, 가변성, 친환경성, 유희성, 상징성 등의 지원을 통해 창의적 업무의 발현을 도모한다. 미디어 기업의 창의적 업무공간에의 비선형적 공간개념의 적용은 미디어재료, 조명, 반사성, 투과성 등의 비물질화 재료를 통한 미디어기업의 시각적 표현을 통해 상징성을 강화하며, 재료의 물성을 최소화하여 비가시적 경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공간의 개방성과 더불어 상황에 따라 조절 가능한 프라이버시와 영역성을 지원한다. 또한 비정형적 특성의 표현을 통해 유희적 환경과 자극적 환경을 지원하며, 개방적 교류와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측면에만 집중된 기존의 오픈 오피스에서 나타나는 업무행태에 따른 프라이버시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세부적으로 정량적 정성적 업무행태에 모두 적합한 공간환경의 적극적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총체적 환경의 다양한 행태수용을 통한 창의적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비선형적 공간개념과 창의적 업무공간의 연계성을 도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적합한 디자인의 방법과 복합 기능적 도시의 디자인 개념 및 조형언어를 도출하였다. 이어 디자인 분석단계에서 현대 정보화 사회와 관련 깊은 미디어 기업을 대상으로 연계된 대상지를 선정하여 분석하고, 기업 이용자의 설문지분석을 통해 업무행태와 유형을 파악하였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분석한 객관적 내용을 토대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배치계획과 공간형태 및 색채 구성 등에 구체적으로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계획된 공간은 다양한 행태환경과 관계하는 하나의 축소된 복합 기능의 도시공간과 같은 맥락을 형성하고, 창의적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의 세부적 지원을 통해 보다 적합한 창의적 업무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창의적 업무의 효율성과 국가 및 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자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과 의의 1 B. 연구 범위와 방법 2 Ⅱ. 비선형적 공간개념과 창의적 업무공간 3 A. 비선형적 공간개념 3 B. 비선형적 공간개념에 의한 창의적 업무공간 10 Ⅲ. 비선형적 공간개념에 의한 창의적 업무공간의 디자인 사례 17 A. 사례선정 및 분석기준 17 B. 사례분석 19 C. 분석종합 25 Ⅳ. 디자인 계획 27 A. 디자인 개요 27 B. 대상기업과 조직의 분석 28 C. 대상지 선정과 분석 36 D. 디자인 전개 및 도출 46 E. 최종안 83 F. 디자인 종합 107 Ⅴ. 결론 109 참고문헌 111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740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비선형적 공간개념에 의한 창의적 업무공간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C 미디어 기업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nonlinear space concept of creative office design : Focusing on C media companies-
dc.creator.othernameDo, Soon Young-
dc.format.pagevi, 114 p.-
dc.contributor.examiner최정아-
dc.contributor.examiner유연숙-
dc.contributor.examiner최은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