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6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연순-
dc.contributor.author한임경-
dc.creator한임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9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3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325-
dc.description.abstract현재 세상은 하나의 대규모 공동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협업과 경쟁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세계 여러 나라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교류가 많아지고 있는 요즘 디자인에 의한 경쟁력 차별화가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나라의 정체성과 문화적 독창성을 알릴 수 있는 디자인의 개발은 전통문화의 가치와 의미를 세계화하고 문화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밑바탕이 된다. 가까운 중국, 일본 등 아시아권에서 시작된 한류의 바람이 미국, 유럽 등 세계 각지로 뻗어 나아가 한국의 영화, 케이팝(k-pop)등 문화콘텐츠에 거센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의 고유성이 담긴 모티브를 활용하여 한국의 정체성을 재정립하고 한국의 디자인을 세계화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건축 창호의 살 짜임새에서 나타나는 무늬의 조형미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우리의 정서가 담긴 한국 전통의 고유한 멋스러움을 울 소재와 표현방법으로 현대적인 감성에 맞는 새로운 패브릭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전통 건축에서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인 창호의 살 짜임새를 모티브로 하여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창호에 나타나는 미적 특성과 아름다움을 울 소재를 통해 패브릭에 구현되었을 때의 표현 가능성을 타진해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구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 전통 건축의 한 부분인 창호의 정의 및 개념을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보고 그 종류 및 특징을 형태적으로 분석하여 창호에 나타난 살 짜임새인 창살의 선적인 이미지를 패턴화하여 디자인 요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 연구한다. 둘째, 작품 제작에 응용할 울 축융 기법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고 이 기법에 대한 선행 연구를 한다. 셋째, 문헌고찰을 통해 살펴본 살 짜임새의 모티브를 응용하여 울 축융 기법을 활용한 새로운 디자인과 소재 개발 가능성을 연구한다. 문헌고찰을 통한 이론적인 연구와 그것을 토대로 창호에 나타난 조형미를 응용하여 울 축융 기법으로 작품 8점을 제작하였고, 이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건축 창호에 나타난 살 짜임새의 여러 가지 문양에 나타난 반복, 균형, 질서 등의 형태적 특성은 기하학적인 패턴으로서 현대적인 감성과 잘 부합되는 모티브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창호에 나타난 살 짜임새의 문양이 컷팅한 울 소재와 결합하여 자연스럽게 축융 되었을 때 선적인 아름다움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울 축융 기법은 열과 압력, 마찰, 시간 등의 요소에 따라 소재의 두께와 질감 등이 다양하고 풍부하게 표현되었다. 울 소재에 다른 소재를 혼합해서 표현할 때, 함께 사용되는 소재가 무엇인지 그 소재의 두께와 질감, 성질 등에 따라 울 축융의 질감과 느낌이 다양하게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창호에 나타난 살 짜임새의 다양한 문양은 응용하는 패턴의 이미지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새로운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국 전통의 문양과 형태는 유지하면서 현대적으로 디자인될 때 섬유 제품은 고부가 가치의 상품으로 발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감성 소재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소재에 울 축융 기법을 접목시킴으로써 울 소재에 다른 소재가 융합되었을 때, 울이 가진 천연 소재의 특성을 살리는 동시에 함께 사용되는 소재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는 새로운 소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울 축융 기법을 통하여 다양한 현대 디자인으로 활용 가능한 창호의 살 짜임새의 장식적 요소는 한국 전통의 아름다움과 멋을 표현할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과 투자가 필요할 것이다.;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and competition has been increased worldwide these days as the world is becoming a single massive community. In regards to this tendency, distinctive and unique (ideas by) designs to represent one’s identities are getting more spotlight since the world is getting and giving influences each other in various areas such as politics, economies, societies, cultures etc. With this reason, developing designs which can represent one’s identities & originalities will be a foundation not only to introduce and globalize one’s valuable traditions but also to strengthen one’s cultural competitiveness. Thus, reestablishing identities and globalizing Korean designs by introducing authentic motives like ‘Chang-Ho’ in various ways are greatly in need at this moment especially by this time the trend called 'hallyu' which contains cultural contents such as Korean TV serious, films and K-pops are spreading out widely from Asian region to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In this regards, we study the beauty of patterns thru the window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called ‘chang-ho’ to present new fabrics with original spirit in them by applying wool-milling method which will be still appropriate to a modern trend. In consideration of taking the ‘chang-ho’ as a motive, since it is a core element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we would like to understand the outcome after applying the beaut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hang-ho’ by wool-milling method to the fabric by investigating theoretical background from histories. Accordingly,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e would like to research definition and concept of ‘chang-ho’ by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analyze varieties of structural features of ‘chang-ho’ formulated by various bars called ‘chang-sal’ to examine possibilities to see if it could be used as the element of designs. Secondly, we would like to research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ol-milling method which would be applied to the art work. Thirdly, we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new materials and designs by using wool-milling method applied by the motive explained above. Based on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chang-ho’, we have produced 8 pieces of art works based on wool-milling method and we have got the conclusion as below. Firstly, we found out that the structural features of ‘chang-ho’ which is made by ‘chang-sal’ is tied in with the modern trend considering repeat, balance & regularity for patterns. Secondly, we found out that the beauty of lines is maximized when the structural features from ‘chang-ho’ meet and melt naturally with various cuts of wool. Thirdly, we found out that the wool-milling method could lead different and various conclusion effected by heat, pressure, friction and time etc. We also found out that it can even lead more various conclusion by mixing different fibers into the wool. The thickness, texture and characteristics of fibers will affect the outcome after applying the wool-milling method. The motive from structural features of ‘chang-ho’ can be varied and newly developed by using various image of patterns. We strongly believe that textile products designed and developed by containing traditional patterns but still modern can be the high-valued products. The structural features of ‘chang-ho’ which can be varied by wool-milling method can be used to the modern design so that it has eternal changes to represent our original beauty and style to the world that persistent efforts and investments should be provided. Second, we found that the linear beauty is maximized when the framing patterns in the window frames of 'chang-ho' combine (by cutting) with the material wool and together go through the process of natural milling. Third, we are also now aware that the wool milling method reveals diverse and rich expression in the thickness and texture of the material depending on such factors as heat, pressure, friction, and time. Fourth, now we know that when different materials are combined with wool, the factors like the identity, thickness, texture and other features of the combined materials will make possible the various expressions of the texture and feel of wool milling. The motives of window frames in 'chang-ho' possess limitless possibilities in that they can express diverse designs drawing on the designers' creative ideas. In the future, persistent endeavors and investment will be of particular importance in order to develop designs transforming the ornamental elements of window frame patterns into varied high value-added textile products, and this will be achieved by reinterpreting the beauty and elegance of Korean tradition in the languages of contemporary sensi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1 1.1. 연구 목적과 의의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2 2. 창호의 일반적 고찰 4 2.1. 창호의 정의 및 종류 4 2.2. 창호의 살 짜임새의 조형성 및 디자인 사례 12 3. 울 축융 기법에 대한 고찰 21 3.1. 울 축융 기법의 개념과 특징 21 3.2. 울 축융 기법을 활용한 디자인 사례 23 4. 작품 제작 및 해석 31 4.1. 작품 제작 의도 및 제작 과정 31 4.2. 작품 해설 35 5. 결론 59 참고문헌 61 ABSTRACT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082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한국 전통 창호의 이미지를 응용한 울 축융 기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Wool Felting by Applying the Korean Traditional Window Images-
dc.creator.othernameHan, Im Kyung-
dc.format.pagevii, 66 p.-
dc.contributor.examiner차영순-
dc.contributor.examiner김태희-
dc.contributor.examiner박은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섬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